해당메뉴 명

메뉴 열기닫기 버튼

아카이빙 콜렉션

전통예술

제95회 국립국악원 목요상설 새천년 새소리 몸짓 "김수현의 춤秋(추)"

자료등록 :(재)부산문화재단 본 내용은 등록자에 의해 작성된 내용임을 밝힙니다.

NO.DRC0109

  • 공연단체김수현
  • 공연장소국립국악원 우면당
  • 공연날짜2000.10.5 ~ 2000.10.5
  • 장르전통예술
  • 연출

공연설명

"새소리 새몸짓"

-자료설명-
(팜플렛)2000년 10월 5일 국립국악원 우면당에서 공연된 《제95회 국립국악원 목요상설 새천년 새소리 몸짓 "김수현의 춤秋(추)"》팜플렛이다. 초대권을 포함한 구성이며, 국립무용단장 배정혜의 '나는 김수현의 춤을 사랑한다'글과 춤꾼 김수현의 인사글이 기술되어 있고, 프로그램 안내와 출연진이 기술되어 있으며, 김수현의 학력과 주요안무작품 및 주요공연실적이 기술되어 있다. 그리고 출연진인 리을무용단의 사진과 이름 및 선화예술고등학교 한국무용부2학년 학생의 사진 및 이름이 나열되어 있으며, 국립국악원의 대중교통 안내를 끝으로 팜플렛 구성이 끝난다.

(초대권)2000년 10월 5일 국립국악원 우면당에서 공연된 《제95회 국립국악원 목요상설 새천년 새소리 몸짓 "김수현의 춤秋(추)"》초대권이다. 팜플렛에 포함된 구성이다.

-기획의도-
리을무용단과 선화예고학생들의 합동공연으로 기획되었다.

《승무》
김숙자씨의 승무는 김덕순님으로부터 유래된 것이다. 김덕순님의 승무특징은 각장단에 따른 춤사위의 다양함을 들 수 있고, 장삼은 합장단에만 뿌리되 뿌릴 때 언제나 왼발이 들려있는 특이점이 있다.

《부정놀이》
무굿의 의식행사에서 맨 처음에 행해지는 절차로 오귀물림, 부정가심을 하는 놀이가 독립되어져 전통무의 하나로 발전한 춤이다. 부정놀이 춤은 부정을 가셔 내는 것을 말하는데 이는 잡귀 잡신을 몰아내 군웅오실 터를 닦는 발놀음 춤이다.

《입춤》
우리나라 전통무용의 기본 춤을 말하는데 춤출 舞, 뛸 踊, 떨칠 振의 삼요소가 비단실같이 짜여져서 형성되고 있다. 입춤은 정해진 형태가 있기 보다는 자기가 가고 싶은 데로 들고 싶은 데로 자유자재로 추면서 자신의 한을 풀어내어 보는 이의 심정을 동화시킨다.

《북춤》
노동의 고단함을 잊기 위해 노동요가 있듯이 추수의 일손을 가볍게 하기 위해 흥을 돋구며 추어진 춤이다. 남성적인 활달한 진도북춤을 여성무용수의 군무로 재 구성했다.

《영남 허튼춤》
마당춤과 대별대는 사랑놀음 혹은 안방계열의 춤이다. 동작의 크기보다는 밀도가 주가 되어있다.

《솔뫼 북마루》
민족음악을 바탕으로 새로운 타악 퍼포먼스를 지향하여 결성된 그룹으로 이병관의 특별출연으로 소리의 대 합주 공연하였다.

《아, 아! · · · . . 이제는!》
반세기의 긴 이별 후에 이루어진 '역사적만남'들…그 옛날의 많은 주검들과 참혹함을 , 그 많은 한숨들은…오늘에 이르러서 화해와 용서로 풀어가는 우리의 통일을 생각해본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기증자: 최은희(원로무용가)"

출연진

김수현, 김윤진, 이윤정, 이희자, 곽시내, 김선영, 김정민, 홍은주, 박정현, 선화예술고등학교 한국무용부

제작진

(감독)김수현

이미지 콘텐츠

유관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