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설명
-자료설명-
(팜플렛) 1993년 10월 12일부터 13일까지 부산시민회관 대강당에서 한국무용협회 부산지부가 공연한 《부산직할시 승격 30주년 기념 "제16회 부산무대예술제 무용합동공연"》의 팜플렛이다. 팜플렛의 내용 안에는 사단법인 한국무용협회 부산지부 지부장 '김진홍'의 인사말씀, 사단법인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부산지회 지회장 '배혜경'의 격려말씀이 기술되어 있다. 또한 공연 작품별 안무가의 프로필과 출연진 명단, 작품 설명 등이 함께 기술되어 있으며 행사추진위원 명단 또한 포함되어 있다.
(초대권) 1993년 10월 12일부터 13일까지 부산시민회관 대강당에서 한국무용협회 부산지부가 공연한 《부산직할시 승격 30주년 기념 "제16회 부산무대예술제 무용합동공연"》의 초대권이다. 초대권의 내용 안에는 공연일시, 장소, 작품구성, 후원처, 가격, 공연 주의사항 등이 기술되어 있다.
-기획의도-
부산직할시 승격 30주년을 기념하여, 10개의 예술단체가 한 뜻으로 힘을 모아 갈고 닦은 예술 혼을 시민들에게 기념비적인 마음으로 보여 드리고자 공연이 기획되었다.
《추야(秋夜)》
1장 꿈의 환상, 2장 실연의 계단, 3장 황원의 길에서 순으로 구성된 작품이다.
평범하지만 평범하지 않는 우리 모두의 삶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무용극/한량무》
세속적인 줄거리에 시대적 상황을 나타내 보인 4인 무용극 한량무는 민속놀이의 한 과장을 무용극화 한 것이다. 각 지방마다 조금씩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서민들에게 친근감이 있는 한 과장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1장 길, 2장 갈등, 3장 기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오륙도》
오늘 내 자신을 확인해보는 가치관으로 오륙도를 바라본다는 내용을 담고 있는 작품이다. 이 작품의 이미지 확장을 위해 사실주의와 표현주의 기법이 조화를 이루도록 하였다.
"기증자: 최은희(원로무용가)"
출연진
심지영, 이성훈, 최순지, 김주영, 조지영, 김은정, 홍복순, 박영미, 장선희, 박경량, 김갑용, 이동재, 김성일, 이은희, 장향인, 최현지, 조연진, 제순둘, 공미정, 이희경, 이귀은, 김현정, 양현숙, 조숙희, 양후령, 박희진, 서혜자, 빈혜경, 김미경, 정혜선, 조영선, 장향미, 정지인, 김현정, 박효진, 김현정, 문지애, 박주현, 하진아, 이현경, 노혜선, 김윤정, 박진선, 김지나, 한정희, 박효정, 조선영, 박민경, 이경옥, 김미형, 이민경, 이미선, 최영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