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메뉴 명

메뉴 열기닫기 버튼

아카이빙 콜렉션

전통예술

김정녀의 전통춤 그 향기

자료등록 :(재)부산문화재단 본 내용은 등록자에 의해 작성된 내용임을 밝힙니다.

NO.DRC0128

  • 공연단체김정녀
  • 공연장소국립극장 달오름극장
  • 공연날짜2003.10.26 ~ 2003.10.26
  • 장르전통예술
  • 연출

공연설명

"중요무형문화재 제97호 살풀이춤 전수교육조교 김정녀의 춤 인생을 볼수 있는 무대"

-자료설명-
2003년 10월 26일 국립극장 달오름극장에서 공연된 《김정녀의 전통춤 그향기》의 프로그램북이다. 중요무형문화재 제27호 이매방의 '깊게 골 진 세월자국이 곧 연륜(年輪)입니다.'글과, 중요무형문화재 제1호 해금기능보유자 김천홍의 '김정녀의 전통춤 그향기에 붙여…'글이 기술되어 있고, 김정녀의 인사말이 기술되어 있다. 프로그램으로는 입춤, 살풀이춤, 장고무, 검무, 사품정감, 무녀도, 승무가 있고, 출연진의 연혁이 기술되어 있으며, 김정녀의 프로필과 STAFF명단이 기술되어 있고, 「문화유산헌장」이 기재되어 프로그램북 구성이 끝난다.

-기획의도-
전통무용의 이해와 흥미를 갖지 못하는 청소년들에게 전통무용에 대해 좀 더 관심을 가져주길 바라는 마음으로 기획되었다.

《입춤》
흥과 멋이 주제인 이 춤은 입춤이라는 명칭 이외에 굿거리춤 즉흥무라고도 칭한다. 일정한 양식이 없이 즉흥적인 것이 특징이다.

《살풀이춤》
살을 푼다는 고유어로 액을 제거한다는 뜻이 담긴 무속의 살풀이 장단에 맞추어 추는 춤으로 죽은 사람의 넋을 위로하여 저승길을 갈라주는 내용을 담고 있다.

《장고춤》
농악놀이 중 설장고 개인놀이에서 파생된 것으로 설장고춤이라고 하기도 한다. 다양한 장구가락 및 발을 빠르게 옮기거나 도약하는 등 움직임이 경쾌하고 발랄한 것이 특징이다.

《검무》
신라 설화에서 기원 된 검무는 우리 전통춤의 역사적 관점에서 볼 때 그 지속성이 아주 강한 작품이다.

《사풍정감》
남성무의 대표라 할 수 있는 옛 선비춤으로 일정한 양식을 갖추어 추어지는 춤이 아닌 한량일인의 춤 형태이다.

《무녀도(巫女道)》
무당이 굿을 할 때 추어지는 춤으로 대개 신을 맞이하거나 보낼 때 잡귀를 몰아내거나 넋을 위로할 때 추어진다.

《승무》
소위 법무라 일컫는 민속무용의 정수로 알려져 있는 격조 높은 예술형식의 춤이다. 한 수도승이 번뇌와 고행을 해소해버리고 마음의 안정을 찾는 것이 춤의 내용이다.

"기증자: 최은희(원로무용가)"

출연진

김정녀, 김효분, 신미경, 이상온, 김은경, 김은희, 이애현, 장순향, 이진숙, 정주미, 안재문, 최병제, 박성호, 김정기, 문희철, 정선혜, 장옥주, 이현주

제작진

(감독)김정녀

유관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