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설명
"청와당 김온경교수의 정년기념 큰춤판"
-자료설명-
(프로그램북)2003년 8월18일 부산문화회관 중강당에서 공연된 《청화당 김온경 교수 정년기념 큰 춤판 "김온경 부산전통춤 공연"》의 프로그램북이다. 초대권을 포함한 구성이고, 춤두레와 겹사위무용단의 주최로 공연되었다. 프로그램으로는 산조춤, 동래고무, 살풀이춤, 굿거리춤, 승무, 동래학춤으로 구성되어 있고 '김온경 교수님의 퇴임공연에 드립니다.'라는 제자들의 글이 기술되어 있다. 신라대학교 총장 이병화의 축사와 신라대학교 교수 김온경의 인사말이 기술되어 있고, 프로그램 소개와 춤두레출연자와 겹사위무용단의 출연자 사진 및 연혁이 기재되어 있으며, 김온경교수의 연혁기술로 프로그램북 구성이 끝난다.
(초대권)2003년 8월18일 부산문화회관 중강당에서 공연된 《청화당 김온경 교수 정년기념 큰 춤판 "김온경 부산전통춤 공연"》의 초대권이다. 프로그램북에 포함된 구성이다.
-기획의도-
청화당 김온경 교수 정년기념으로 제자들과 함께 하는 공연으로 기획되었다.
《산조춤》
산조의 명인 강태홍옹이 자신의 가야금 산조가락에 춤을 얹어 산조춤을 성립시킨 춤이다.
《동래고무(부산무형문화재 제10호)》
고려초기 궁중 여악을 관장했던 교방청 여기들에 의해 행해졌던 향악정재의 하나인 무고가 전래된 북춤의 일종이다.
《살풀이춤》
맺힌 액을 풀어서 복을 맞이한다는 주술적 의미를 담고있는 춤으로 오늘날 한국춤의 고전작품중 하나로 정착된 한국춤의 백미라 할 수 있다.
《굿거리춤》
굿에서 쓰여지는 모든 장단의 총칭 된 명칭에서 파생된 말로서 특히 굿거리장단은 경남 지방의 대표적인 춤장단이다.
《승무》
한국의 춤 중에서 가장 승화되고 상징성이 높은춤으로 예술성이 높이 평가되고 있는 대표적인 춤이다.
《동래학춤》
부산 동래 지방의 토속춤으로 한량들에 의해 즐겨 추었던 동래 덧배기춤의 한 유형으로 춤이 천박하지 않고 기품과 격조를 겸비한 가장 인간적인 멋을 지니고 잇는것이 이 춤의 특징이다.
"기증자: 최은희(원로무용가)"
출연진
김온경, 김정숙, 강성희, 문임선, 현진옥, 김순애, 김정애, 김무희, 박선홍, 김태희, 박수진, 김윤선, 조보경, 이승아, 조현영, 김미영, 최지은, 윤여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