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설명
-자료설명-
2006년 10월10일 금정문화회관 대공연장에서 열린 《古稀(고희)기념 淸和當(청화당) 김온경 전통무용공연》의 프로그램북이다. 금정문화원의 주최와 춤두레의 주관으로 공연되었으며, 프로그램으로는 살풀이춤, 동래고무, 굿거리춤, 산조춤, 문둥탈춤, 판소리, 승무, 동래학춤이 기술되어 있고, '부산춤의 맥을 이으며…'의 김온경의 인사말과, 제자대표박순희의 '김온경 교수님의 古稀(고희)공연에 드립니다'글이 기술되어 있다. 프로그램소개글과 함께 사진이 기재되어 있으며, 출연자의 이름과 사진 및 연혁이 기술되어 있고, 김온경의 연혁과 안무작품 및 저서, 논문연혁을 끝으로 프로그램북 구성이 끝난다.
-기획의도-
청화당김온경의 古稀(고희)기념 공연으로 기획되었다.
《살풀이춤》
한세상 고인눈물을 마음 속에 묻고 시나위에 춤 실어 정중동 동중정이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동래고무(부산무형문화재 제10호)》
고려 초기 교방청 여기들에 의해 행해졌던 향악정재의 하나인 무고가 전해진 북춤의 일종으로 4인의 무원들이 중앙에 큰 북을 놓고 자리를 옮겨가며 북을 치면서 춤을 춘다.
《굿거리춤》
굿에서 쓰여지는 장단의 총칭된 말로 경남지방의 대표적인 춤장단이다. 한국춤의 바탕이 되며 춤꾼에 따라 다양하게 춤을 구사하면서 춤을 풀어가는 자유분방한 묘미가 있는 춤이다.
《산조춤》
진양조, 중몰이, 중중몰이, 자진몰이와 가야금 향기 속 맺고 푸는 춤을 윤여숙이 출연하여 "이 춤을 어머님 古稀전에 드립니다"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판소리(춘향가 중에서)》
김정애의 특별우정출연과 판소리고수 강성인이 공연하였다.
《문둥탈춤》
문둥환자의 비탄상을 춤으로 표현하는 내용인데 불구의 몸짓을 해악적인 춤사위로 풀어내는 것이 특징인 춤이다.
《승무》
세월 안고 영글어진 스승님의 넋일레라 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동래학춤(부산무형문화재 제3호)》
부산동래지방의 토속춤으로 한량들에 의해 즐겨 추었던 동래덧배기춤의 한유형으로 검정 갓에 흰 도포자락의 움직임이 마치 학이 나는 모습을 연상시키며 여유로운 학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기증자: 최은희(원로무용가)"
출연진
김온경, 박순희, 전정숙, 김정숙, 문임선, 강성희, 현진옥, 김순애, 김정애, 윤여숙, 김무희, 박선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