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설명
"꽃, 춤에 취하다"
-자료설명-
(팜플렛)2010년 12월 23일 국립부산국악원 예지당(소극장)에서 열린 2010 최지은의 춤 Ⅱ 《꽃, 춤에 취하다》 팜플렛이다. 최지은의 인사말, '춘앵전', '장고춤', '살풀이춤', '흥춤', '소고춤', '꽃 춤에 취하다'로 구성된 프로그램 내용, 최지은 및 출연자의 사진과 명단이 기술되어 있다.
(초대권)2010년 12월 23일 국립부산국악원 예지당(소극장)에서 열린 2010 최지은의 춤 Ⅱ 《꽃, 춤에 취하다》 초대권이다. 공연 일시와 장소, 후원(부산문화재단, 우봉이매방춤보존회, 정신혜무용단)이 기술되어 있으며, 뒷면에 공연장 약도와 주의사항이 담겨 있다.
《춘앵전 春鶯轉》
이른 봄날 아침 나뭇가지에서 노래하는 꾀꼬리의 자태를 무용화 한 것으로 정재로 구분되어 지며, 꾀꼬리를 상징하는 노란색의 앵삼(鶯衫)을 입고 화문석 위에서 추는 춤으로 매우 우아하고 미려하며 춤사위를 표현한 작품이다.
《장고춤 長鼓舞》
비연체 외 12체 주 동작이 장고춤의 특징적인 춤사위를 표현한 작품이다.
《살풀이춤》
맺고 풀어냄이 기본이 되면서 춤사위 하나하나, 손끝에서 발끝까지 표출되며 동작의 연결은 전혀 무리가 없는 자연스러운 움직임과 대삼소삼의 구분이 분명하고 고고한 개성의 청아한 멋과 정중동의 유려함을 춤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흥춤 興舞》
흥(興)을 안으로 삭이고 드러냄을 자제하여 더 큰 흥을 가슴에 담는 응축된 절제미를 상징적으로 형상화한 남성춤으로, 남성과 여성의 2인무로 재구성하여 남성의 동(動)과 여성의 정(靜)을 잘 어울러 표현한 작품이다.
《소고춤 小鼓舞》
농악에서 벅구 놀음의 독특한 춤사위와 가락으로 짜임새 있게 구성하여 무대화 시킨 것으로, 경쾌하고 절도 있게 몰아치는 춤사위를 사물과 태평소 반주를 바탕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꽃, 춤에 취하다》
묘한 가락과 달빛 아래에 피어난 꽃이 춤을 추는 모습을 표현한 작품이다.
"기증자: 최은희(원로무용가)"
출연진
김성수, 김여진, 구미숙, 이현지, 박성아, 서지은, 양해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