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메뉴 명

메뉴 열기닫기 버튼

아카이빙 콜렉션

전통예술

제3회 결식 아동들을 위한 "법우스님의 전통춤 발표회"

자료등록 :(재)부산문화재단 본 내용은 등록자에 의해 작성된 내용임을 밝힙니다.

NO.DRC0250

  • 공연단체법우스님
  • 공연장소서울 국립국악원 대극장 예약당, 대전시청 대강당
  • 공연날짜2000.4.12 ~ 2000.4.19
  • 장르전통예술
  • 연출

공연설명

"제3회 결식아동돕기 법우스님의 전통춤"

-자료설명-
(팜플렛)2000년 4월 12일에 서울(국립국악원 예약당 대극장), 2000년 4월 19일에 대전(시청대강당)에서 법우스님이 공연한 《제3회 결식 아동들을 위한 "법우스님의 전통춤 발표회"》의 팜플렛이다. 팜플렛의 내용 안에는 우봉 '이매방'의 축사, 법우스님의 약력과 인사말이 기술되어 있으며 프로그램 차례와 작품공연으로 '천수바라춤', '도량계작법(나비춤)', '기원무', '승무', '무녀도(무당춤)', '살풀이 춤'의 줄거리가 기술되어 있다. 추가적으로 출연자 및 제작진의 사진·명단·약력을 끝으로 팜플렛 구성이 끝난다.

(초대권)2000년 4월 12일에 서울(국립국악원 예약당 대극장), 2000년 4월 19일에 대전(시청대강당)에서 법우스님이 공연한 《제3회 결식 아동들을 위한 "법우스님의 전통춤 발표회"》의 초대권이다. 초대권의 내용에는 공연일시, 장소, 주관(우리문화예술원), 후원, 유의사항, 국립국악원 관련 정보와 문의처가 기술되어 있다.

-기획의도-
불우한 결식 아이들의 작은 마음들을 조금이라도 돕기 위해 기획되었다.

《천수바라춤》
불교의식에서 추는 작법에는 나비춤, 바라춤, 법고가 있다. 여기에 바라춤은 악귀를 물리쳐서 도량을 청정하게 하고 마음을 정화한다는 뜻으로 춘다. 이 바라춤의 종류 중 하나가 천수바라춤이다.

《도량계작법(나비춤)》
불교 전통의식에서 추어지는 의식무 중의 하나로 경전 중에 도량계라는 계송을 범패소리에 맞추어 추는 춤이다. 긴 소매자락에 두 손을 버리며 사뿐히 무겁게 춤을 출 때의 모습이 꼭 나비 같다 하여 나비춤이라 한다.

《기원무》
왕비가 궁중의 높은 곳에 올라가 가뭄으로 인해 피폐(疲弊)해진 궁 밖 백성들의 모습을 보고 느끼는 애절함과 이를 위한 기우제(祈雨祭)를 묘사한 춤이다.

《승무》
인간의 애증과 희비를 표현한 비교적 불교 의식무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측되는 승무는 춤의 구조가 어두운 면과 밝은 면이 복합되어 한의 탈을 넘어서 비약하는 기개로서 자유와 영원을 희원하는 춤이다.

《무녀도(무당춤)》
경기도 당굿과 전라도 당굿의 무당춤을 기본 춤사위로 하여 굿판의 축제적 신명을 춤으로 무대 작품화한 1950년대 창작춤이다.

《살풀이 춤》
굿에서 떨어져 나와 무용예술가(舞踊藝術家)들에 의해 특유의 풍부한 예술적 미의식을 바탕으로 시나위권의 무락(巫樂)살풀이 가락에 맞추어 아름다운 춤사위로 창작되었으며 우아미와 비장미가 강한 정중동(靜中動)/동중정(動中靜)의 요소가 잘 배합 된 환상적인 춤이다.

"기증자: 최은희(원로무용가)"

출연진

법우스님, 김명자, 정오스님, 진성스님, 현준스님, 선혜스님, 강성민, 신미경, 정선혜, 정미래, 우경희, 이현주, 김민정

제작진

유관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