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설명
"부산아리랑"
-자료설명-
2005년 11월 11일부터 13일까지 부산문화회관 대극장에서 공연된 《APEC 정상회의 특별기획 공연 "부산 아리랑"(Special Performance for 2005 APEC Summit Meetings Busan Arirang)》의 프로그램북이다. '부산아리랑' 스탭과 주요배역진 및 특별출연이 한글과 영어로 기술되어 있고, 부산광역시장 허남식의 축사와 동아대학교 총장 최재룡의 축사가 한글과 영어로 기재되어 있으며, 르노삼성자동차 CEO Jerome Stoll의 축사와 국립극단 예술감독 이윤택의 작가의 글이 각각 한글과 영어로 기술되어 있다. 동아대교수 김은이의 안무자의 글과 작품설명글이 각각 한글과 영어로 기술되어 있는데 부산아리랑은 이윤택이 극본을 쓰고 김은이짓무용단이 펼치는 대형 시대물로써 1895년 부산개항시기 조선 최초의 신여성으로 불리웠던 영도출신 윤정심을 중심으로 부산인의 삶을 춤극형식으로 되살려낸 작품이라는 내용이 기술되어 있다. 프로그램은 1막 1장부터 4장까지, 그리고 2막 5장부터 7장까지 작품내용이 대본형식으로 기술되어 있으며, 출연진의 사진 및 소속이 나열되어 있고, 한국춤모임 짓 공연연보를 끝으로 프로그램북 구성이 끝난다.
-기획의도-
APEC 정상회의 특별기획 공연으로 기획 되었다.
《1막1장 가마솥》
소년들, 아낙인부들과 돌이등 등장인물들의 대본형태의 내용으로 신새벽 한 억척할멈이 소년돌이와 가마솥에 불을 지피고 환한 빛으로 열리는 경원선 철로, 기적소리, 아낙들이 쏟아져 나와 가마솥 밥을 푸고 인부들의 노래가 시작된다. 아낙들과 인부들의 유회, 이때 말뚝이는 탈을 덥석쓰고 탈놀음이 시작되고, 구경꾼들은 짧은 폭소가 터진다.
《1막2장 고려환》
아이들과 왜상, 김택1, 김택2의 대본형태의 글로 고려환의 웅장한 선체가 무대로 올라오고 선상에선 김택1과 김택2형제가 있다. 배 옆구리문들이 열리면서 사탕, 양파자, 화장품, 술등을 한 아름씩 들고 양과자와 사탕을 공중에 뿌린다. 선상에 기모노 차림의 왜녀들이 술을 권하며 무대 전면에 왜색 상품이 무제한 방출로 흥청거리고 장정 아낙 아이들 할 것 없이 정신을 잃고 몰려 다닌다. 함성과 함께 노무자 차림의 날렵한 왜인 장정들이 쏟아져 나와 선을 긋고 성벽을 쌓는다.
《1막3장 만병수》
미국 국가가 울리며 펄럭이는 성조기가 나타나고 미국 국가와 함께 열린 문 사이로 인력거가 빠져나온다. 왜소한 조선인이 끄는 인력거 위에 비계덩어리로 뭉쳐진 어을빈이 미국식 청장차림으로 앉아있고, 그 앞으로 한국 최초의 하이칼라 신여성 윤정심이 나온다. 윤정심은 그녀에게 다가오는 에비스 사이끼지와 함께 춤을 추고 그때 선착장에 러시아 수병들이 상륙해 올라온다. 수병들은 하늘을 향해 총을 쏘며 수병들 사이로 고리우바스키대위가 나타난다. 고리우바스키대위는 윤정심과 에비스사이에 끼어들어 춤추고 3인무가 이어지다가 소년돌이가 당돌하게 끼어들어 4인무를 추다가 고리우바스키가 춤판에서 빠져나와 왜녀들쪽으로 가고 왜인들과 수병들의 싸움이 시작된다. 사람들이 몰려들어 싸움판을 구경한다.
《1막4장 돌아, 저 하늘에 빛나는 별들을 보아라》
둔중한 음악과 함께 밤이 온다. 윤정심과 돌이의 모습이 달빛아래 열리고 돌이와 정심은 춤을 춘다. 정심은 돌이에게 네 세상은 너무 아름다워서 이풍진 세상에서는 찾을 수가 없고 내가 만일 죽거들랑 저기 어느 하늘 아래 빛나고 있을 너의 사랑이 되고 싶다고 말을 한다. 정심의 살풀이가 시작되고 돌이는 황홀한 느낌으로 정심을 본다.
《2막5장 일신여학생이 나눠준 태극기》
1막에서 이십년이란 세월이 흘렀다. 선착장에서 하역을 하거나 짐을 실고있는 노무자들이 있고 선창앞에는 택산상회라는 간판을 붙인 김택2가 딸 코오꼬와 함께 있다. 사람들은 말없이 일만하고 짐 푸는 소리 그릇 달그락거리는 소리 뿐이다. 이때 무대 후경 상수 쪽을 통해 "대한독립만세!"라는 함성이 들리고 동래고보생들이 태극기를 흔들며 뛰어든다. 일신여학교생들도 뒤따른다. 노무자들도 품에서 태극기를 꺼내 들고 외친다. 순사가 나타나면서 노무자들은 태극기를 감추고 입을 다물었는데 여학생이 순사 앞으로 다가와 당돌하게 팔을 흔들자 순사는 여학생의 댕기머리채를 잡고 넘기고 때린다. 이를 본 복원이 순사의 턱을 차고 여학생을 잡아 일으킨다. 여학생이 태극기를 흔들고 대한독립만세를 외치라고 하지만 노무자들은 무력하게 서있다. 헌병들이 선창으로 다가오기 때문이다.
《2막6장 영화 청춘은 어찌되고 쪽박 신세가 웬말인가》
중년이된 에비스 사이끼지가 등장하고 잠옷차림의 윤정심이 맨발로 뒤따라 뛰쳐나온다. 그녀 역시 중년이 되었고 오래 앓은 폐병으로 얼굴이 백랍 같다. 윤정심은 에비스에게 날버리고 가지 말라 애원하고 에비스는 그런 정심을 두고 배에 오른다. 윤정심은 배를 뒤따르며 에비스에게 날 버려두지 말라고 하지만 에비스는 떠나고 윤정심은 밤을 찢는 귀곡성 웃음소리와 함께 부산 앞바다 밑으로 추락한다.
《2막7장 청천 하늘에 별도 많다 쾌지나 칭칭 나네》
무대로 농악대로 들어온다. 돌이와 농악대가 돌아가며 "쾌지랑 칭칭나네"를 번갈아가며 나누다가 "부산 아리랑"합창을 부른다.
"기증자: 최은희(원로무용가)"
출연진
김온경, 김정애, 배정현, 한경미, 이인태, 신상현, 정말숙, 박순희, 강주미, 홍충민, 강지은, 손영아, 박지연, 박연정, 이진영, 김유진, 안유희, 김진환, 이은아, 안은영, 이진주(A), 이진주(B), 강주희, 양미희, 이혜민, 이수연, 이민선, 박빛나, 안정미, 임민하, 김익현, 장인숙, 임형준, 유창국, 한국체육대학 (송설, 문은석, 박병철, 김형민), 혜화초등학교 (문수현, 박지수, 방수진, 신소연, 이지언), 해운대관광고등학교 (최한윤, 김선우, 전영수, 신유종, 오민혁, 원성민, 류지훈, 윤왕원, 김진욱), 버슴새예술단 (이주헌, 최정민, 신진효, 박현호), 동래학춤 (이광호, 이성훈, 정재욱, 박성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