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설명
"박순희 다스림 춤판"
-자료설명-
2012년 9월 6일에 국립부산국악원 소극장(예지당)에서 박순희가 공연한 《박순희 다스림 춤판》의 리플렛이다. 리플렛의 내용 안에는 프로그램 차례가 기술되어 있으며 박순희의 인사말, 동아대학교 교수 '박철홍'의 격려사가 기술되어 있고, 출연자 및 제작진의 사진·명단·약력, 작품공연으로 '한영숙류 태평무', '입춤', '판소리', '살풀이', '강선영류 태평무', '흥춤', '승무'의 줄거리를 끝으로 리플렛 구성이 끝난다.
-기획의도-
제자들과 함께 연구하고 노력해 온 땀과 결실들을 이 무대 위에서 펼쳐 보이고자 한다.
《한영숙류 태평무》
왕과 왕비 그리고 태평성대 하기를 축원하는 춤으로서 진쇠장단을 바탕으로 빠른 발 디딤새가 장단 사이에 경쾌하게 가로지르는 데 이 춤의 묘미이다.
《입춤》
모든 전통춤의 기본무로서 기본적 움직임 위주로 짜여져 있다. 흥풀이춤의 일종으로 흥과 멋을 조율하면서 즉흥성을 발휘하며 춘다. 맨손으로 추는 비교적 단순한 형식의 춤이다.
《판소리》
<강산제 심청가>라 불리는 보성소리 심청가는 맹인잔치를 열고 심봉사를 기다리는 심황후의 애절한 탄식과 다양한 장단으로 극적인 장면이 연출 된다.
《살풀이》
굿의식에서 파생된 한의 춤으로써 예술적으로 발전되어 민속무용의 대표적인 홀춤이다.
《강선영류 태평무》
중요무형문화재 제 92호로 지정된 강선영에 의하여 전승되고 있는 태평무이다. 무속 장단으로 이루어져 복잡다양한 장단과 그에 수반되는 발짓춤의 묘미가 일품이다.
《흥춤》
여성적이고, 흥을 안으로 삭이고 드러냄은 자제한 응축 된 절제미를 상징적으로 형상화한 독특한 춤 미학이 담겨있다.
《승무》
미(美)의 본질과 인간본연의 희비를 높은 차원에서 극복하고 승화시켜 구도적 진리를 갈구하는 춤이다.
"기증자: 최은희(원로무용가)"
출연진
박순희, 강경아, 강미선, 송선숙, 송임숙, 임경미, 김민정, 지미경, 류지수, 백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