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메뉴 명

메뉴 열기닫기 버튼

아카이빙 콜렉션

무용

김은이 짓 무용단 지역순회공연 新巫女圖(신무녀도)

자료등록 :(재)부산문화재단 본 내용은 등록자에 의해 작성된 내용임을 밝힙니다.

NO.DRC0287

  • 공연단체김은이 짓 무용단
  • 공연장소대구문화회관 대극장, 진주경남 문화예술회관 대강당, 우송예술회관
  • 공연날짜1995.4.29 ~ 1995.5.3
  • 장르무용
  • 연출

공연설명

"新巫女圖"

-자료설명-
(프로그램북)1995년 4월 29일 대구 대구문화회관대극장, 1995년 5월 1일 진주 진주경남문화예술회관대강당, 1995년 5월 3일 대전 우송예술회관에서 공연된 《김은이 짓 무용단 지역순회공연 新巫女圖(신무녀도)》 프로그램북이다. 리플렛을 포함하고 있으며, 한국문화예술진흥원 원장 문덕수의 격려사와 동아대학교 총장 이태일의 격려사가 기술되어 있고, 공주대학교 교수 유학자의 '김은이의 대전공연을 축하하며'글이 기술되어 있다. 대전여고 총동창회 회장 류해정의 축사와 전대전광역시장 염홍철의 축사가 김은이의 인사말씀과 함께 기술되어 있고, 新巫女圖(신무녀도) 안무의도와 제1장,2장,3장,4장,5장,6장의 내용 및 출연진과 연혁이 기술되어 있다. '육체의 이지화에 대한 또다른 도전과 실험'이라는 무용평론가 장의근의 글과 짓무용단의 《新巫女圖(신무녀도)》에 대한 <'월간춤'1993년 12월호> 김태원 평론가의 글이 발췌 되어있고, <'춤'1994년 1월호> 김경애의 글을 마지막으로 프로그램북이 끝난다.

(리플렛)1995년 4월 29일 대구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극장, 1995년 5월 1일 진주 진주경남문화예술회관대강당, 1995년 5월 3일 대전 우송예술회관에서 공연된 《김은이 짓 무용단 지역순회공연 新巫女圖(신무녀도)》 리플렛이다. 프로그램북에 포함된 구성이고, 제1장 세례, 2장 흰 달빛 정원, 3장 모화의 굿판, 4장 악몽, 5장 역모, 6장두개의 회오리 바람과 길의 내용과 안무의도가 사진과 함께 기재되어 있다.

-기획의도-
신무녀도는 김동리 선생님의 단편소설 무녀도를 새롭게 재구성 하여 만든 창작무용극으로 지역무용의 활성화에 다소나마 기여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기획 된 순회공연이다.

《신무녀도》
김동리의 단편소설 무녀도를 모티브로한 작품으로 무녀와 아들의 중교적 가치관이 충돌하면서 불화가 생기고 아들의 죽음과 함께 무녀 또한 죽음을 따르고 난 후 홀로 남은 딸의 슬픔을 보면서 우리 삶에 여러 가치관의 혼란과 흑백논리를 춤으로 표현하였다.
제1장 세례-무녀 아들의 천주교 세례식 장면
제2장 흰 달빛 정원-아들이 돌아와 모녀와 만나는 장면
제3장 모화의 굿판-무녀의 굿판을 통해 그녀의 현재상황과 앞으로 전개될 삶을 예고
제4장 악몽-아들의 심리적 억압으로 남은 천주교 혈연애의 이미지들
제5장 역모-모자간의 갈등으로 아들의 죽음
제6장 두 개의 회오리 바람과 길-무속집단과 천주교 집단의 충돌로 구성되어 공연되었다.

"기증자: 최은희(원로무용가)"

출연진

김은이, 배정현, 장문주, 이인태, 김도희, 김옥경, 김정경, 이정숙, 정신혜, 여지영, 신병철, 김기표, 이은정, 김민, 박영주, 손정화, 신진욱, 우현진, 김선희, 최경희, 정윤주, 이영숙, 김문정, 빈영주

제작진

(감독)김은이

유관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