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설명
"98 The 8th Seo Sook Ja Dance Performance"
-자료설명-
(팜플렛)1998년 5월 22일 경성대학 콘서트홀에서 열린 《제8회 徐淑子 춤 作品展》팜플렛이다. 모시는 글, '즉흥무Ⅱ', '신칼 넋들임', '웅비(雄飛)', '장고춤(長鼓舞)'로 구성된 공연 내용, 출연자 명단 및 사진, 학력과 경력 수상경력 공연경력을 포함한 프로필이 기술되어 있다.
(초대권)1998년 5월 22일 경성대학 콘서트홀에서 열린 《제8회 徐淑子 춤 作品展》초대권이다. 공연 일시 및 장소 작품의 소제목, 주의사항이 기술되어 있다.
-기획의도-
한국적 춤 언어와 동양 정신의 예술적 형상화와 우리 전통 철학에 담긴 얼을 구현해 보고 싶습니다. 우리 춤의 내용과 형식을 분류, 탐구하여 기본 틀을 구조화하며, 과학적, 역학적인 기능과 접목시켜 재창조하는 작업을 하고자 합니다.
《즉흥무 Ⅱ 卽興舞》
즉흥무'는 산조 음률에 맞춰, 전통 춤을 기본으로 하되 일정한 틀에서 벗어나 내적 충동에 의한 감정을 자유롭게 표출하여 춤사위를 구사한 작품이다.
《신칼 넋들임》
이 춤은 인간문화재 이동안(李東安)선생의 '신칼 대신무'를 배우면서 그 멋에 매료되어 현대 감각에 맞도록 재안무, 재구성, 재창작하여 발표하는 것으로, '신칼 대신무'는 경기 무속(巫俗) 장단 중의 엇중모리 장단에 맞추어 양손에 신칼을 들고 추는 춤이다.
딸이 돌아가신 아버지의 넋을 위로하고, 원한을 풀어 드린 다음 아버지를 직접 업고 저승길을 모시고 간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웅비 雄飛》
봄의 산들바람을 느끼며 세속에 물든 마음을 정화(淨化)하고, 신록의 변화를 보며 삶의 방향과 자세를 가다듬으며 부질없는 욕망을 떨치고 보다 차원 높은 삶을 영위하고픈 순수한 소망들을 두 나래에 담아 웅비(雄飛)하고자 하는 마음을 작품으로 표현하였다.
《장고 춤 長鼓舞》
이 춤은 신 무용(新舞踊)의 하나로서 농악놀이에서 비롯하여 설장고 개인놀이로 발전해 온 것이다.
장구를 매고 양 손에 채를 들고 추는 춤으로, 느린 장단의 춤으로 시작해 나중에는 빠른 장단의 다양한 설장고 가락을 구사하는 것이 특징이며, 여러 춤사위로 연출 방법을 달리 표현한 작품이다.
"기증자: 최은희(원로무용가)"
출연진
서숙자, 서은진, 박윤진, 박상용, 박인영, 윤송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