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설명
"수험생을위한 전통춤 들여다보기"
-자료설명-
(프로그램북)2003년 11월28일 부산시민회관 대극장에서 공연된 동아대학교 개교60주년 기념 《김은이「짓」무용단"수험생을 위한 전통춤 들여다보기"》프로그램북이다. 티켓을 포함하고 있으며, 예술감독 김은이의 사진과 함께 -흥미로운 체험학습…전통춤 향기속으로!-글과 부채춤, 무고, 처용무, 진주검무, 산조춤, 태평무, 북과어울림의 소개글이 작품사진과 함께 기술되어 있고, 출연진의 사진및 연혁이 기재되어 있으며, 동아대학교 재학생 출연진의 사진이 함께 나열되어 있다. 「짓」공연연보 기술을 끝으로 프로그램북 구성이 끝난다.
(티켓)2003년 11월28일 부산시민회관 대극장에서 공연된 동아대학교 개교60주년 기념 《김은이「짓」무용단"수험생을 위한 전통춤 들여다보기"》티켓이다. 프로그램북에 포함된 구성이다.
-기획의도-
동아대학교 개교 60주년을 기념하여 졸업생과 재학생이 함께한 공연으로 우리 민족의 삶과 정서가 녹아있는 우리의 전통춤을 해설과 함께 감상함으로서 한국인의 정체성과 우수성을 느껴보자는 의미로 기획 되었다.
《부채춤》
국내에서 가장 널리 알려지고 사랑 받는 대중춤으로 1958년 2월 동남아 순회공연에서 호평을 받으면서 한국의 대표적인 춤으로 국내외 널리 알려지게 되었고, 화려하고 아름다운 의상과 더불어 부채로 만들어내는 여러가지 형태(꽃, 산, 파도등)와 빠르게 도는 회전동작 등의 내용이 기술되어 있다.
《무고》
무고의 기원은 고려 충렬왕 때 시중 이혼이 귀양갔을 때 바닷가에서 건져온 뗏목으로 북을 만들어 두드리면서 추었다 하여 무고라는 이름이 붙여졌고, 시대적 변천에 따라 고려시대에는 무고 한 개를 가운데 두고 2인의 무용수가 춤을 추었고, 조선 초기에는 무용수 8인이 8개의 북을, 무용수 6인이 6개이 북을, 4인이 4개의 북을 두고 주위를 돌면서 추었고, 조선 중기에는 무고1개를 가운데 두고 4인의 원무가 긴 북채로 북을 치며 춤을 추면 4인 또는 8인의 협무가 그 주위를 돌면서 원무와 조화를 이루면서 춤을 추었고, 1900년대부터는 무고 1개를 가운데 두고 원무 4인과 꽃을 든 협무 4인의 8인무로 춤을 추어오고 있다. 이번 부대는 쌍무고로 16명의 무용수로 재연하였다는 내용이 기술되어 있다.
《처용무》
중요무형문화재 제39호로 통일신라시대부터 전해오는 역사가 오래된 궁중무용으로 널리 알려진 처용의 설화와 함께 초기에 처용무는 일인무였으나 오방처용무로 확대되고, 후에 궁중나례의식에서 학무와 연화대무와 합설하여 일대창무극으로 재구성되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오늘날 처용무는 오방처용무(청, 홍, 황, 백, 흑)의 의상을 입고서 똑같은 처용가면을 쓴 다섯 명이 춘다. 반주음악은 수제천이며 처용가를 부르고 대부분의 궁중무용은 조용하고 부드러운데 반해 처용무는 유일하게 선이 굵고 활달한 남성적 특징, 무예와 흡사한 독특한 보법과 힘찬 한삼뿌림 사위라는 이 춤의 독특한 점 기술되어 있다.
《진주검무》
검무의 유래는 신라소년이 칼춤을 추다가 백제왕을 죽이고 잡혀 죽자 신라인들이 그의 얼굴과 같은 가면을 쓰고 칼춤을 춘 것에서 비롯되었다. 현재의 진주검무는 진주감영에 교방청 기녀들에 의해 전승된 춤이고, 그 기법이 궁중검무와 흡사하다. 오랜 세월을 지나는 동안 형태가 바뀌어 가면은 쓰지 않고 적을 죽이려는 살벌함도 없어져 부드럽고 유연한 움직임으로 변화되었고 1967년 중요무형문화재 제 12호로 지정되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산조춤》
가야금 산조음악에 맞추어 추는 춤으로 강태홍옹에 의해 만들어져 김온경 선생에게 전수 되고 있는 춤으로 장단은 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 순으로 짜여져 있고 춤사위에 대한 설명이 기술되어 있다.
《태평무》
태평무는 대략100여년 전부터 전해진 춤으로 1988년 중요무형문화재 제92호로 지정된 강선영류의 태평무가 있다. 태평무의 반주음악은 삼현육각으로 반주하고, 낙궁장단, 터벌림장단, 올림채, 도살풀이장단, 터벌림장단의 춤사위 설명이 차례로 기술되어 있고, 특징인 장단에 따른 발 디딤새의 표현으로 기술되어 있다.
《북과 어울림》
북과 관련된 3가지 춤인 북춤, 구정놀이, 삼고무를 한 무대에서 연출하였고, 북춤은 여러 춤꾼들이 북을 어깨에 메고 흥겨운 음악에 맞추어 추는 춤. 구정놀이는 남성 춤꾼들이 큰 북과 작은 북을 놓고 복잡하고 독특한 가락을 다양한 기법으로 두드리는 역동성에 중점을 두는 춤. 삼고무는 틀 위에 3개의 북을 메어 놓고 1명의 춤꾼이 북을 양손으로 번갈아가며 다양한 가락을 치며 추는 춤의 설명이 기술되어 있다.
"기증자: 최은희(원로무용가)"
출연진
정말숙, 박순희, 배정현, 박은정, 강주미, 신상현, 강지은, 홍충민, 박연정, 이진영, 동아대학교재학생 (신성임외31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