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설명
"가야 허황후 삼국유사 권2에 실려있는 가락국의 창시 이야기를 창무극화 한다!"
-자료설명-
2002년 9월 25일 부산문화회관 대극장에서 열린 2002 아시안게임 문화축전 춤과 소리의 총체무극 《가야 許皇后》 프로그램북이다. 부산광역시장 안상영, 제14회 부산아시아경기대회 조직위원회 위원장 정순택의 축사, 예술총감독 김온경, 음악감독 김정애, 경성대학교 무용학과 교수 이영희, (사)국수호 중앙디딤무용단 예술감독 국수호, 경성대학교 무용학과 교수 한은주의 안무자의 辯, 부산대학교 신라대학교 대학원 무용음악 담당교수이자 순음악연구소장 신영순의 작곡자의 辯, 동서대학교 공연예술학부 교수이자 무대연출자인 이종근의 연출자의 辯, 경성대학교 연극영화과 강사이자 극작가협회 회장인 김문홍의 원작자의 辯, 무용대본 및 연출가인 조주현의 대본작가의 辯이 수록되어 있다. 또한 '가야 허황후' 작품 개요와 해설, 출연자의 사진과 명단, 공연에 도움 주신 분 명단이 기술되어 있다.
-기획의도-
제 14회 아시안게임의 개최를 맞아 가락국기(駕洛國記)의 허황후(許皇后)설화를 모티브로 한 작품으로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자긍심(自矜心)과 아시아인에게는 단결과 희망을, 부산이 명실상부한 세계 속의 도시로 발돋움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의도이다.
《가야 허황후》
삼국유사 권2에 실려있는 가락국의 창시 이야기를 무극화 하였다
Act.1 아유타(阿踰陀)
제1막은 '아유타국(阿踰陀國-Ayuthia)'의 흥망(興亡)과 공주 허황옥(許黃玉)'의 유년을 '신시(神市)', '징후(徵候)', '상흔(傷痕)', '부유(浮遊)'의 네 scene으로 표현한다.
Act.2 가락국(駕洛國)
제 2막을 가락국기조(駕洛國記條)의 구지가(龜旨歌)를 토대로 수로왕의 탄강설화(誕降說話)를 '구지가(龜旨歌)', '수로(首露)', '황옥(黃玉)', '조우(遭遇)'의 scene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기증자: 최은희(원로무용가)"
출연진
국수호, 최은희, 엄옥자, 안정헌, 민병수, 이인태, 양정선, 신은주, 조황제, 이지은, 김영욱, 박기선, 김필분, 양후령, 정재성, 이충실, 이광호, 류준, 임형준, 김기표, 홍석기, 박정옥, 서시영, 이창규, 이도연, 김기원, 김문경, 이혜영, 우현진, 이동용, 장선희, 김정애, 이정아, 김지원, 조정례, 차성미, 배현숙, 신수방, 권진희, 강명옥, 이수연, 정다운, 송재윤, 정정옥, 김수진, 이정현, 구지혜, 이채언, 최혜주, 손지연, 김옥희, 김지현, 장현경, 장은아, 허현주, 신영지, 김민정, 하정화, 김경민, 김의정, 김초슬, 이상아, 강은정, 박민교, 안희경, 윤민진, 이경미, 이신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