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예술
다섯번째 남선주의 춤(The 5th Nam Sun Joo Dance) "십우도(十牛圖)(샌드애니메이션으로 풀어보는 전통춤판) 춤추다"
자료등록 :(재)부산문화재단 본 내용은 등록자에 의해 작성된 내용임을 밝힙니다.
NO.DRC0324
- 공연단체남선주 무용단
- 공연장소부산문화회관 중극장
- 공연날짜2012.11.4 ~ 2012.11.4
- 장르전통예술
- 연출
공연설명
"십우도(十牛圖) 춤추다"
-자료설명-
(팜플렛)2012년 11월 4일에 부산 문화회관 중극장에서 남선주 무용단이 공연한 《다섯번째 남선주의 춤(The 5th Nam Sun Joo Dance) "십우도(十牛圖)(샌드애니메이션으로 풀어보는 전통춤판) 춤추다"》의 팜플렛이다. 팜플렛의 내용 안에는 '이영희'의 축사, 대본 '김대식'의 축사, 남선주의 인사말과 약력이 기술되어 있으며 기획의도, 작품공연으로 '태평무(太平舞)', '검기무(劍器舞)', '풍류 장고춤', '해금병창(奚琴竝唱)', '산조춤', '승무(僧舞)', '살풀이춤'의 줄거리와 그림이 있으며 그림과 전통춤의 상관관계를 비유적으로 표현하였다. 추가적으로 출연자 및 제작진의 사진·명단·약력을 끝으로 팜플렛 구성이 끝난다.
(초대권)2012년 11월 4일에 부산 문화회관 중극장에서 남선주 무용단이 공연한 《다섯번째 남선주의 춤(The 5th Nam Sun Joo Dance) "십우도(十牛圖)(샌드애니메이션으로 풀어보는 전통춤판) 춤추다"》의 초대권이다. 초대권의 내용에는 공연일시, 장소, 감독들과 대본 작가의 성함이 기술되어 있으며 입장료, 주최(남선주 무용단), 후원, 예매처, 문의처가 기술되어 있다.
-기획의도-
나를 찾아가며 가치관을 형성하고, 춤 속에서의 깨달음으로 극에 달하고자 함을 관객과 함께 공유하고자 십우도의 열가지 가르침을 기획하였다.
십우도(十牛圖) : 자신의 본성을 찾아 수행하는 단계를 동자나 승려가 소를 찾는 것에 비유해서 묘사한 불교 선종화(禪宗畵)이다. 이런 십우도의 내력에서 춤의 본성이 나타나 있다고 해석하고 전통 춤과의 연결을 통해 십우도를 재해석하였다.
《태평무(太平舞) ① 심우(尋牛)》
태평무(太平舞) : 나라의 태평성대와 풍년이 이어질 것을 염원하며 왕비가 춘 춤으로 섬세한 발놀림과 빠른 장단에 맞추어 추는 춤이다.
① 심우(尋牛) : 한 동자는 소를 찾아 나선다. 잃어버린 소는 자신이 자각하지 못한 참 마음(진아(眞我))으로, 본래 자기 안에 불성(佛性)이 있음을 모르고 다른 곳에서 불성을 찾아 헤매는 것을 '소 잃은 사람이 소를 찾는 것'으로 비유했다.
《검기무(劍器舞) ② 견적(見跡) ③ 견우(見牛)》
검기무(劍器舞) : 본 행사 전에 추는 춤으로, 삿된 것을 물리치고 마음가짐을 경건히 하려는 벽사(피사(辟邪))의 의미를 가졌다.
② 견적(見跡) : 수행자가 고난을 견디고 꾸준히 노력하다 보면 감춰진 본성의 발자취를 발견할 수 있다는 뜻이다.
③ 견우(見牛) : 수행자가 사물의 원리를 살피기 시작하여 곧 견성(見性)에 가까웠음을 표현했다.
《풍류 장고춤 ④ 득우(得牛) ⑤ 목우(牧牛)》
풍류 장고춤 : 빠른 장단에 다양한 장구가락을 구사하며 가볍게 발을 옮기기도 하고 도약하며 추는 매우 발랄한 춤이다.
④ 득우(得牛) : 잃어버린 소를 찾아 붙잡았으나 이미 분방해진 소가 쉽게 끌려오지 않는 것처럼 수행자가 자신의 마음을 다스리려 하지만 이전의 관습에 물든 업력이 너무 커서 쉽사리 승복시키지 못함을 비유했다.
⑤ 목우(牧牛) : 소는 이미 야성(野性)에 익숙해져 순순히 따라 줄 리가 없지만, 길들이는 부단한 노력만이 필요함을 나타낸다.
《해금병창(奚琴竝唱) ⑥ 기우귀가(騎牛歸家)》
해금병창(奚琴竝唱) : 해금 '신현석'의 출연으로 공연된 작품이다.
⑥ 기우귀가(騎牛歸家)
《산조춤 ⑦ 망우존인(忘牛存人) ⑧ 인우구망(人牛俱忘)》
산조춤 : 산조음악(기악독주곡)에 맞춰 추는 춤으로 일체의 소품 없이 몸동작으로만 표현하는 춤이다.
⑦ 망우존인(忘牛存人) : 정작 찾고자 한 것은 소가 아니라 자신의 본성임을 깨닫게 되니 더 이상 소를 찾을 필요가 없음을 나타낸다.
⑧ 인우구망(人牛俱忘) : 소도 사람도 본래 고정적 실체가 없는 모두 공(空)임을 깨닫는다는 뜻의 빈 원상을 보여준다.
《승무(僧舞) ⑨ 반본환원(返本還源)》
승무(僧舞) : 불교적인 색채가 강한 독무(獨舞)로서 한국무용 특유의 '정중동(靜中動) 또는 동중정(動中靜)'의 오묘한 의미가 잘 표현된 춤이다.
⑨ 반본환원(返本還源) : 자신의 본성을 바깥에서만 찾다가 우여곡절 끝에 본래의 자리로 돌아온 후에는 방편이 없음을 역설하고 있다.
《살풀이춤 ⑩ 입전수수(入廛垂手)》
살풀이춤 : 사람들에게 깃든 살(煞)과 액운(厄運)을 제거하여 평화로운 삶과 행복을 기원하는 춤으로 즉흥성을 가장 많이 살리는 특징이 있다.
⑩ 입전수수(入廛垂手) : 신선들의 도술 따위로는 어쩌지 못하는 불행하거나 몽매한 사람들에게 깨우침의 손을 내밀어 평안(平安)의 길로 인도하는 보살행에 임할 것을 강조한다.
"기증자: 최은희(원로무용가)"
출연진
남선주, 김정원, 윤정미, 조현영, 박계영, 구지혜, 이채언, 송윤경, 김예린, 김여운, 이남정, 윤현정, 김유진, 김민지, 이성준 (음악감독·해설), 이관웅, 김연수, 신현석, 박종훈, 이정훈, 고혜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