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예술
"엄옥자/학(鶴)살이 • 김온경/곡두질" 춤꾼/연무회A
자료등록 :(재)부산문화재단 본 내용은 등록자에 의해 작성된 내용임을 밝힙니다.
NO.DRC0344
- 공연단체연무회
- 공연장소부산시민회관
- 공연날짜1986.6.6 ~ 1986.6.6
- 장르전통예술
- 연출
공연설명
-자료설명-
1986년 6월 6일에 부산시민회관에서 연무회가 공연한 《"엄옥자/학(鶴)살이 • 김온경/곡두질" 춤꾼/연무회》의 팜플렛이다. 팜플렛의 내용 안에는 공연의 주체인 연무회의 감사의 말과 공연 프로그램의 안무자인 '엄옥자', '김온경', 연무회 회장 '오덕자'의 드리는 말씀이 기술되어 있다. 또한 공연 프로그램 '학(鶴)살이', '곡두질'에 대한 소개글과 안무자 프로필, 스탭이 기술되어 있고, 마지막으로 연무회 단원 명단으로 팜플렛 구성이 끝난다.
-기획의도-
전통무용 학춤과 봉산탈춤을 재조명하여 전통의 현대화를 시도한 작품들을 선보이기 위해 공연이 기획되었다.
《학(鶴)살이》
엄옥자 안무의 작품으로, 평화의 깃발이 찢어진 황량한 땅에서 살아남은 한마리의 불사조가 시와 기도와 시념과 선언으로 뭉쳐진 자기 몸짓으로 창공을 날으는 꿈을 안고 이 땅을 지킨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곡두질》
김온경 안무의 작품으로, 봉산탈춤을 새로운 시각으로 재조명한 작품이다. 보이지 않는 환영(幻影) 곡두를 형상화시키면서 쾌(儈)·탈(脫)·무무(舞無)의 세 과장으로 분류하였고 사상좌(四上佐)춤, 팔먹중춤, 사자춤을 주제로 하여 약육강식의 내용으로 여성상위시대를 풍자하였다.
출연진
엄옥자, 김온경, 김연화, 김윤옥, 김미현, 박경은, 김진선, 박상미, 임정희, 안진희, 황순희, 이혜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