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메뉴 명

메뉴 열기닫기 버튼

아카이빙 콜렉션

전통예술

'88 기획시리즈 전통무용과의 만남 "다섯번째 윤보경의 춤"

자료등록 :(재)부산문화재단 본 내용은 등록자에 의해 작성된 내용임을 밝힙니다.

NO.DRC0348

  • 공연단체윤보경
  • 공연장소파랑새 예술극장
  • 공연날짜1988.11.5 ~ 1988.11.5
  • 장르전통예술
  • 연출

공연설명

-자료설명-
1988년 11월 5일 파랑새 예술극장에서 공연된 《'88 기획시리즈 전통무용과의 만남 "다섯번째 윤보경의 춤"》의 리플렛이다. 배김새의 모시는 글이 기술되어 있고, 춤패 배김새의 소개글이 기재되어 있으며, 공연순서와 작품내용이 기술되어 있다. 그리고 윤보경의 사진과 프로필이 나열되어 있으며 공연장 약도와 차기공연안내를 끝으로 리플렛 구성이 끝난다.

-기획의도-
춤패 배김새의 88년 시리즈로 '전통 춤과의 만남'이라는 주제로 기획되었다.

《살풀이》
호남지방의 씻김굿에서 유래되어 기녀들에 의해 예술적으로 다듬어져 오늘에 이르게 되었고, 한국무용의 네가지 한흥멋태를 고루 갖춘 여성의 춤이다.

《고성승무》
중요무형문화재 제7호인 고성오광대 4과장 놀이마당에서 백색 고깔을 쓰고 장삼을 입고 굿거리장단에 맞추어 추는 춤이다.

《북춤》
중요무형문화재 68호인 밀양백중놀이 중에서 북을 메고 춤을 추는 대목이다.

《학춤》
정월 초순경에 "동래야류"를 놀때 길놀이가 끝나면 각종 장기를 겨루는 춤으로 갓을 쓰고 흰 도포를 입은 한량들이 너울너울 추는 덧베기 춤이다.

《고성 말뚝이춤》
중요 무형문화재 제7호인 고성오광대 2과장 놀이마당에서 용감하면서 건강함을 나타내는 춤으로서 옛적에는 머슴을 주로 말뚝이라 불렀으며 양반을 희롱하는 춤이다.

《허튼춤》
일정한 형식이나 동작에 구애됨이 없이 흥과 멋이 주체가 되어 즉흥적이며 개인적 의지가 강하게 투사되는 창작적 자유무라 할 수 있다.

출연진

윤보경, 정미숙, 이윤석

제작진

(감독)윤보경

이미지 콘텐츠

유관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