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설명
-자료설명-
2011년 11월 17일에 경남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에서 아시아춤문화연구소가 공연한 《아시아 민속춤 시리즈 Ⅱ "춤으로 만나는 아시아" ASIA ETHNIC DANCE SERIES 2011 One Asia in Dance》의 팜플렛이다. 팜플렛 내용은 각각 한국어와 영어로 기술되어 있다. 팜플렛의 내용 안에는 해당 공연의 총감독이자 아시아춤문화연구소 소장 '김미숙'의 모시는 글, 경상대학교 총장 '하우송', 진주시장 '이창희'의 축사가 기술되어 있다. 또한 공연 프로그램 '한국_진주검무', '한국_큰태평무', '스리랑카_나가 락사', '중국_마사야가', '일본_나가우다 에치고사자춤', '한국_허튼살풀이', '인도_카닥', '중국_교화단', '부탄_드라미체 느가참', '중국_변검', '한국_상생·소리굿'에 대한 소개글과 출연진이 기술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공연의 총감독 '김미숙'의 프로필, 출연진들 프로필과 명단, 공연의 기획자 '정은영'의 공연 소개글로 팜플렛 구성이 끝난다.
-기획의도-
다양한 춤 문화자원을 축적하고 있는 진주에서 아시아인의 축제를 통해 지역민들과 함께 소통, 화합하여 평화를 기원하는 뜻 깊은 공연이 되기를 희망하며 공연이 기획되었다.
《한국_진주검무》
중요무형문화재 제12호 진주검무는 8명이 춘다고 하여 팔검무라고도 하며, 현존하는 궁중계열의 춤 중 역사가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른 검무와 달리 목이 꺾이지 않는 칼을 사용하며 장단의 구성이 독특하고 춤사위가 다양한 것이 특징이다.
《한국_큰태평무》
나라의 태평성대를 기원하는 내용을 춤으로 표현한 것으로, 발디딤새가 돋보이는 특징적인 무대로 정한미가 담겨 있다. 오늘날 큰태평무는 정재만의 원작으로 한국미의 아름다움을 빛낸다.
《스리랑카_나가 락사(Naga Raksha)》
나가 락스는 스리랑카 전설에 따르면 라마야나에서 라바나왕 락사사스에 의해 불려졌던 것이다. 나가 락사에서는 악마탈을 쓰고 악마춤을 춤으로써 악마를 물리치고 사람들의 병을 치료하는 의미를 담고 있는 주술과 의례적인 춤이다.
《중국_마사야가(摩梭夜歌)》
중국남부의 마사족은 '여존남수' 전통을 가진 민족으로, 모친가장제도는 마사족 소녀들에게 사랑에 대한 희망과 동경을 가지게 한다. 마사족 소녀들이 사랑하는 사람이 오기만을 기다리며 기도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일본_나가우다 에치고사자춤(越後獅)》
에도시대에 에치고 지방에서 나온 스트리트 퍼포머(광대)가 에도시를 돌아다니며 사람을 모아 춤이나 간단한 재주를 보여주면서 생계를 이어나간 모습을 묘사한 춤이다.
《한국_허튼살풀이》
정재만의 허튼소리 춤을 모태로 한국 춤의 즉흥성, 흥과 멋, 신명 등을 주제로 하여 이후 정재만이 첫 선을 보인 춤이다. 전통살풀이 기법을 허튼 가락과 사위로 풀어냈으며, 맺고 푸는 즉흥성과 자유로움을 마음대로 구사할 수 있는 춤이다.
《인도_카닥(Kathak)》
북인도를 대표하는 인도 전통무용으로 '이야기꾼'이라는 뜻에서 유래되었다. 뿌자(예배)의 한 형식으로 이루어지다가 이후 궁전의 연회에서 추어지게 되었다.
《중국_교화단(俏花旦)》
화단(花旦)은 중국희극 배역 중의 하나이다. 중국의 사천 전통극인 천극(川剧) 예술표현형식을 통하여, 열명의 무용수들이 멋지고 영리한 소녀의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춤이다.
《부탄_드라미체 느가참(Dramitse Ngacham)》
드라미체 지역에서 연행되던 탈춤으로 16명의 북을 치는 사람들로 구성된 춤이다. 16명의 연희자 가운데 한 명으로 악귀를 몰아내고 평화로운 세상을 만든다는 내용이다.
《중국_변검(变脸)》
중국 사천성 지역의 연극에서 추는 가면 춤으로, 변검의 화려하고 웅장한 기세와 각종 가면의 재빠른 전환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_상생·소리굿》
신풀이, 살풀이 또는 풍년기원의 의미와 함께 전통적 민중악의 순수 우리말인 풍물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소리울림과 춤의 하모니가 상생의 에너지를 넘치게 하며 가득 찬 멋과 아름다움을 안겨준다.
출연진
최종민, 정재만, 유영희, 김태연, 박설자, 양향동, 고빈, 마노제이 드브랄, 하나야기 아야마이, 느가왕 텐진, 헤라쓰 차미니, 전은경, 이화진, 민성희, 하묘, 이흔, 무천무용단, 아시아전통무용단, / (진주검무 출연진 및 반주) 남정희 외 23인 / (반주자) 박덕현 외 4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