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설명
"3代를 이어온 전통춤 지킴이…"
-자료설명-
(팜플렛)2008년 9월 30일 부산 동래문화회관 대극장에서 열린 《2008 윤여숙의 춤(3代를 이어온 전통춤 지킴이…)》팜플렛이다. 모시는 글, '무산향(舞山香)', '동래고무', '김온경류 굿거리춤', '살풀이춤', '강태홍류 산조춤', '동래학춤'으로 구성된 프로그램 내용 소개와 출연자의 사진과 명단, 윤여숙의 약력이 기술되어 있다.
(초대권)2008년 9월 30일 부산 동래문화회관 대극장에서 열린 《2008 윤여숙의 춤(3代를 이어온 전통춤 지킴이…)》초대권이다. 공연 일시 및 장소, 후원((사)부산민속예술협회, 춤두레 무용단), 주의사항이 기술되어 있다.
-기획의도-
전통춤 공연을 통하여 관객들이 우리의 정서와 그 속에 새겨져 있는 민족의 얼을 함께 느끼고자 한다.
《무산향(舞山香)》
순조 28년 6월의 진작에서 춘앵전과 창제되어진 독무로 장중하면서도 활발한 느낌으로 양강(陽剛)의 미를 표현하며, 대모반(玳瑁盤)이라는 침상모양과 비슷한 무대 위에서 추어지는 춤으로 실외적인 분위기를 춤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동래고무》
4인의 무원들이 중앙에 큰 북을 놓고 서로 자리를 옮겨가며 북을 치면서 춤을 추는데 다양한 춤의 기법과 단아하면서도 절제된 춤사위를 표현한 작품이다.
《김온경류 굿거리춤》
굿거리춤은 굿거리 장단에 맞춰 추는 춤으로 모든 한국 춤의 바탕이 되며 춤꾼에 따라 다양하게 춤을 구사하면서 춤을 풀어가는 자유분방한 묘미를 표현하는 작품이다.
《살풀이춤》
호남 무속의 살풀이 장단과 시나위 음악에 맞추어 추며 한국 전통춤의 백미를 춤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강태홍류 산조춤》
가야금 산조 명인 강태홍의 가락에 춤을 얹은 것으로, 이 춤은 산조의 우조와 평조 계면조를 동시에 사용하며 우조의 우아함 평조의 편안함 계면조의 섬세함을 춤사위로 표현한 작품이다.
《동래학춤》
동래관속이나 한량들에 의해 추었던 동래 덧배기춤의 한 유형으로 춤이 천박하지 않고 기품과 격조를 겸비한 선비다운 멋을 지니며, 검정 갓에 흰 도포자락의 움직임에서 학이 나는 모습을 연상시키는 춤사위를 표현한 작품이다.
출연진
윤여숙, 박순희, 문임선, 전정숙, 현진옥, 김순애, 김정애, 김무희, 박선홍, 안시향, 조보경, 윤월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