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메뉴 명

메뉴 열기닫기 버튼

아카이빙 콜렉션

전통예술

2017 영남춤축제 춤, 보고싶다 "원필녀의 춤 최현 춤을 다시 읽다"

자료등록 :(재)부산문화재단 본 내용은 등록자에 의해 작성된 내용임을 밝힙니다.

NO.DRC0426

  • 공연단체부산예고 무용과, 원필녀, 김호동, 윤명화, 정혜진, 정혜준, 김수아, 유혜지, 권미선
  • 공연장소국립부산국악원 예지당
  • 공연날짜2017.9.1 ~ 2017.9.1
  • 장르전통예술
  • 연출

공연설명

"한국춤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담아내는 그릇"

-자료설명-
(팜플렛)2017년 9월 1일에 국립부산국악원 예지당에서 부산예고 무용과, 원필녀, 김호동, 윤명화, 정혜진, 정혜준, 김수아, 유혜지, 권미선이 공연한 《2017 영남춤축제 춤, 보고싶다 "원필녀의 춤 최현 춤을 다시 읽다"》의 팜플렛이다. 팜플렛의 내용 안에는 무용평론·문화예술멘토원로회의 대표 '이상일'의 격려사, 한국무용가 '원필녀'에 대한 소개글, 공연의 출연진 명단과 해설가 '장승헌'의 프로필이 기술되어 있다. 또한, 공연작품 '춤의 약동', '여울', '연가 戀歌', '한 恨', '고풍 古風', '신명', '신이여', '비상 飛翔'에 대한 소개글이 기술되어 있다.

(티켓)2017년 9월 1일에 국립부산국악원 예지당에서 부산예고 무용과, 원필녀, 김호동, 윤명화, 정혜진, 정혜준, 김수아, 유혜지, 권미선이 공연한 《2017 영남춤축제 춤, 보고싶다 "원필녀의 춤 최현 춤을 다시 읽다"》의 티켓이다. 티켓의 내용 안에는 공연 일시, 장소, 공연 문의처, 좌석위치(하층 나열 I-14번), 좌석가격, 공연관람 시 유의사항과 오시는 길 안내 등이 기술되어 있다.

《춤의 약동》
부산예고 무용과의 공연작으로, 최현 류의 기본무를 작품화시킨 것이다. 맺고 어르고 푸는 원리를 바탕으로 다양한 장단을 다채롭게 구성한 작품이다.

《여울-최현 류 산조춤》
원필녀의 공연작으로, 조선조 양반계층 여인들의 한을 다룬 작품이다. 한을 이겨내는 조선시대 여인들의 단아한 자태, 고고한 정신이 '산조선율'의 울림과 어울려 춤이 전개된다.

《연가 戀歌》
김호동, 윤명화의 공연작으로 조선조 선비와 미체(美體)에 물오른 처녀가 밀회하는 사랑의 2인무이다.

《한恨-최현 류 살풀이춤》
원필녀의 공연작으로, 흰 갑사 소복으로 단장한 여인의 삶의 응어리를 무악 시나위 음률의 영적 감흥으로 풀어낸 작품이다. 정·중·동의 표현미의 극치를 이루는 춤이다.

《고풍 古風》
정혜진의 공연작으로, 산조의 선율에 따라 동양의 옛스러움, 활달함과 섬세한 선, 궁형의 발랄함 등을 특징으로 하며 우리만의 정서를 잘 표현한 작품이다.

《신명》
원필녀의 공연작으로, '신명'은 신령과 인간과의 일체감이 불러일으키는 영적상태를 의미하는데, 곧 신명은 춤을 유발시키고 그 춤은 관중과 교감된다.

《신이여》
경기도 도당굿 음악과 형식을 통해, 액을 거두고 복을 비는 마음을 무당춤 형식으로 풀어낸 작품이다.

《비상 飛翔》
원필녀의 공연작으로, '최현'선생이 하늘을 훨훨 날고 싶은 '새'의 의지를 독무로 안무한 작품이다. 경상도의 <덧배기 춤>을 골격으로 드높은 창공을 나는 학의 고고함과 자유분방함이 춤의 특징이다.

출연진

원필녀, 정혜진, 김호동, 윤명화, 정혜준, 김수아, 유혜지, 권미선, 부산예고 무용과

제작진

유관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