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메뉴 명

메뉴 열기닫기 버튼

아카이빙 콜렉션

전통예술

'88 기획시리즈 전통무용과의 만남 "두번째 정미숙의 춤"

자료등록 :(재)부산문화재단 본 내용은 등록자에 의해 작성된 내용임을 밝힙니다.

NO.DRC0428

  • 공연단체춤패 배김새
  • 공연장소가마골소극장
  • 공연날짜1988.4.30 ~ 1988.4.30
  • 장르전통예술
  • 연출

공연설명

-자료설명-
1988년 4월 30일 가마골소극장에서 공연된 《 '88 기획시리즈 전통무용과의 만남 "두번째 정미숙의 춤"》의 리플렛이다. 배김새의 모시는 글이 기술되어 있고, 춤패 배김새의 연혁이 기술되어 있으며, 공연순서가 작품내용과 함께 기술되어 있다. 정미숙의 사진과 프로필이 기재되어 있고, 마지막으로 공연장 약도가 기재되어 리플렛 구성이 끝난다.

-기획의도-
춤패 배김새의 88년 시리즈로 '전통 춤과의 만남'이라는 주제로 기획되었다.

《살풀이》
호남지방의 씻김굿에서 유래되어 기녀들에 의해 예술적으로 다듬어져 오늘에 이르게 되었고, 한국무용의 네가지 한흥멋태를 고루 갖춘 여성의 춤이다.

《범부춤(중요무형문화재 68호 밀양 백중놀이중)》
하용부의 특별찬조출연으로 공연되었다.

《승무》
불교의식무인 작법중 법고춤이 세속화된것으로 한국의 모든 춤 중에서 가장 승화되고 상징성이 높은 춤으로 세월이 거듭될수록 그 예술성을 인정받고 있는 한국의 대표적인 춤이다.

《고숭문둥북춤》
중요 무형문화재 7호인 고성오광대 놀이중 두번째 북춤마당에서 추어지는 춤으로 소고를 든 호박광대가 문둥탈과 벙거지를 쓰고 춘다.

《동래학춤》
부산지방무형문화재 3호인 동래학춤은 갓을 쓰고 흰 도포를 입은 한량들이 추는 춤으로 너울너울 추는 덧배기춤이 마치 학이 춤추는것 같다하여 학춤이라 하였다.

《허튼춤》
일정한 형식이나 동작에 구애됨이 없이 흥과 멋이 주체가 되어 즉흥적이며 개인적 의지가 강하게 투사되는 창작적 자유무라 할 수 있다.

출연진

정미숙, 윤보경, 하용부

제작진

(감독)정미숙

이미지 콘텐츠

유관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