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설명
-자료설명-
1993년 11월 1일에 부산문화회관 대강당에서 전통춤 5인회(최은희, 김진홍, 김온경, 엄옥자, 채희완)가 공연한 《제3회 전통춤 5인전》의 팜플렛이다. 팜플렛의 내용 안에는 공연의 주체인 전통춤 5인회의 인사말, 스탭 명단이 기술되어 있다. 또한, 공연이 작품 '태평무', '살풀이춤', '승무', '산조춤', '봉산탈춤 8목중춤' 순으로 진행됨을 소개하고 있으며, 각 작품별 설명, 출연자 명단 또한 기술되어 있다.
-기획의도-
우리 전통춤을 올바르게 배우고 습득하여 계승, 전달시키고자 기획한 공연으로, 3회째를 맞이하였다.
《태평무》
왕과 왕비 그리고 태평성대를 축원하는 내용의 춤이다. 경기도 도당굿에서 행하여진 무악과 무무(巫舞)를 명고(名鼓) 명무(名舞)였던 한성준 옹이 재구성한 예술적인 춤이다. 궁중왕비 복식인 당의를 착용하고 가볍고 절도있는 진쇠장단을 바탕으로 빠르게 딛는 발디딤새를 특징으로 한다. 공연무대에 올려지는 작품은 한영숙에 의해 전하여지는 태평무이다.
《살풀이춤》
정,중,동의 미가 극치를 이루는 신비스럽고도 환상적인 춤으로, 김진홍 안무로 진행된다.
《승무》
대표적인 전통 민속춤 중 하나로, 가장 승화되고 뛰어난 상징성으로 예술성이 높이 평가되고 있다. 여러 발생설이 있으나 가장 영향을 많이 받은 것은 불교의식무인 작법 중 법고춤이 세속화된 것이라는 설이다. 다른 민속춤과는 달리 극히 정도를 고집하는 이지적이면서도 초인적이며, 상식적인 미의식을 지니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산조춤》
남도지방 무악계통의 하나인 시나위 가락에서 나온 기악독주곡인 '산조' 가락에 얹혀 추어지는 춤이다. 공연 무대에 올려지는 산조춤은, 성금련 가야금 산조에 의한 김백봉님의 산조춤사위를 바탕으로 엄옥자 안무가가 추는 작품이다.
《봉산탈춤 8목중춤》
수도자인 동시에 세속에 물든 파계승이란 뜻의 먹중, 또는 목중 여덟이 차례로 나오는 작품이다. 화려한 복색과 귀면(鬼面)형의 탈, 한삼자락의 장쾌한 춤사위로 원색적인 욕망을 숨김없이 드러내는 춤이다.
출연진
최은희, 김진홍, 김온경, 엄옥자, 황해순, 최찬열, 권헌수, 배현열, 전병복, 서영수, 김경철, 김종덕, 소리사랑, 이상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