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설명
"제2회 정진욱의 춤"
-자료설명-
1993년 9월 22일에 문화회관 중강당에서 정진욱이 공연한 《제2회 정진욱의 춤》의 팜플렛이다. 팜플렛 내용 안에는 '배혜경', '양학련'의 격려사가 기술되어 있으며 정진욱의 인사말, 프로필이 기술되어 있고, 작품공연으로 '살풀이', '성(城)을 지키는 사람들'의 줄거리 및 안무자의 변이 기술되어 있다. 추가적으로 출연자 및 제작진의 명단·사진, 《제1회 '정진욱의 춤'》에 대한 평론을 끝으로 팜플렛 구성이 끝난다.
-기획의도-
소재의 선정과 안무의 여운은 숨어있는 우리들 시대의 아픔과 현실의 필연성을 불러내어 자칫 소홀하기 쉬운 사연들을 표출하는 데 만은 여한이 없다. 이러한 작품 연구를 거듭해나가다 보면 나의 성숙된 작품세계는 물론 한국춤 발전에도 기여함이 될 것이다.
《제1부 살풀이》
이 춤은 무속의식에서 액을 풀어서 안심입명, 나아가서 행복을 맞이한다는 종교적 소원이다. 춤꾼의 순간적 감정에 따라 자유자재로 춤사위를 구사할 수 있는 다양성이 특징이다.
《제2부 성(城)을 지키는 사람들》
제2부 성(城)을 지키는 사람들 : 위태로운 농심(農心)의 애끓는 사연과 역겹도록 도도한 외세의 압력을 평화 · 원망 · 절규 · 인내의 장으로 나누어 사물과 현대음악의 앙상블을 가미시킨 작품이다.
제1장 어슬픈 행복 : 때론 풍년으로, 때론 흉년으로 내가 나를 살찌게 여기는 어설픈 행복이 고요와 신비한 마음으로 늘 곁에 있다.
제2장 삼키는 아우성 : 가난하고 힘없는 농민들을 수탈하고 배척하는 강한 외세의 힘에 한 맺힌 절규를 한다. 차라리 숨을 죽이는게 낫노라 외치는 그들. 끝내 번지지 못할 아우성만 살이 찐다.
제3장 성(城)을 지키는 사람들 : 고통 속에서 나의 성을 지키는 마음은 점차 가난해진다. 하지만 우리는 기어이 바탕된 생활을 찾고 살아야 한다. 우린 신토불이(身土不二) 우리 것은 우리가 지키리라.
라는 내용이 기술되어 있다.
출연진
정진욱, 박경련, 박은정, 이민아, 강향화, 김미리, 최재연, 서수정, 황정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