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설명
"장선희의 춤"
-자료설명-
(팜플렛)1999년 6월 11일에 부산문화회관 중강당에서 장선희가 공연한 《장선희의 춤》의 팜플렛이다. 팜플렛 내용 안에는 '조치훈' <승무>의 일부 내용과 작품공연의 차례가 기술되어 있으며 '김진홍'의 격려사, '강문득'의 축사, 장선희의 인사말이 기술되어 있고, 출연자 및 제작진의 명단·사진·약력, 작품공연으로 '사물과 성주풀이', '산조춤(김진홍류)', '살풀이춤(이매방류)', '가야금 산조(김병호류)', '지전춤(김진홍류)', '동래한량춤(김진홍류)', '승무(이매방류)'의 줄거리와 공연사진이 기술되어 있다. 추가적으로 후원에 대한 사진과 내용, 장선희의 약력과 주요연혁을 끝으로 팜플렛 구성이 끝난다.
(초대권)1999년 6월 11일에 부산문화회관 중강당에서 장선희가 공연한 《장선희의 춤》의 초대권이다. 초대권의 내용에는 공연일시, 장소, 주관(김진홍 전통춤연구회), 후원, 입장료, 유의사항, 문의처가 기술되어 있다.
-기획의도-
춤은 나의 삶 자체가 되었으며 나 자신과의 싸움을 통해 더욱 발전하여 이 무대가 하나의 구심점이 되었으면 한다.
《사물과 성주풀이》
성주풀이란 성주신(城主神)에게 가정의 번영을 축원하는 무가(巫歌)이다. 이를 고사(告祀)소리(비나리) 또는 민요로 불려지기도 한다.
《산조춤(김진홍류)》
독주 형식으로 연주되며 예술적 차원으로 승화된 민속음악으로서 우리나라 전통음악 중 고전음악의 범주에서도 그 백미를 꼽히고 있다. 김진홍류의 산조춤은 담백함과 절제미를 담고 있다.
《살풀이춤(이매방류)》
정·중·동의 미("멋")가 극치를 이루는 신비스럽고도 환상적인 무작으로 구성된 춤이다.
《가야금 산조(김병호류)》
가야금산조의 명인인 김병호 선생의 산조가락을 가야금으로 연주한 작품이다.
《지전춤(김진홍류)》
망자의 넋을 불러 깨끗이 씻어주어 부정을 가시고 원과 한을 풀어주며 극락으로 보내는 춤이다.
《동래한량춤(김진홍류)》
흥은 안으로 삭이고, 드러냄을 자제하며 춤사위의 흥축된 절제를 통해 뽐내지 않는 겸손함으로 한량춤의 멋과 흥을 더욱 크게 보여주는 춤이다.
《승무(이매방류)》
속세와의 완전한 결별을 굿거리춤으로 표현하며 힘차고 호화로운 장삼놀음과 경건하고 매서운 발디딤새의 특징이 있다.
출연진
장선희, 김진홍, 강문득, 신문범 (고수), 조갑용, 이용태, 김윤석, 이상관, 김현옥, 유정인, 유정남, 홍복순, 김현임, 이귀선, 김명숙, 양종 승(해설), 김갑용 (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