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설명
-자료설명-
2004년 3월 26일부터 28일까지 부산민주공원에서 민족미학연구소가 공연한 《제10회 신인 춤 제전 "젊고 푸른 춤꾼 한마당"》의 포스터이다. 포스터의 내용 안에는 민족미학연구소장 '채희완'의 인사말, 공연 작품별 소개글, 출연진, 스탭 명단이 기술되어 있다. 해당 공연은 part 1, 2 순으로 진행되는데, part 1은 '깨달음', '잿빛 영혼의 노래', '또 다른 인사', '틀 밖에서 나를 본다', 'Breakless', '눈물', '침묵'으로 구성되어 있고, part 2는 '깨진 메주는 완전하다', '타투(Tattoo)', '가리워진 길', '돌', '가시', '어느 학술원의 보고', '광대의 노래', 'Heart'로 구성되어 있다.
-기획의도-
젊고 푸른 춤꾼 한마당'의 10회째 공연으로 기획되었다.
《part 1
'깨달음'》
이혜진 안무의 작품으로, '쉬어가고 쉬어가고 한 생각 만년가고'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part 1
'잿빛 영혼의 노래'》
서준영 안무의 작품으로, 우리 생명의 근원에 대해 고찰하고 죽어가는 생물들을 위한 진혼곡의 내용을 담고 있다.
《part 1
'또 다른 인사'》
김설리 안무의 작품으로, 사람들이 흔히 하는 인사 속에 상반된 또 다른 모습의 인사가 존재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part 1
'틀 밖에서 나를 본다'》
허현주 안무의 작품으로, 내가 만든 틀덩어리에서 혼자인 나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는 작품이다.
《part 1
'Breakless'》
박근영 안무의 작품으로, 스스로 말릴 수도 없이 몸을 눕혀 끌고 다니는 한 여자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part 1
'눈물'》
허경미 안무의 작품이다. 감성과 이성, 열림과 닫힘, 강요당하는 여성과 강요하는 남성의 대립을 너머 눈물을 매체로 이해하고 화해하는 과정을 담고 있는 작품이다.
《part 1
'침묵'》
김윤규 안무의 작품으로, 자유로 인도하는 침묵을 통해 진정한 나를 얻는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part 2
'깨진 메주는 완전하다'》
구지혜 안무의 작품으로, 오랜기간을 거쳐 완전한 쓰임새를 갖추게 되는 메주에 비유하여 사람이 되어가는 과정을 표현한 작품이다.
《part 2
'타투(Tattoo)'》
장원미 안무의 작품으로, 전쟁이 남긴 상흔은 지울 수 없는 지독한 문신과 같음을 내용으로 하고 있는 작품이다.
《part 2
'가리워진 길'》
허윤정 안무의 작품으로, 운명과도 같은 밧줄이 인생이었음을 깨닫고 이를 통해 삶을 보듬을 수 있음에 비로소 완전해진 나를 표현하는 작품이다.
《part 2
'돌'》
왕정희 안무의 작품으로, '삶의 흐름... 그 다채로움이 용축되어 돌의 된다'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part 2
'가시'》
신지현 안무의 작품으로, '뱉어도 뱉어지지 않고 삼켜도 삼켜지지 않는 속에 것 다 토해 놓고 거친 숨 몰아쉰다. 그때는 몰랐다. 내가, 지난날 목에 걸린 가시로 만들어졌음을.' 이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part 2
'어느 학술원의 보고'》
손영민 안무의 작품으로, 프란츠 카프카의 작품 '어느 학술원의 보고'를 모티프로 해서 유인원의 본능적인 움직임과 유인원이 바라보는 인간의 부조리를 표현한 작품이다.
《part 2
'광대의 노래'》
김태희 안무의 작품으로, 광대의 노래를 내용으로 하고있다.
《part 2
'Heart'》
임현미 안무의 작품으로, '...닫았다. 여미고 간직하고 싶었다. 숨은 기억 미친 듯 타오르는 가슴 태우고 태우고 태우고... 창을 열었다. 바다가 보인다.'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출연진
이혜진, 서준영, 김슬기, 송해인, 김설리, 허현주, 박근영, 손재서, 허경미, 김윤규, 구지혜, 장원미, 허윤정, 왕정희, 신지현, 한승훈, 최아름, 김영란, 손영민, 김태희, 임현미, 염지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