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설명
-자료설명-
1992년 10월 3일 부산문화회관 소극장에서 공연된 《김온경의 전통춤》 프로그램북이다. 김온경의 소개글이 기술되어 있고 '춤과 나의 의미'라는 제목의 인사말이 기재되어 있다. 프로그램으로는 살풀이춤, 동래고무, 승무, 통영검무, 산조춤, 범무춤, 동래학춤이 공연되었는데 작품소개글이 각 각 기술되어 있고, 공연일시와 저서 및 논문이 나열되어 있다. 특별찬조출연인 신명숙(강태홍류 가야금산조 보유자)와 신태형(동래지신밟기 조교)의 소개를 끝으로 프로그램북 구성이 끝난다.
《살풀이춤》
맺힌 액을 풀어서 행복을 맞이한다는 신앙적 염원의 의의를 담고 있다.
《동래고무》
4인의 무원들이 중앙에 큰 북을 놓고 서로 자리를 옮겨가며 북을 치면서 춤을 추는데 다양한 춤의 기법보다는 단아하면서도 장중한 분위기가 돋보이는 춤이다.
《승무》
한국의 춤 중에서 가장 승화되고 상징성이 높은 춤으로 예술성이 높이 평가되고 있는 대표적인 춤이다.
《통영검무》
신라시대에 발생한 것으로 일명 검기무라고도 전하며 관기들에 의하여 성장 발전되어 오늘날까지 전승된 춤이다.
《산조춤》
강태홍 가야금 산조에 맞추어 추었던 실내무용의 홀춤으로 강태홍류 산조가락에만 출 수 있는 특이성과 난이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
《범무춤》
밀양지방의 토속춤으로 허튼춤의 한 갈래로 볼 수 있는데 백중놀이의 다섯째 마당에서 병신춤으로 웃음바다가 된 놀이판에서 병신춤꾼들을 물리치고 이 범부춤을 춘다.
《동래학춤》
동래지방의 토속춤으로 한량들에 의해 즐겨 추어왔던 동래 덧배기춤의 한 유형이다. 검정 갓과 흰 도포자락의 움직임이 마치 학이 나는 모습을 연상케 하며 춤사위에서 풍기는 청초하고 우아한 멋으로 고고한 학을 상징적으로 연상시키는 춤이다.
"기증자: 최은희(원로무용가)"
출연진
김온경, 전정숙, 김정숙, 장인숙, 김무희, 박순희, 문임선, 김순애, 김정애, 김윤옥, 이계숙, 신영미, 임정희, 신명숙, 신태형, 하용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