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설명
"국립부산국악원 제73회 화요공감무대 김미숙무용단 회향Ⅱ"
-자료설명-
2011년 5월 31일 국립부산국악원 소극장에서 열린 국립부산국악원 제73회 화요공감무대 김미숙무용단 《회향Ⅱ》 팜플렛이다. 프로그램 목차, 스텝 명단, 경상대학교 민속무용학과 교수 김미숙의 인사말과 약력을 포함하고 있으며, '진주검무', '태평무', '영남입춤', '살풀이춤', '동래학춤', '비연무', '소고춤'으로 구성된 프로그램 내용, 출연자의 사진과 명단, 공연장 약도가 기술되어 있다.
《진주검무(중요무형문화재 제12호)》
신라의 관창을 애도하는 춤으로, 남색 전복에 홍색 전대를 가슴에 메고 전립을 쓰고, 양손에 9색 한삼을 끼고, 그 안에 칼을 들고 춤을 추다가 한삼을 벗고 칼만 들고 추는 춤사위를 표현한 작품이다.
《태평무》
太平聖代를 축원하는 작품으로 왕비의 화려하고 우아한 자태미와 절제된 情恨美를 표현한 작품이다.
《영남입춤》
동래야류나 오광대 등의 덧배기춤의 골격을 이어받아 영남지역 특유의 춤 멋을 표현한 작품이다.
《살풀이춤》
인간의 희·노·애·락(姬·怒·哀·樂)감정을 흰 수건에 담아 표출한 작품이다.
《동래학춤(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 3호)》
인간의 자연발로의 감흥에서 학처럼 춘 것이 오늘날 동래춤에 있어 하나의 중심이 된 작품이다.
《비연무》
산조춤의 하나로 '새가락 별곡(성금연 작곡)'에 춘 독특한 춤으로 한국여성의 내면세계를 춤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소고춤》
농악에서 소고춤을 모아 화려한 군무로 재구성한 작품이다.
출연진
육재민, 김완수, 이동민, 김경률, 김도영, 김수비, 김정연, 박민송, 박민지, 이은영, 임지원, 전경선, 전향민, 이성훈, 유금선, 박설자, 김행자, 조순애, 강광근, 김정희, 신호수, 박준식, 이호진, 문준모, 최영훈, 박지원, 김희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