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메뉴 명

메뉴 열기닫기 버튼

아카이빙 콜렉션

무용

춤패 배김새 15주년 기념집

자료등록 :(재)부산문화재단 본 내용은 등록자에 의해 작성된 내용임을 밝힙니다.

NO.DRC0489

  • 공연단체춤패 배김새
  • 공연장소
  • 공연날짜2001.1.20 ~ 2001.1.20
  • 장르무용
  • 연출

공연설명

-자료설명-
2001년 1월 20일자로 발행된 《춤패 배김새 15주년 기념집》프로그램북이다. 춤패 배김새의 연혁기술이 한글과 영어로 기재되어 있고, 그내용으로는 1985년 12월 한국 전통춤을 토대로 지역적 특성을 살려 영남지역내에 춤의 언어를 찾고 현시대를 대변하며 관객과 삶의 공감대를 형성할수 있는 춤을 만들려는 목적과 실험정신을 가진 부산의 한국무용 전공자모임 단체라는 내용이 있다. 최은희(경성대무용과)교수를 중심으로 4명이 창단하여 현재 30여명에 이르게 되었고, 지역의 땅을 확고히 다지라는 뜻에서 '배김새'라는 명칭을 빌어 창단된지 15주년이 되었다는 최은희 교수의 글과, 배김새 대표 하연화의 15주년 인사말이 기술되어 있다. 그리고 정기공연에 대한 안내가 1986년 1회 '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부터 2000년 15회 '신새벽-몸과 신기류의 만남'까지 작품과 안무가에 대해 나열되어 있고, 공연사진과 기사스크랩이나 칼럼등이 같이 기재되어 있다. 개인공연에 대한 안내도 기술되어 있는데 정미숙의 '히로시마 그리고 1995'부터 최은희와 춤패 배김새의 '아리랑 진혼무'까지의 작품 사진및 기사 스크랩이나 칼럼등이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1987년 12월 한국춤모임 짓의 창간호에 '춤패 배김새와의 만남'글부터 2000년 6월 29일 국제신문의 인터뷰까지가 실려있으며, 제11기 박미영의 '자아를 찾는 나만의 여정'에세이부터 김종덕의 '나만의 작은 성(珹)을 쌓아올리는 까닭은'이란 에세이까지 수록되어 있다. 그리고 경성대학교대학원 무용교육전공 홍이경의 '청각장애인의 무용작품 감상 이해를 높이기 위한 연구'라는 제목의 교육학 석사 학위논문이 실려 있으며, 해외공연으로 99년 9월 신은주의 '쓰시마 아리랑 축제를 다녀와서'가 사진과 함께 수록되어 있다. 단원 개인 프로필이 사진과 함께 나열되어 있고, 작품의 기념사진및 세미나사진이 수록되어 있고, 춤패 배김새 공연연보를 마지막으로 프로그램북 구성이 끝난다.

출연진

춤패 배김새 (정미숙, 윤보경, 김희선, 신은주, 하연화, 강선미리, 황지영, 오은주, 손미란, 홍이경, 전현철, 김종덕, 한수정, 이지영, 한영화, 박미영, 박재현, 윤수경, 이화성, 김민경, 정경희, 안영주, 황정옥, 박영애)

제작진

(감독)최은희

유관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