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설명
"2005 정말숙 전통춤"
-자료설명-
(팜플렛)2005년 12월 28일에 부산문화회관 중극장에서 정말숙이 공연한 《정말숙(JUNG MAL SOOK, 鄭末淑) 한국전통 춤 공연(韓國傳統 춤 公演)》의 팜플렛이다. 팜플렛의 내용 안에는 정말숙의 인사말, 프로그램 차례, 작품공연으로 '산조춤', '지전춤', '태평무(太平舞)', '살풀이춤', '바라춤', '승무'의 줄거리가 기술되어 있으며 출연자의 사진·명단·약력, 정말숙의 프로필을 끝으로 팜플렛 구성이 끝난다.
(초대권)2005년 12월 28일에 부산문화회관 중극장에서 정말숙이 공연한 《정말숙(JUNG MAL SOOK, 鄭末淑) 한국전통 춤 공연(韓國傳統 춤 公演)》의 초대권이다. 초대권의 내용에는 공연일시, 장소가 기술되어 있다.
-기획의도-
춤은 나에게 있어 수행이고, 내 정신의 표현이다. 가장 한국적인 정서, 한국적인 혼을 담아보려고 한다.
《산조춤》
강태홍류의 산조가락에만 출 수 있는 특이성과 난이성을 지닌 실내 홀춤이다. 긴장과 이완, 맺고 풀고, 어르고 당기는 절제된 멋이 있는 춤이다.
《지전춤》
무속의례인 씻김굿(동해안 오구굿) 중에서 망자의 넋을 불러 부정과 원한을 풀어주어 극락으로 보내는 춤이다.
《태평무(太平舞)》
중요무형문화재 제92호. 왕십리 당굿의 무속장단을 바탕으로 나라의 태평성대를 기원하는 춤이다. 동작의 섬세함, 우아함, 정중동(靜中動)의 멋과 흥이 있으며 발을 구르는 다양한 동작들이 이 춤의 특징이다.
《살풀이춤》
일명 수건춤으로 무당이 살풀이 음악에 맞춰 추던 무무(巫舞)에서 파생되었으며 후에 민속춤의 하나로 발전된 정·중·동의 미(멋)가 있는 춤이다.
《바라춤》
작법무와 함께 불법을 수호하며 불법을 상징하는 춤이다.
《승무》
주요문형문화재 제27호 이매방류의 승무. 불교의 영향을 받았으며 한이 인간의 희비 차원을 넘어서 애정의 경지까지 승화되는 과정을 표현한 춤이다.
출연진
정말숙, 김현임, 장인숙 (해설), 보연스님, 박수진, 남진아, 장경복, 이광호 (장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