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설명
"삶과 춤을 위하여"
-자료설명-
1994년 3월 24일 부산문화회관 대강당에서 열린 《'94 최은희 춤》프로그램북이다. 최은희의 약력과 인사말, 제1부 '여인등신불', 제2부 '새움', '물맞이'로 구성된 안무의도와 작품 내용, 작품 성향, 연혁, 출연자의 사진과 명단이 기술되어 있다.
-기획의도-
철저한 자기 인식에서 출발한 체험적이고 표현적인 작품과 새해의 안녕과 지역의 발전을 기원하고자 원초적 제의적 춤 방식을 빌어 집단 신맞이굿으로 형상화한 작품들이 올려진다.
《여인등신불》
여성의 혼이 가지는 한없는 부드러움과 인내, 생명의 탯줄에 운명잡힌 숙명, 긴 세월동안 어머니라는 등신불이 되어가는 과정을 서막을 시작으로 1장 흰불의 꽃송이들, 2장 아가의 울음소리, 3장 여인등신불로 나눠 표현한 작품이다.
《새움초연 91년. 어두운 날들의 바람 그치고 中 독무부분)》
대립과 갈등, 늘 수난 당하면서도 먼저 화해하고 저항보다는 용서하는 민족성과 존재를 향한 경외심을 표현한 작품이다.
《물맞이(초연 92년)》
삼국유사 가락국기에 나오는 수로왕 신화내용을 중심으로 집단적 신명 체험을 가능케하는 기원제적 의식 춤이다. 인류생명의 원천이자 원초적 삶의 터전인 물의 생명력을 몸으로 맞이하는 물놀이로써 오늘의 새로운 형태의 살아있는 맞이굿을 형상화 한 작품이다.
출연진
최은희, 윤보경, 신은주, 황지영, 손미란, 홍이경, 장윤정, 전현철, 천병일, 이정식, 김종덕, 임형준, 김문경, 김정원, 김현지, 박재현, 이경희, 이영미, 이지영, 이현정, 정영심, 한영화, 한수정, 곽지민, 김영란, 김정희, 김효정, 박미정, 박우영, 박은진, 양성미, 오수연, 윤수경, 이영주, 이화성, 이희정, 정재연, 조미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