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메뉴 명

메뉴 열기닫기 버튼

아카이빙 콜렉션

전통예술

최은희 홀춤 "한국춤 레퍼터리 시리즈 Ⅱ"

자료등록 :(재)부산문화재단 본 내용은 등록자에 의해 작성된 내용임을 밝힙니다.

NO.DRC0566

  • 공연단체최은희
  • 공연장소경성대학교 멀티미디어 소극장
  • 공연날짜1999.3.22 ~ 1999.3.23
  • 장르전통예술
  • 연출

공연설명

"최은희 홀춤"

-자료설명-
1999년 3월 22일, 23일 경성대학교 멀티미디어 소극장에서 열린 한국춤 레퍼터리 시리즈 Ⅱ《최은희 홀춤》팜플렛이다. 최은희의 인사말, 무용예술 1996. 3·4월호에 실린 전 무용예술 편집장 전용종의 글이 담겨 있으며, '태평무', '입춤', '산조춤', '덧배기춤', '승무'로 구성된 프로그램 내용, 도움을 주신분들, 최은희의 약력과 스텝 소개가 기술되어 있다.

-기획의도-
작년 한국춤레퍼터리 시리즈Ⅰ에 이어 故人이 되신 한영숙선생님의 '태평무', 황무봉선생님의 '산조춤', 이매방선생님의 '승무'를 선보이고자 한다.

《태평무 Taepyungmu》
화려하고 아름다운 궁중왕비의 복식과 함께 진쇠장단을 바탕으로 빠르게 딛는 민첩하고 섬세한 발디딤새를 한 그루의 蘭처럼 단아하고 정갈함을 표현한 작품이다.

《입춤 Yip choom》
흥풀이 춤의 일종인 이 춤은 흥과 멋이 주체이며 민요 '성주풀이'에 맞추어 재구성한 춤으로, 춤에는 대소삼(大小衫)의 음양이 들어가야 하는데 小衫의 다음 박자는 무겁고 조심스럽게 풀어주어야 하는 특징을 표현한 작품이다.

《산조춤 Sanjo choom》
황무봉-김매자로 이어받은 춤으로 진양조부터 자진모리 순으로 짜여진 음률에 맞춰 짜임새 있는 공간 구성과 부드러운 선의 흐름이 여인의 옷매무새에 흐르며 버선발의 고운 내디딤과 꺼질 듯 말듯한 춤가락이 춤의 격조와 태를 표현한 작품이다.

《덧배기춤 Dutbaeki Choom》
고성 오광대 탈놀이의 굿거리 장단과 덧배기 장단으로 구성된 기본춤을 바탕으로, 소박하고 질박한 멋을 가진 여유로움과 넉넉함을 춤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승무(중요무형문화재 제 27호) Sung mu》
우리 춤의 애이불비(哀而不悲)하는 절제에서 오는 멋스러움과 힘차고 호화로운 가락, 춤의 경건함을 밟아 가는 발 디딤새, 세차고 멋들여진 북놀음을 맛볼 수 있는 예(藝)의 경지를 표현한 작품이다.

기증자: 최은희(원로무용가)

출연진

최은희, 정미숙, 신은주, 하연화, 박정은

제작진

이미지 콘텐츠

유관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