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메뉴 명

메뉴 열기닫기 버튼

아카이빙 콜렉션

전통예술

춤….. 인생

자료등록 :(재)부산문화재단 본 내용은 등록자에 의해 작성된 내용임을 밝힙니다.

NO.DRC0592

  • 공연단체심지영 무용단
  • 공연장소국립부산국악원 대극장 연악당
  • 공연날짜2013. 6. 2 ~ 2013. 6. 2
  • 장르전통예술
  • 연출

공연설명

"춤 인생 60년!!!"

-자료설명-
2013년 6월 2일 국립부산국악원 대극장 연악당에서 열린 심지영의 《춤…..인생》프로그램 북이다. 심지영의 인사말과 1부 '그 길을 밝히며…', '기다림', '승무', '장고춤', '살풀이춤', '설북' 2부 '산조춤', '판소리', '삶', '어울림' 으로 구성된 프로그램 안내, (사)부산예술단체총연합회 이사장인 송영명, 서구청장 박극제, (사)부산광역시무형문화재연합회 회장 김온경, (사)한국무용협회 부산시지회 회장 서지영의 축사가 실려있으며, 출연진의 사진과 명단, 스승님께 올리는 글, 심지영의 연혁이 기술되어 있다.

-기획의도-
늘 춤과 함께한 나의 인생에서 지나온 발자취를 돌아보고 나의 인생에 담긴 춤의 의미를 되새겨 보고자 함이며, 우리의 전통예술이 찬란하게 빛나는데 작은 밑거름이 되고자 하는 기획의도를 담고 있다.

《그 길을 밝히며…》
첫 춤판의 떨림이 청사초롱불 같은 마음으로 공연장을 찾아주신 손님 모두를 환영하는 의미를 담아 제자들이 준비한 창작무로 표현한 작품이다.

《기다림》
삶이 있는 곳에 어디나 기다림이 있고, 기다림으로 느끼는 여러 감정들을 춤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승무》
우리나라 민속무용의 정수라 할 만큼 가장 품위와 격조가 높은 춤으로 추는 이의 감정이 그대로 표현되며, 힘차고 화려한 춤사위와는 반대로 절제된 장삼놀음과 춤의 경건함을 밟아가는 듯한 발디딤새를 표현한 작품이다.

《장고춤》
장고의 여러 장단에 따라 변화하며 추는 춤으로 다채로운 기교와 아름다운 몸짓으로 흥겨운 민요가락에 맞춰 춤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살풀이춤》
가벼운 흰 수건을 들고 독특한 시나위 장단에 맞추어 수건을 공중에 휘날리며 추는데 정,중,동의 미가 극치를 이루는 신비스럽고 환상적인 무작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설북》
기존의 진도 북춤에 한순서의 역동적인 춤사위와 장단의 긴장과 이완을 적절히 배합하여 북춤을 새롭게 표현한 작품이다.

《산조춤》
가야금 산조 명인 강태홍의 가락에 춤을 얹은 것으로, 이 춤은 산조의 우조와 평조 계면조를 동시에 사용하며 우조의 우아함 평조의 편안함 계면조의 섬세함을 춤사위로 표현한 작품이다.

《판소리》
박성희 소리, 신문범 고수가 함께하는 판소리 공연이다.

《삶》
내가 걸어온 삶의 모습들을 제자들과 함께 춤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어울림》
신명나는 사물 반주 위 역동적인 소고춤사위를 바탕으로, 그의 제자들과 함께 어울림을 나타내는 화합의 무대를 춤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기증자: 최은희(원로무용가)

출연진

심지영, 김주령, 서시영, 조현영, 최은정, 정경희, 장미경, 김민경, 김은진, 이지수, 강민희, 이혜솜, 최준명, 김영애, 이창규, 최오성, 정성훈, 정은진, 박승빈, 고범철, 이한승, 김준호, 박성규, 박성희, 신문범

제작진

(감독)심지영

유관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