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메뉴 명

메뉴 열기닫기 버튼

아카이빙 콜렉션

전통예술

캐나다 쥬르몬빌 몬다엘 민속축제 참가기념공연 "엄옥자 한국민속무용단"

자료등록 :(재)부산문화재단 본 내용은 등록자에 의해 작성된 내용임을 밝힙니다.

NO.DRC0594

  • 공연단체엄옥자 한국민속무용단
  • 공연장소부산시민회관 대강당
  • 공연날짜1993.11.20 ~ 1993.11.20
  • 장르전통예술
  • 연출

공연설명

"공연에 즈음하여"

-자료설명-
1993년 11월 20일 부산시민회관 대강당에서 열린 캐나다 쥬르몬빌 몬다엘 민속축제 참가기념공연 《엄옥자 한국민속무용단》팜플렛이다. 생 스베 국제민속 축제위원인 앙드레 카보, 비죤 국제민속무용 축제위원인 로제 라사아베의 서명이 담긴 생 스베 국제민속무용축제위원회의 프랑스어 서신과 번역, 1993. Sep. 17에 FESTIVAL MONDIAL DEFOLKLORE DE DRUMMONDVILLE 조직위 3인 미셀린 제니스트(협조자), 모리스 륨(총감독), 롤렌드 쟈넬(회장)이 보내 온 감사 영문 서신과 번역 한국민속무용단 대표 엄옥자의 인사말, 경력, 국내외 공연 이력이 기술되어 있다. '북춤', '살풀이', '부채춤', '승무', '열림 굿', '강강술래', '산조', '학춤', '태평무', '농악무'의 작품해설이 실려 있으며 출연자의 사진과 명단이 기술되어 있다.

-기획의도-
조상들이 수천년간 면면히 이어 우리들에게 물려주신 그 정신과 신명으로 여기 새로운 「한밝춤판」을 마련하였습니다.

《북춤》
나비가 쌍을 지어 꽃가지 사이로 훨훨 나르는듯 축제의 분위기를 내는 화려하고 신명난 춤으로 엄옥자 교수가 무형문화재 제21호로 지정받은 춤을 재구성한 작품이다.

《살풀이》
고운 머리에 비녀를 끼고 고름이 늘어진 한복을 입고 추는 정숙한 한국 여성의 미모를 포상하는 아름답고 환상적인 모습을 표현한 춤이다.

《부채춤》
무용수가 펼쳐보이는 화려하고 아름다운 구도의 극치와 한국적인 매력을 느낄 수 있는 춤이다.

《승무(무형문화재 제27호)》
한국 민속무용 중 가장 전통적이고 예술적이라 할 수 있으며 정중동의 내면적인 흥과 멋으로 신비성을 지니고 인간이 번민하는 모습을 무용화 한 작품이다.

《열림 굿》
가장 원시적 요소가 짙은 춤으로 굿이라는 행동양식을 갖고 인간의 풍요로운 삶의 보호를 위해 신의 능력에 기대어 안녕과 질서를 비는 춤이다.

《강강술래》
달밝은 밤에 여성들이 노래하고 춤추며 즐기는 여성놀이로 서정적이고 율동적인 춤이다.

《산조》
움직임이 다채롭고 내면의 오묘한 감정을 간직한 한국 여인의 섬세하고 세련된 멋을 상징하는 춤이다.

《학춤(지방무형문호재 제 3호)》
학의 청초하고 우아하며 고고함을 자아내게 하는 품격이 높은 선비의 모습을 격조있게 나타낸 춤이다.

《태평무(무형문화재 제 92호)》
궁중왕비의 화려한 의상을 입고 민첩하고 섬세한 발디딤이 특징을 이루는 개성을 지닌 민속춤이다.

《농악무》
한국 농민들간에 전해 내려오는 춤으로 나팔, 꽹과리, 징, 북, 장고, 소고의 악기로 편성되어 사람의 마음과 행동을 통일시키는 흥을 돋구는 민속 춤이다.

기증자: 최은희(원로무용가)

출연진

오덕자, 김윤옥, 이계숙, 안연분, 신영미, 이성빈, 변지연, 박경아, 이재준, 이경화, 조민영, 김인형, 김현희, 우성자, 조윤경, 이경림, 강미화, 박주형, 김성은, 박지원, 김덕희, 김은덕, 이회숙, 박희정, 정주미, 박준희, 이현정, 이수진, 석현영, 허재임,이성옥, 김영애, 이용식, 김한동

제작진

(감독)엄옥자

이미지 콘텐츠

유관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