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설명
"해설과 함께하는 청화당 김온경 류 전통춤 공연"
-자료설명-
(팜플렛) 2007년 12월 9일 금정문화회관 소공연장에서 열린 《해설과 함께하는 청화당 김온경 류 전통춤 공연》팜플렛이다. 프로그램 목차, 사)금정문화원장 윤석천의 축사, 제자 일동 대표 박순희의 초대글, 동래고무 예능보유자 김온경의 격려사가 실려 있으며, 출연자의 사진과 명단, '동래고무', '살풀이춤', '굿거리춤', '문둥탈춤', 산조춤', '동래학춤'으로 구성된 프로그램 내용, 김온경 춤 발자취가 기술되어 있다.
(초대권) 2007년 12월 9일 금정문화회관 소공연장에서 열린 《해설과 함께하는 청화당 김온경 류 전통춤 공연》초대권이다. 공연 일시와 장소, 후원(사)부산민족예술보존협회, 사)한국무용협회 부산광역시지회, 주의사항이 기술되어 있다.
-기획의도-
스승님의 춤 유형을 종목 별로 정리하여 조촐한 춤판을 펼치게 되었다.
《동래고무(부산무형문화재 제 10호)》
4인의 무원들이 중앙에 큰 북을 놓고 서로 자리를 옮겨가며 북을 치면서 춤을 추는데 다양한 춤의 기법과 단아하면서도 절제된 춤사위를 표현한 작품이다.
《살풀이춤》
호남무속의 살풀이 장단과 시나위 음악에 맞춰 추며 한, 흥, 멋, 태를 고루 갖춘 감상용의 춤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긋거리춤》
경남지방의 대표적인 춤 장단으로 춤꾼에 따라 다양하게 춤을 구사하면서 춤을 풀어가는 묘미를 표현한 작품이다.
《문둥탈춤》
문둥환자의 비탄상을 해학적인 춤사위로 표현한 작품이다.
《산조춤》
가야금 산조 명인 강태홍의 가락에 춤을 얹은 것으로, 이 춤은 산조의 우조와 평조 계면조를 동시에 사용하며 우조의 우아함 평조의 편안함 계면조의 섬세함을 춤사위로 표현한 작품이다.
《동래학춤(부산무형문화재 제 3호)》
동래관속이나 한량들에 의해 추었던 동래 덧배기춤의 한 유형으로, 춤이 천박하지 않고 기품과 격조를 겸비한 선비다운 멋을 지니며, 검정 갓에 흰 도포자락의 움직임에서 학이 나는 모습을 연상시키는 춤사위를 표현한 작품이다.
기증자: 최은희(원로무용가)
출연진
박순희, 문임선, 전정숙, 강성희, 현진옥, 김순애, 김정애, 윤여숙, 김무희, 박선홍, 이미경, 오미숙, 안시향, 임금옥, 송민숙, 김율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