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메뉴 명

메뉴 열기닫기 버튼

아카이빙 콜렉션

전통예술

프랑스, 피레네 국제 민속무용 페스티발참가 자축 공연 "엄옥자무용단"

자료등록 :(재)부산문화재단 본 내용은 등록자에 의해 작성된 내용임을 밝힙니다.

NO.DRC0628

  • 공연단체엄옥자 무용단
  • 공연장소부산시민회관 대강당
  • 공연날짜1992. 5. 2 ~ 1992. 5. 2
  • 장르전통예술
  • 연출

공연설명

"엄옥자무용단"

-자료설명-
1992년 5월 2일 프랑스, 피레네 국제 민속무용 페스티발 참가 자축공연 《엄옥자무용단》팜플렛이다. 엄옥자의 약력과 인사말, '승전무', '살풀이', '강강술래', '북춤', '부채춤', '승무', '학춤', '산조', '태평무', '농악' 으로 구성된 작품 해설, 출연자의 사진과 명단, 감만여중 정형석 교장선생님 외 6인의 도움 주신 분 소개가 기술되어 있다.

-기획의도-
프랑스에서 개최되는 「국제민속페스티발」특별 초청 참가 기념 공연이다.

《승전무》
북춤은 민속무용의 하나로서 궁중무가 민속화된 춤으로 원무를 바탕으로 협무를 변형하여 축제의 분위기로 더 화려하고 신명나게 재구성한 작품이다.

《살풀이》
수건을 공중에 휘날리며 추는데 무복을 입고 추는 모습은 정숙한 한국 여성의 미모를 포상하듯 맑고 아름다우며 정,중,동의 미가 극치를 이루는 신비스럽고 환상적인 춤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강강 술래》
달 밝은 밤에 노래하고 춤추며 즐기는 여성들의 놀이로 정서적이고 율동적이며, 원형과 정신을 오늘날의 감각으로 재구성한 작품이다.

《북춤》
배관호가 악사로 출연한 작품이다.

《부채춤》
김백봉 신작 부채춤을 효시로 하는 화려한 형식무로 그 아름다움을 무용수의 기하학적 구도에 담아 펼쳐가는 한국적 매력을 표출하는 작품이다.

《승무》
묵중한 동작으로 정·중·동의 내면적인 흥과 멋으로 신비성을 지니며 장삼소매로써 공간에 형성하는 신미적인 모든 현상과 유선을 표현하는 작품이다.

《학춤》
느린 굿거리 장단에 덧배기 춤으로 학의 청초하고 우아하고 고고함을 고조시켜 신명의 춤으로 재구성한 작품이다.

《산조》
계면조를 바탕으로 감미롭고 우아하며 부드러운 여인상을 표현한 작품이다.

《태평무》
화려하고 아름다운 궁중왕비의 복식과 함께 진쇠장단에 빠르게 딛는 민첩하고 섬세한 발디딤새를 표현한 작품이다.

《농악》
우리 민족의 심성을 가장 잘 표현한 춤으로 원형을 바탕으로 하되 현대인의 체질에 맞게 재구성한 작품이다.

기증자: 최은희(원로무용가)

출연진

오덕자, 김윤옥, 이계숙, 안진희, 신영미, 변지연, 신옥연, 이성빈, 박선홍, 박경아, 조윤, 정승혜, 이경화, 김인형, 김윤희, 이경림, 조윤경, 우성자, 김현희, 손은욱, 배관호, 이종태

제작진

이미지 콘텐츠

유관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