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설명
-자료설명-
(프로그램북)1994년 6월22일 부산문화회관 중강당에서 공연된 《김온경의 춤 4大展(대전)》의 프로그램북이다. 초대권을 포함하고 있으며, 부산직할시장 정문화의 축사와 예술원 회원 김천흥의 축사가 기술되어있으며, 부산여자대학교 총장 김무남의 격려사가 기재되었고, '춤4대전을 열면서'의 제목으로 부산여자대학교 예술대학무용과교수 김온경의 인사글이 기술되어있다. 작품으로는 동래고무, 살풀이춤, 산조춤, 승무, 굿거리춤, 학춤이 공연되었고, 김동민, 김온경, 윤여숙, 김율희의 연혁을 마지막으로 프로그램북 구성이 끝난다.
(초대권)1994년 6월 22일 부산문화회관 중강당에서 열린 《김온경의 춤 4大展(대전)》의 초대권이다. 프로그램북에 포함된 구성이며, 김동민, 김온경, 윤여숙, 김율희의 사진과 함께 동래고무, 살풀이춤, 산조춤, 승무, 굿거리춤, 학춤의 작품이 기술되어 있다.
-기획의도-
오늘의 춤꾼들에게 우리 춤의 맥을 짚어줄 필요성을 느꼈기에 본인을 비롯한 4대 춤판을 제작하면서 반세기가 지난 오늘날 한국춤의 춤사위와 비교할 수 있는 기회가 되고, 한국춤 연구에도 중요한 의미를 제시할 기회가 될 것이라 생각하며, 국악의 해를 맞아 기획해보았다.
《살풀이춤》
맺힌 액을 풀어서 행복을 맞이한다는 신앙적 염원의 의의를 담고 있다.
《산조춤》
강태홍 가야금 산조에 맞추어 추었던 실내무용의 홀춤으로 강태홍류 산조가락에만 출 수 있는 특이성과 난이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
《승무》
한국의 춤 중에서 가장 승화되고 상징성이 높은 춤으로 예술성이 높이 평가되고 있는 대표적인 춤이다.
《굿거리춤》
굿에서 쓰여지는 모든 장단의 총칭 된 명칭에서 파생된 말로서 특히 굿거리장단은 경남지방의 대표적인 춤 장단이다.
《학춤》
부산동래지방의 한량들에 의해 즐겨 추어왔던 덧배기춤의 일종인 동래학춤을 바탕으로 재구성하여 무대화 한 춤이다.
"기증자: 최은희(원로무용가)"
출연진
김온경, 전정숙, 김정숙, 강성희, 박순희, 문임선, 김순애, 김정애, 김율희, 윤여숙, 김동민, 박미라, 김나영, 김명숙, 박선홍, 김미경, 김윤선, 김태희, 박수진, 이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