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설명
-자료설명-
1995년 11월 15일 부산문화회관 대극장에서 공연된 《김온경 겹사위 무용단 '95 정기공연》의 팜플렛이다. 프로그램 안내로 1부 동래고무(東來鼓舞)와 산조춤이 2부 할미꽃 각시꽃이 있고, 김온경의 '인사말씀'이 기술되어 있다. 그리고 각 프로그램의 출연진과 출연진의 연혁 및 소개글이 기술되어 있고, 김온경의 연혁과 출연진의 사진 및 겹사위무용단의 연혁소개를 끝으로 팜플렛 구성이 끝난다.
-기획의도-
전통춤의 발굴과 전통춤 사위의 현대화, 마당놀이의 무대화 작업을 시도하는 공연으로 기획되었다.
《동래고무 東來鼓舞 부산무형문화재 제10호》
고려 초기 교방청 여기들에 의해 행해졌던 향악정재의 하나인 무고가 지역의 특성에 따라 동래고무라는 명칭으로 전래된 북춤의 일종이다.
《산조춤》
강태홍 가야금 산조에 맞추어 추었던 실내무의 홀춤이다. 이 춤은 반드시 강태홍류 산조가락에만 출 수 있는 특이성과 난이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할미꽃 각시꽃》
1장 집 나간 영감을 찾아 방방곡곡을 헤매는 할미의 서울 상경기
2장 신 · 구 세대의 대립
3장 양세대 간의 필연적 수용과 조화 그리고 미래의 어우러짐을 다소 해악적으로 표현하였다.
"기증자: 최은희(원로무용가)"
출연진
김온경, 김진홍, 장인숙, 윤여숙, 최형규, 이성훈, 이미경, 김영진, 박순희, 문임선, 김순애, 김정숙, 김정애, 전정숙, 김무희, 박미라, 박선홍, 신인영, 곽정원, 양승희, 박주은, 김윤희, 김현옥, 김현경, 유선이, 전미정, 이필정, 안성희, 김지혜, 이윤희, 박소영, 정필재, 조혜리, 이현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