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메뉴 명

메뉴 열기닫기 버튼

아카이빙 콜렉션

전통예술

김은이, 제자전통춤 연구발표회

자료등록 :(재)부산문화재단 본 내용은 등록자에 의해 작성된 내용임을 밝힙니다.

NO.DRC0077

  • 공연단체김은이
  • 공연장소부산문화회관 대강당
  • 공연날짜1995.5.13 ~ 1995.5.13
  • 장르전통예술
  • 연출

공연설명

-자료설명-
1995년 5월 13일 부산문화회관 대강당에서 공연된 《김은이, 제자전통춤 연구발표회》의 프로그램북이다. 프로그램 순서로는 산조춤, 쌍춘앵전, 승무, 북, 도살풀이춤, 허튼춤, 태평무, 선유락 순으로 공연되었고 출연자의 이름이 나열되어있다. 김은이의 '인사말씀'이 기술되어 있고, 각 프로그램의 설명이 기술되어 있으며 마지막으로 출연자 명단이 사진 및 연혁과 함께 기술되어 있다.

-기획의도-
김은이가 제자들과 함께 전통춤의 원형을 선보이고자 기획 되었다.

《산조춤》
산조는 주로 남도소리의 시나위 가락을 장단이란 틀에 넣어서 연주하는 기악독주 음악이다.

《쌍춘앵전》
궁중무용 중 독무로 가장 손꼽히는 춤으로 여기정재와 무동정재를 한자리에 추도록 구성하였다.

《승무》
예술성이나 상징성이 뛰어난 춤으로 한국전통무용의 백미라 할 수 있는 춤으로 대표적인 승무로는 중요무형문화재 제27호로 지정된 한영숙의 경기승무와 이매방의 호남승무를 들 수 있다.

《도살풀이춤》
경기도무속인 도당굿의 마지막 절차인 뒷전 전이나 후에 행해진다. 고 김숙자 선생님의 도살풀이춤이 중요무형문화재 제97호로 지정되어 그 맥을 이어가고 있다.

《허튼춤》
일명 입춤이라고도 하는데 이 춤은 흥과 멋이 주체가 되는 일종의 즉흥무이다.

《태평무(太平舞)》
이 춤의 특징은 경쾌하고 가볍고 절도 있게 몰아치는 진쇠장단을 바탕으로 빠르게 딛는 발 디딤새가 장단 사이를 경쾌하게 가로지르는데 이 춤의 묘미가 있다.

《선유락》
신라 때부터 전해오는 궁중무용으로 본 공연에서는 22명의 무용수로 재구성하여 공연하였다.

"기증자: 최은희(원로무용가)"

출연진

김은이, 정말숙, 배정현, 김도희, 김옥경, 이정숙, 김정경, 장문주, 이인태, 신병철, 김민, 이미숙, 김은진, 이은정, 손정화, 박영주, 김선희, 정윤주, 이영숙, 최경희, 이필호, 배혜영, 박선주, 이선주, 심현정, 이승희, 이화정, 신진욱, 김문정, 빈영주, 이동은, 장은영, 김진영, 김희은, 김윤경, 박지원, 오정윤, 정연지, 김옥림, 최영선, 박진희, 한진희, 박성미, 김태기, 김기표, 우현진

제작진

(감독)김은이

유관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