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선우 시인의 첫 시집 『모두의 모과들』. 시인은 2015년 『시와사람』으로 등단하여 작품 활동을 시작한 후 처절한 자기인식에 기인한 새로운 세계에 대한 열망을 드러내는 시를 써왔다. 첫 시집 『모두의 모과들』은 세계와 타자와의 화합을 꿈꾸기보다는 철저한 자기부정을 통해 역설적으로 존재를 드러내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새로운 세계로의 진입을 갈망한다. 여기서 시인은 상처와 불행의 나날을 기록하고 공유함으로써 현존재를 확인하는 일에 몰두한다. 해설을 쓴 이승희 시인은 이번 시집에 대하여 “정선우 시인은 자신의 내면에 대한 집요한 응시를 통해 웅숭깊은 마음을 드러내고 있다. …(중략)… 그리고 그 끝에는 언제나 자신에게로 향하는 시선이 있다. 끝내 결핍이 채워지지 않을 때가 더 많은 이 생에 대하여, 이 불화의 세계를 건너가는 방식으로 오히려 담담하고, 주어진 슬픔을 오히려 무기처럼 받아들인다”라고 평했다.
시인은 결핍을 채우는 방식으로 견딤을 택한다. 견딤의 과정을 통해 세계에 대한 진정한 이해가 확보될 수 있다는 점을 역설적으로 보여 주기도 한다. 자신을 마주한다는 것은 어렵고 고통스러운 일이지만 시인은 끝내 슬픔의 얼굴을 외면하지 않는다. 내면에서 소용돌이치는 세계와의 불화를 오히려 온순하고 담담한 시적 진술로 풀어낸다. 이는 오랜 견딤의 방식에서 얻어진 성찰의 결과이다. 오늘의 패배를 기록하는 건 비참한 아름다움이며 실존에 대한 자각은 새로운 세계로 도약하는 일임을 시인은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 해설의 말처럼 정선우 시인은 “열망이 없다면 절망도 없”고 “절망은 열망으로부터 온다”는 믿음으로 “열망이 절망이 되고, 절망이 다시 열망이 되는 세계 속을 걷는 일”을 묵묵히 수행하며 “이 세계의 슬픔으로부터 벗어나 지도에 없는 새로운 세계를 만나는 일”을 꿈꾼다. [예스24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