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아카이브

HOME 예술아카이브 기본DB

해당메뉴 명

메뉴 열기닫기 버튼

기본DB

김영규

문화예술인 전통예술인 전통예술 부산영산재

NO.AGD2520최종업데이트:2017.07.13

자료등록 : (재)부산문화재단 본 내용은 등록자에 의해 작성된 내용임을 밝힙니다

프로필

김영규

  • 분류문화예술인
  • 이름김영규 / 金英奎(海崗)
  • 생년월일 1919년 07월 20일
  • 출생지 경상남도 고성 월평리
  • 사사 (師事) 범성(梵聲)스님, 용운스님

인물소개

  • 김영규(金英奎)[1919~2007]는 1919년 7월 20일에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 월평리에서 3남 중 둘째로 태어났다. 아버지 김두옥은 슬하의 자녀들이 자꾸 죽자 김영규를 사찰로 보냈다. 그리하여 1932년 경상남도 고성군 광도면의 안정사득우 스님의 상좌로 출가하여 삼귀(三歸)라는 법명을 받았고 훗날 해강(海岡)이라는 당호를 새로이 받았다. 10년에 걸친 수행 후인 1942년 경상남도 통영의 용화사 재무와 총무를 보면서 안정사 강원 공부를 겸하여 수행하였다. 이때 경명(鏡明) 스님의 제자가 되었고, 범패와 작법은 범성(梵聲) 스님에게 배웠다. 강원 수학을 마친 1946년 4월 15일에 경주기림사의 말사인 울릉도대원사에서 포교를 전담하였고, 1949년 3월 경상남도 거제군노자산장수암에서 「범음·범패」 작법으로 후학을 가르쳤다.

    김영규는 1960년 11월 20일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동에 본원사를 창건하여 어장(御丈)으로 일하면서 부산 지역 범패승들과 함께 활동하였다. 혜륭·구암·청공 스님 등과 함께 1992년 부산 민속 예술 경연 대회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하였고, 같은 해 전국 민속 예술 경연 대회에서 공로상을 받음으로써 1993년 부산광역시 무형 문화재 제9호 「부산 영산재」 나비춤 예능 보유자로 지정되었다. 김영규는 1960년대부터 부산 지역에서 불교 악가무의 예능 활동을 하며 한국불교금강원예술대학을 설립하여 아들인 진하(震河) 스님과 함께 후학을 양성하였는데, 현재는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영축사 소재 사단법인 대한전통불교예술원으로 등록되어 장남인 경호(擎虎) 스님이 이끌어가고 있다.

    김영규는 슬하에 4남 2녀를 두었는데 그 중에 세 아들이 승려가 되었다. 장남 김송택[법명 경호]·차남 김송정·삼남 김인택[법명 진하]에게 모두 범패와 작법을 가르쳤는데 김송정은 일반 승려 생활만하고 김송택과 김인택이 이를 전수하였다. 이 중에 진하 스님이 이 방면에 자질이 뛰어나 해강 스님과 함께 후학 양성을 활발히 하였다. 2007년 5월 27일에 해강 스님이 입적하고, 같은 해 11월 2일에 진하 스님이 입적하자 장남인 경호 스님이 해강 스님의 유지를 이어 받아 현재 「부산 영산재」 나비무 보유자로 활동 중이다.

    <출처-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학력사항

모바일환경에서는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표)을 보실 수 있습니다.

학력사항 - 학습기간, 학교, 전공, 학위, 비고을(를) 상세히 나타낸 표입니다.
학습기간 학교 전공 학위 비고
1942 안정사 불교예술강원 범음, 범패, 작법무 이수

주요활동사항

모바일환경에서는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표)을 보실 수 있습니다.

주요활동사항 - 년도, 활동내역, 비고을(를) 상세히 나타낸 표입니다.
년도 활동내역 비고
2007 05.27 입적  
2000 동래구 낙민동 삼불사에 대한전통불교예술대학 설립  
1993 04.20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9호 부산영산재 나비춤 예능보유자 인정  
1992 05월. 부산 민속예술경연대회 최우수상 수상
09.25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공로상 수상
 
1960 11.20 부산 본원사 창건  
1931 안정사 월암스님에게 출가  

해당장르

  • 장르 문화예술인 > 전통예술인 > 전통예술 > 부산영산재
  • 역할 무형문화재
  • 대상 어린이,청소년,일반인
  • 키워드 #전통예술인#부산영산재#무형문화재#해강스님#김영규

주요작품

교육활동

    등록된 교육활동이 없습니다.
자료등록:(재)부산문화재단 - 본 내용은 등록자에 의해 작성된 내용임을 밝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