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아카이브

HOME 예술아카이브 기본DB

해당메뉴 명

메뉴 열기닫기 버튼

기본DB

임호

문화예술인 시각예술인 회화 서양화

NO.AGD2997최종업데이트:2016.12.16

자료등록 : (재)부산문화재단 본 내용은 등록자에 의해 작성된 내용임을 밝힙니다

프로필

임호

  • 분류문화예술인
  • 이름임호 / 林湖 / Lym Ho
  • 생년월일 1918년
  • 출생지 경남 의령

인물소개

  • 임호 (1918-1974)

    임호(본명/채완 采完) 선생은 1949년 초기의 부산 미술가들인 김종식 김윤민 등과 <토벽>동인을 결성하는 등 70년대 의욕을 불어넣고자 앞장섰던 사람이다. 경남 의령 태생인 그는 일본 오사카미술학교를 거쳐 광복 후 마산에서 교직생활을 시작한 이후 전쟁후인 1953년 영남상고로 오면서 부산에 정착하였다. 6.25전쟁 때는 서성찬 등과 종군 보도반으로 종군하였고 스케치한 100여 점의 기록화로 부산 미공보원에서 최초의 <전쟁기록화전>을 열기도 하였다.
    "그는 유난히 스케치 여행을 좋아해 뱃길이 어려웠던 60년대부터 제주도를 자주 찾았다. 해녀들을 즐겨 그려, 해녀를 소재로 삼은 최초의 화가로 꼽히기도 한다." 부산시립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6점의 작품 중 3점이 제주도의 인상을 그리고 있다. 이시기의 작품들은 목가적인 전원 풍경을 그리고 있지만 인물의 얼굴묘사는 다소 탐미적인 인상으로 그려지고 있다. 오히려 그의 대상에 대한 날카로운 분석이나 구도의 탄탄함이 유연하지만 힘이 다소 거친듯한 필법의 유체로 구리빛나는 해녀와 소라 바닷가 풍경을 즐겨 그렸다. 초창기의 척박한 문화 환경과 불안정 했던 시대의 질곡과 변화와 생활의 파란에도 불구하고 부산 지역에 끝까지 남아서 삶과 예술의 뿌리를 내리고 묵묵히 생애를 마칠 때 까지 미술에 대한 애정을 버리지 않고 지켰던 토박이 미술인이라 할 수 있다. 부산 특유의 환경들이 가꾸어낸 기질로 해서 거칠기는 해도 감수성이 투명하고 개방적이고 낙천적이며 자유분방하다.
    1963년 한성여자대학(경성대학교 전신)에 들어가 작고할 때까지 가르쳤으며 문화환경이 열악했던 시기임에도 12회의 개인전을 여는 등 창작활동 뿐만 아니라 과 미술인들과의 교류에도 정렬적이었다. 예총부산지부장과 부산미술협회 지부장을 맡아 지역 문예중흥을 꿈꾸며 바쁘게 뛰었고, 완벽하진 않았으나 최초로 부산미술사를 정리했다. 뿐만 아니라 비록 단발행사로 끝났으나, 그는 1966년 부산에서 열린 최초의 전국규모 공모전인 <한국국민 전람회>를 창설해 개최하였고 우신출, 신창호 등과 <부산일요화가회>를 만들어 지도교수로 미술저변인구 확대에도 정열을 쏟았다.
    평소 애주가로서도 정평이 나있어 스케치를 나설 때면 「휘발유(소주)」부터 챙겼다. 단짝이었던 서성찬은 걸핏하면 그를 지목해 농담했다.
    「저 친구는 노상 알콜로 몸을 절여놔서 죽어서도 썩지 않을 끼다...」
    소설가 신태범씨의 부산문화야사 <국제신문. 2001.3>를 보면 그는 자기 집 담장을 벽화로 채우기도 하고, 국제신문 연재소설 삽화를 그렸으며, 60년대 기념행사에 곧잘 선보인 전차의 장식그림도 도맡아 그린 생활화가 실천화가였다. 그는 생애 마지막 날에도 「휘발유」로 몸을 데우며 일요화가회와 밀양에서 스케치를 하고 돌아왔다. 결국 그는 근라 불시에 달려든 고혈압을 이기지 못하고 쓰러져 영영 일어나지 못했다.
    작고 할 때까지 13회의 개인전을 열었으며 동아대학, 부산사범대학 등에서도 강의하였으며, 부산시 문화위원을 역임하였고, 1964년 부산시 문화상을 수상하였다.

학력사항

모바일환경에서는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표)을 보실 수 있습니다.

학력사항 - 학습기간, 학교, 전공, 학위, 비고을(를) 상세히 나타낸 표입니다.
학습기간 학교 전공 학위 비고
오사카 미술학교 서양화부

주요활동사항

모바일환경에서는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표)을 보실 수 있습니다.

주요활동사항 - 년도, 활동내역, 비고을(를) 상세히 나타낸 표입니다.
년도 활동내역 비고
1996 부산일보 창간 50돌기념 향토작고작가 7인전(부산일보사 전시실, 부산)
-김경, 김종식, 서성찬, 양달석, 이석우, 임호, 조동벽
 
1992 부산직할시 용두산미술전시관 개관기념 "부산작고작가전"(3.20-5.20 부산문화회관 용두산미술전시관)
-김경, 김종식, 양달석, 우신출, 이석우, 임호, 조동벽
 
1974 55주년 3.1 경축 미협전(부산시민회관 1층 전시실)

부산탑미술관개관1주년 기념 제2회 초대미전(부산탑미술관)

개인전 "임호작품전"(5.25-31 부산탑미술관)
"나비와 무지개를 주제로한 연작 및 꽃과 여인과 산악" 작품 출품

부산일요가회 회원들과 밀양 스케치 여행을 다녀온 후 음주상태에서 찾아온 고혈압으로 쓰러져 작고
 
1973 부산탑미술관개관기념초대미전(부산탑미술관)

개인전 "임호작품전"(1.18-24 일보당화랑, 일본)
<한라산><해변군상(海邊群像)><소년과 양><사출><초원><홍(虹)><설령(雪嶺)><하변(河邊)><해(蟹)><낙동강><수심(水心)><맥전(麦畑)><꽃과 소녀><간조(干潮)><해안(海岸)><설악산><오월풍경><풍만(豊滿)><라(螺)><어(魚)><고전><십일면관음상A><십일면관음상B><고전(십일면관음상C)><고전(청동관음)><축등(祝燈)A><축등(祝燈)B><하구(河口)A><하구(河口)B><하구(河口)C><석류(石榴)><고기(古器)와 국(菊)><춘해(春海)><탑><사원(砂原)>출품
 
1972 개인전 "임호작품전"(10.19-24 미도다방, 울산)
-<한라산>외 24점

개인전 "임호도일(渡日)작품전" (11.11-17 광복동 희다방, 부산)
-<회상>외 39점(20점은 일본전시출품작)
 
1971 개인전 "임호작품전"(1.12-17 신세계백화점 소화랑, 서울)
<현(顯)><추과(秋果)><소라와 생선><오월(五月)><풀밭><동해><꽃과 소녀><해변군상(海邊群像)>
<건어(乾魚)><한라산><성산포><수심(水心)A><수심(水心)B><하늘><설령(雪嶺)><강변><강구(江口)>
<밤의 정물><고기(古器)와 귤><고기(古器)><오월(五月)의 풍경><해정(海情)A><해정(海情)B><소라A><소라B><염(艶)><벽화(Eegypt)><해변>출품

개인전 "임호유화전"(6.23-29 보리수다방, 부산)
-30점 출품

후기(後期)창립전(부산미국문화센터)
제2회 후기전(부산시전시관)
 
1969 개인전 "임호유화전"(보리수다방, 부산)  
1968 부산일요화가회(취미로 즐기는 미술애호가의 모임) 창립  
1967 개인전 "임호유화전"(대호다방, 부산 10.12-17)  
1966 개인전 "임호유화전"(광복동문다방, 부산 11.3-9)  
1965 개인전 "임호유화전"(부산공보관 3.23-28)
<사립(砂立)><한라산><풀밭><수련A><수련B><아침><성산포><난(爛)><나><청추(淸秋)><정>
<해변의 삽화(揷話)><어심><수심(水心)><낙동강><어개(魚介)><오월(五月)><그라지오라스><여인과 식물><계곡><양지(陽地)><생선A><생선B><통대구><청사(廳舍)><조개껍질><풍경>출품
 
1964 개인전 "임호 양화전"(구마산 신신다방, 부산)
<건설보(建設譜)><비상(飛翔)><추정(秋情)><해변><군맥(群脈)><해정(海情)><공작선인장>
<부각(浮刻)><파도><정(情)><명태(A)><명태(明太)><여인과 선인장><소녀와 열대식물><그라지오라스소라와 새우><건어(乾魚)><부산항><생선><정물><미망인><관음상(觀音像)><서조(瑞朝)><여인과새장>

3.1절기념 한국미협부산지부회원전(부산공보관)
<건설보>출품

제5회 개인전 "임호작품전"(부산공보관)
<서조(瑞朝)><비(飛)><해변><해정(海情)><건설보(建設譜)><명태><추정(秋情)><시청 앞><새우 있는 정물><나녀(裸女)와 열대식물><건어(乾魚)><설산(雪山)><납새미와 소라><영도(影島)다리><도장(塗裝)하는 배><오월의 여인><눈 오는 날><여인과 식물 A><여인과 식물 B><가재와 소라><패류(貝縲)><공작선인장><앞바다><산길><훈풍(薰風)><그라지오라스><파도><꽃장수 소녀><수련><하늘><초원(草原)><수평선>출품

제7회 부산시문화상 미술부문 수상
-미술분과 서양화 창작상
수상작품 : 제5회 개인전/<납새미와 소라><명태><초원><하늘>외 30여점

제1회 앙데팡당전(부산공보관)
 
1963 미협회원전(부산공보관)
-<추정(秋情)><정(情)> 출품
 
1961 제8회 군록미전(고려싸롱, 부산)
-<수련><해변>출품
 
1959 제4회 개인전 "임호 양화전"(동화화랑, 부산)
<절벽><산><망양(望洋)><한라산><관음(觀音)><부각(浮刻)><아침><엽란(葉蘭)과 여인><열대식물과 소녀><선인장과 여인><풍과(豊果><정(情)><독서><수련><관엽식물><성산포A><성산포B><해변>
<산길A><산길B><피리부는 소년><공작선인장A><공작선인장B><공작선인장C><제주 풍물><수(愁)>
<써커스><꽃과 푸로필><추정(秋情)><꽃장수 소녀><풍경><나부(裸婦)><게발 선인장><흑선(黑扇)>
<벽화>출품

부산미협전(문화회관, 부산)

서울에서 개인전
 
1958 호수상설화랑개관초청전(동광동 호수화랑, 부산)
-김남배, 김윤민, 김원갑, 김종식, 민백향, 서성찬, 양달석, 이형섭, 추연근, 한상돈, 허민, 임호, 이석우

광복절 건국10주년 경축미술전(문화회관화랑, 부산)
<환(歡)>출품

제3회 개인전(미화당화랑, 부산)
<선인장과 여인><아침><평화><백영(白影)><빛><수(愁)><풍과(豊果)><공작선인장><대낮><해변>
<독서><산길><피리부는 소년><설산(雪山)><가족><밤><망양(望洋)><써-커스><절벽(絶壁)><항아리 있는 풍경><관음(觀音)><부각(浮刻)><낙일(落日)><마리아>출품

제10회경남미술교육연구회회원전(동광동문화회관, 부산)
<독서>출품
 
1957 부산미술협회전(미화당문화회관, 부산)
호수상설화랑개관초청전(동광동 호수화랑, 부산)
-김남배, 김윤민, 김원갑, 김종식, 민백향, 서성찬, 양달석, 이형섭, 추연근, 한상돈, 허민, 임호, 이석우
 
1956 3.1절경축 합동전(미국공보관, 부산)
<낙동강><국화> 출품

마산문화협의회 주최 "제2회 흑마전"(남궁다방, 마산)
-임호, 김재규, 박해강, 박홍석, 이림, 최영림, 이수홍, 배기준, 김주석, 이응조, 정덕상
<허(虛)><환희(歡喜)>출품

제2회 개인전(대청동만화당예식장, 부산)
<허(虛)><난(亂)><군맥(群脈)><절벽><정(情)><사향(麝香)><어막(漁幕)><양춘(陽春)>
<병(甁)><찬(燦)><행(幸)><추립(A)><추립(B)><다보탑><십일면관음><청동약사(靑銅藥師)>
<제주도인상><목마><성산포A><성산포B><나녀와 조롱><흑선(黑扇)><혜경(蕙卿)><색동옷>
<별><풍화(風化)><등(燈)과 벌레><아마리리스>출품

<군록>전
-임호, 김종식, 민백향, 김봉진, 차주환, 성백주
 
1955 제1회 개인전(미화당백화점화랑, 부산)
<조탑><고동><목동><꽃바구니의 소녀><고낭><선인장A><선인장B><산과 하늘><신록><제주풍경>
<나녀><관음><우의의 소녀><잠><뻐꾹새 우는 날><달><돌사람><황혼><장독간><송도고개><웅계>
<백일><해풍><건설보><진주><피리 부는 소년><종백과 소녀><수련><여로>출품

7월동인전(제1회 군록회전)(아포로 다방,부산)
-차주환, 민백향, 김봉진, 성백주, 김종식, 임호
<우의의 소녀><고낭><꽃바구니><백일> 출품
"7월동인전"을 계기로 '군록'회 형성
 
1954 제3회 토벽전(창선동 실로암 다방, 부산)
-김영교, 김경, 김종식, 김윤민, 임호
<건설보><구두닦이 소년들><자유><오월의 수향><제주도 풍물><피리부는 소년>
 
1953 영남상고 미술교사직을 시작으로 부산에 정착

<토벽>동인회 결성, 제1회 토벽 동인전(르넷쌍스 다방, 부산)
-서성찬, 김영교, 김윤민, 김종식, 임호, 김경
<여로-자서전초><해바라기와 해녀>,여인><별> 출품
 
1953 제2회 토벽 동인전(휘가로 다방, 부산)
-김영교, 김윤민, 김종식, 임호, 김경
<한라산 기슭><절벽><아침><해변><해풍>출품
 
1952 전국문화단체총연합회, 대한미술협회 주최 "3.1절 기념 미술전 전람회"(늘봄다방 등, 부산)
<응시><눈의 하단풍경>출품
 
1951 대한미술협회주최 "전시미술전람회"(부산외교구락부)
<소의(素衣)여인>출품

대한미술협회 미술전(부산역전 향상(向上)의 집)
<해바라기와 해녀> 출품

양화6인전<밀다원2층, 부산>
-박득순, 임호, 서성찬, 백영주, 박영선, 김인승
<풍경><인물>출품
 
1950 서성찬 등과 함께 중부전선 종군화가단 참가
제2회 혁토사(赫土社, 경남미술연구회의 새이름/미국문화원, 부산)
-김봉기, 우신출, 김원갑, 장윤성, 김남배, 이림, 전혁림, 서성찬, 이준, 정인성, 조상범, 박완서, 임응식, 임호
 
1949 제1회 경남미술연구회 작품전(이후 '혀고사'로 개칭/부산시공화당)
-김남배, 서성찬, 우신출, 이림, 전혁림, 장윤성, 김종식, 이준, 임채완(임호)
<난설> <대화> <시그널> <개천> <황혼의 거리> <가야산암자> <소녀상> 출품
 
1948 경남미술회결성(부산역앞 백양다방)
민주중보사 주최 제1회 부산미술전(동광국민학교 강당)
-김만형, 서성찬, 문신, 김남배, 우신출, 양달설, 김종식, 임채완(임호) 등
 
1946 마산에서 교직생활 시작  
1944 제23회 조선미술전람회(선전) (중앙공보관)
-<초추(初秋의 자하리>입선
 
1943 제8회 교토시미술전람회
-<어선산(御殿山)의 춘(春)>입선

일본 오사카미술학교 서양화부 졸업
오사카시주최 제3회 오사카시전(오사카시립미술관)입선
제4회 華畝양화회전람회(대선기념경도미술관)
-林日出夫으로 <파후의 풍경>출품
 
1942 제7회 교토시미술전람회
-林日出夫으로 <만춘저촌(晩春渚村)>입선

오사카시주최 제2회 오사카시전(오사카시립미술관)입선
 

해당장르

  • 장르 문화예술인 > 시각예술인 > 회화 > 서양화
  • 역할 서양화가
  • 키워드 서양화#유화#부산#토벽#경남미수회#혁토사#작품전#오사카#조선미술전람회#교토시미술전람회

교육활동

    등록된 교육활동이 없습니다.
자료등록:(재)부산문화재단 - 본 내용은 등록자에 의해 작성된 내용임을 밝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