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아카이브

HOME 예술아카이브 권역별문화지도

해당메뉴 명

메뉴 열기닫기 버튼

권역별문화지도

샛바람 부는 날에 - 극단 맥

문화예술작품 공연예술작품 연극 창작극

NO.APD3547최종업데이트:2013.09.22

자료등록 : (재)부산문화재단 본 내용은 등록자에 의해 작성된 내용임을 밝힙니다.

프로필

  • 작품제목 샛바람 부는 날에 - 극단 맥
  • 작품장르 문화예술작품 > 공연예술작품 > 연극 > 창작극
  • 발표일 1996. 4. 7 - 4. 9
  • 발표매체 제14회 부산연극제 - 부산시민회관소극장
  • 발표주체 357

작품설명

  • 연출 이정남
    작 김경화
    배우 어주선, 고인범, 김기환, 이현주, 고상준, 심미란, 조영미, 박영수, 정하미, 최성희, 김정화
    스태프 박종갑, 이우길, 최꽃닢, 신희석, 유은경, 이서영, 송진아, 배기철

    제14회 부산연극제 대상 수상.
    제14회 전국연극제 장려상, 희곡상 수상.

    <샛바람 부는 날에>는 남해안 작은 섬에서 사이비종교, 적조현상, 유조선기름유출 등의 피해가 덮치면서 섬사람들이 삶의 터전을 잃어버린다는 이야기로 사람 간의 순수한 심성, 사랑, 환경보존의 중요함을 주제의식으로 갖는다. 또 우리가 딛고 있는 땅이 자연과 인간의 윤리가 이미 파괴될 대로 파괴돼 있어서 이제는 자연의 섭리 속에서 살아가야 한다고 말한다.
    이정남 연출은 이러한 극적 의도를 표현하기 위해 사실적 공간을 장치해 그 속에 살아가는 인물들을 직접적이고 사실적으로-대중가요 및 일상적 몸짓의 놀이적 연극의 혼합으로-제시한다.

    평화롭고 아름다운 남해의 외딴섬 수리도 축양장을 개장하는 축하잔치가 열리고, 할매는 손녀딸 향아를 교주의 양녀로 보내기로 결정한다. 어느덧 3년이 흘러 사교주가 양딸인 향아를 겁탈하는 사건이 벌어지면서, 날로 번창하던 수리섬에 재앙이 닥치기 시작한다. 남해안 일대는 물론 섬 주위에 적조현상이 확산되고 이로인해 전씨의 양식장은 망하고 만다. 황사장은 적조피해 보상금을 갈취해서 도망을 가고, 유조선이 침몰해 엄청난 기름띠가 섬을 뒤덮고 적자를 감수하면서 운행해 오던 연락선까지 부도로 문을 닫게 되면서 마을 사람들은 수리섬을 떠나야 할 귀로게 서게 된다. 선착장에서 놀던 향아는 기름에 미끄러져 바다에 빠져 죽고 섬사람들이 모두 떠난 수리섬의 정상에는 할매의 울부짓음이 메아리친다.

    <샛바람 부는 날에>는 공연양식, 극적 템포, 배우들간의 연기대응관계가 다른 작품들보다 뛰어나고 전제적인 완성도가 높았으며, 비교적 관객들에게 내용전달이 잘 이루어져 호응이 높았던 점이 높이 평가 되었다.


    * 부산일보, 1996. 4. 22. 01면
    * 국제신문, 1996. 4. 22. 21면
    * 민병욱, <제14회 부산연극제를 보고>, 국제신문, 1996. 4. 22. 21면

주요작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