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아카이브

HOME 예술아카이브 기본DB

해당메뉴 명

메뉴 열기닫기 버튼

기본DB

김온경(김온경무용단)

문화예술인 공연예술인 무용 한국무용

NO.AGD557최종업데이트:2017.04.20

자료등록 : (재)부산문화재단 본 내용은 등록자에 의해 작성된 내용임을 밝힙니다

프로필

김온경(김온경무용단)

  • 분류문화예술인
  • 이름김온경(김온경무용단) / 金溫慶
  • 출생지 부산 초량

인물소개

  • 1957.02 남성여자고등학교 졸업
    1961.02 덕성여자대학교 국문학과 졸업
    1979.02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무용학과 졸업 (한국무용전공)
    1987.08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특별과정(박사과정) 무용전공 수료

    (사)부산민속예술보존협회 이사장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0호 동래고무 예능보유자
    신라대학교 무용학과 교수 역임
    동아대학교 스포츠문화학부 무용예술전공 초빙교수 역임
    부산.경남 문화재위원 역임
    한국무용협회 부산광역시 지회장 역임
    부산무용협회장 역임

    [사사]
    1948 ∼ 1957 강태홍 문하에서 굿거리춤, 입춤, 승무, 산조춤 사사
    1960 ∼ 1963 수영야류 최한복(수양반춤), 동래야류 박덕업(말뚝이춤), 통영오광대 장재봉(통영오광대 전과장) 사사
    1970 ∼ 동래야류 문장원 (동래덧배기춤, 문둥탈춤, 동래학춤) 전수

    [주요안무작품]
    도솔천무(2002), 광수무(2001), 개천무(2000), 이름넋(1997), 할미꽃 각시꽃(1995), 흑사리(1993), 한밝춤(1991), 像(1990)
    산자를 위하여(1998), 곡두질(1986) 외 다수

    [전통춤 공연]
    1951년부터 2012년 현재 "부산춤의 맥 청화당 김온경 춤판"(국립국악원 우면당) 외 다수
    - 출연종목 : 동래고무, 산조춤, 문둥탈춤, 동래입춤, 승무, 동래학춤, 살풀이춤

    [저서 및 논문]
    『한국민속무용연구』, 형설출판사, 1982
    『부산경남향토무용총론』, 한국평론, 1991
    『동래고무총람』, 미주기획, 1999
    「경남 가면무의 미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979
    「원양반춤과 말뚝이 춤사위에 대한 비교연구」, 『부산여자대학교 논문 제8집』, 1980
    「동해안 별신굿 무무에 대한 연구」, 『부산여자대학교 논문 제10집』, 1981
    「무용예술의 미적방향」, 『행경 제2호』, 1982
    「전통과 민중의식」, 『수련 18호』, 1983
    「경남 덧배기춤 고」, 『한국무용연구 제2집』, 1983
    「고대제의와 춤의 기능에 관한 연구」, 『한국무용연구 제4집』, 1986
    「동래학춤에 관한 연구」, 『부산여자대학교 논문 제23집』, 1987
    「동래야류의 춤사위 연구」, 『부산여자대학교(신라대학교) 논문 제29집』, 1990
    「부산, 경남지역의 춤사위 고」, 『한국 춤모임 짓 연구지 제3』, 1990
    「鄭顯碩의 敎坊歌謠 硏究」, 『부산여자대학교(신라대학교) 논문 제40집』, 1995「강태홍류 산조춤 연구」, 『한국무용연구 제15집』, 1997
    「지역사회에서 대학무용의 역할」, 《98 대학무용제 제2회 심포지엄》, 『대학의 무용-그 전망과 기대』, 1998
    『예술부산』에 연속 게재, 부산무용사, 2006 ∼ 2007
    「부산 경남 춤 원류연구」, 『우리춤연구 제4집』, 2007
    「양산북안 동제의 지신밟기 연희에 대한 접근」, 양산문화원, 2008
    「부산국립국악원과 무용. 그 당위성과 역할」, 부산시 주최 심포지움 발제, 2008
    「부산의 전통춤을 짚어본다」, 『예술부산』, 2009.04

    [참고문헌]
    김경애 외 3인 공저, 「우리무용 100년」, 현암사, 2001
    김온경, 『동래고무총람』, 미주기획, 1999
    유인화, 「춤과 그들」, 동아시아, 2008

학력사항

모바일환경에서는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표)을 보실 수 있습니다.

학력사항 - 학습기간, 학교, 전공, 학위, 비고을(를) 상세히 나타낸 표입니다.
학습기간 학교 전공 학위 비고
~ 1957 남성여자고등학교
~ 1961 덕성여자대학교 국문과
~ 1979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무용(한국무용전공) 석사
~ 1987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무용 박사 수료

주요활동사항

모바일환경에서는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표)을 보실 수 있습니다.

주요활동사항 - 년도, 활동내역, 비고을(를) 상세히 나타낸 표입니다.
년도 활동내역 비고
2010 2010 춤으로 갈무리하다’
이 시대의 코리아 명무전’
제16회 동래읍성축제
시지정 무형문화재 정기공연
명인 명창 공연’
김온경 삶과 예술’구술집 발행
제39회 부산민속예술축제
제45회 동래민속예술축제
'부산 춤 100년사’저서 출판
 
2009 부산국립국악원 창단공연 <천연화가 움트고>, <동래고무> 출연(부산국립국악원 예악당)
부산춤의 맥 《청화당 김온경 춤판》(국립국악원 우면당, 서울)
전통놀이 한마당
토요상설 전통민속놀이마당
여수시립국악단 특별공연
제38회 부산민속예술축제
제44회 동래민속예술축제
 
2008 부산시지정 무형문화재 정기공연
국립국악원개원기념 ‘얼쑤 한마당’
제43회 동래민속예술축제 참가
제37회 부산민속예술축제 참가
<맥 그리고 창조> ‘원로춤 작가전’
 
2007 해설과 함께하는 청화당 김온경 류 전통춤 공연  
2006 고희기념 청화당 김온경 전통무용공연
9.15. 제5회 부산예술상 수상, 한국예총 부산시지회장
 
2005 부산 국제 해변 무용제 <학춤>  
2004 김온경 부산 전통무용 큰 춤판  
2003 청화당 김온경교수 정년기념 큰 춤판 부산전통춤공연  
2002 부산춤의 향기
《2002 부산아시안게임》 경축 공식문화행사 선정작품 총체무극 <허황후> 총기획 및 예술감독
 
2001 <광수무> 안무
2월. 제3회 신라학술상 수상, 신라대학교 총장
 
2000 김온경 겹사위무용단 <명무와 할미광대>
<개천무>, <도솔천무> 안무
 
1999 '99 김온경 춤판
『동래고무총람』저서
 
1998 청화당 김온경교수 회갑기념 '98 동래고무 정기공연
6.14. 제29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동래한량춤(발굴 및 재구성 안무) 문화관광부장관상 수상
 
1997 김온경 전통춤
<아름넋> 안무
 
1996 10. 제39회 부산공역시 문화상 수상 (공연예술부문) 부산시장  
1995 김온경의 겹사위 무용단 '95정기공연
서울국제무용제 공연 / <할미꽃·각시꽃> 안무
 
1994 김온경의 춤4대전
김온경 한국민속무용단 스페인 초청 순회공연
창단10주년기념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 초청 <산조춤> 출연
《개교30주년기념 부산여자대학교 종합예술제》 <강산에 살으리> 안무
 
1993 6.5. 제22회 부산민속예술경연대회 동래고무(발굴지도) 최우수상 수상  
1992 김온경의 전통춤  
1991 【부산 경남 향토무용촌론】저서  
1991 <한밝춤> 안무
【부산 경남 향토무용촌론】
김온경 겹사위무용단 창단 및 공연작품 <회상>, <탐> 예술감독
 
1990 극무용 <상(像)> 안무(부산문화회관 대극장)
제12회 무대예술제》 <광한루에서> 안무(부산시민회관 대극장)
 
1988 '88 올림픽 예술축전 제11회 부산무대예술제 극무용 <산 者를 위하여> / 안무  
1987 동래고무 발굴시연회(부산민속예술관)
일본 히로시마 초청 <동래고무>, <동래학춤> 지도 및 출연
 
1986 엄옥자/학살이·김온경/곡두질  
1986 《제2회 한국무용제전》 초청공연 <곡두질> 안무 및 출연(서울문예회관 대극장)
김온경 <곡두질> 부산 자축공연
아시안게임 스포츠과학 학술대회 초청 <동래학춤> 공연(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1985 《제1회 한국무용제전》 초청공연 <산 절로 나도 절로>, <생의 집념> 안무 및 출연
 
1984 제53회 무형문화재정기공연
<곡두질> 안무
《김온경 무용전》-<학이 되어>, <어떤 생애> 안무 및 출연, 부산시민회관 대극장
국립국악원 초청 제53회 정기공연 <굿거리춤>, <문둥이춤>, <승무>, <동래학춤>
 
1982 김온경 춤판 공연
제13회 공간전통예술의 밤 김온경 춤판 공연
【한국민속무용연구】저서
 
1981 미국 렌씽대학 초청 <동래학춤>, <문둥탈춤>, <별신굿> 안무 및 출연, 미국 렌씽대학 공연장
(07.18∼22)
 
1980 <별신굿> 안무  
1978 제3회 부산여대 창작무용발표회 <오작교>, <길> 안무  
1975 한국문화예술진흥원 공연지원 제2회 창작무용 합동공연 출연 / <학바위> 안무  
1974 한국문화예술진흥원 공연지원 제2회 창작무용 합동공연 출품작 <삶의 집념> 안무  
1962 9.15 경축 민속노리 5대 경연대회
(사)한국국악협회 경남지회【민속국악계승 지방순회반】
 
1957 창극단 창립대공연 <보함의 비밀>출연 / 안무  

해당장르

  • 장르 문화예술인 > 공연예술인 > 무용 > 한국무용
  • 역할 연출가 , 안무가 , 무용가
  • 대상 어린이,청소년,일반인
  • 키워드 김온경#동래고무#전통춤#한국무용

교육활동

    등록된 교육활동이 없습니다.
자료등록:(재)부산문화재단 - 본 내용은 등록자에 의해 작성된 내용임을 밝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