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아카이브

HOME 예술아카이브 기본DB

해당메뉴 명

메뉴 열기닫기 버튼

기본DB

정항섭

문화예술인 공연예술인 무용 한국무용

NO.AGD558최종업데이트:2012.08.10

자료등록 : (재)부산문화재단 본 내용은 등록자에 의해 작성된 내용임을 밝힙니다

프로필

정항섭

  • 분류문화예술인
  • 이름정항섭 / 鄭恒燮
  • 생년월일 1927년 4월 13일
  • 출생지 경기도 용인

인물소개

  • 현 부산 정무연무용학원 원장 (사)한국무용협회부산지회고문
    부산진문화예술인협의회 고문

    1949.6-1954.2 일본 동경 사사스가 정무연 오자와 준꼬 합동연구소 운영
    1951.6-1952.6 일본 동경 아사구사 국제극장 안무 및 전속출연
    1954.2. 일본 동경 정무연 무용연구회 개설운영
    1955.1. 서울 발레연구소 공동운영
    1955.2-1975.2. 정무연무용연구소 개설(서울)
    1957.5. 한국무용예술인 협회이사
    1958.2. 일본 동경 가와가미고로 무용연구소 수료

    [수상경력]
    1987 감사패. 미 육군성제34지원단
    1985 감사패. 한국해양대학 무도연구회
    1981 감사패. 한국예술문화단체


    [참고문헌]
    - 단행본
    『구술사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며』, 한국구술사학회 창립발표집, 2009,
    『예술구술사국제워크숍』, 한국무용기록학회․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08.
    『예술사구술채록자료집 : 무용부문Ⅰ』, 아르코예술정보관, 2007.
    『예술사구술채록사업제1단계기초설계연구』, 아르코예술정보관, 2006.
    『예술사구술채록사업제2단계기초설계연구』, 아르코예술정보관, 2007.
    『우리춤 전통과 창조성』, 강이문춤비평론집.
    『증언사 입문』, 제임스 고스 지음, 유병용 옮김, 한울아카데미, 1995.
    『한국근현대에술사 증언채록사업 : 기초설계를 위한 제1차 워크숍』,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03.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 『한국민속대관]』, 서울: 고려민족문화연구소출판부, 1980.
    국사편찬위원회 편집부,『현황과 방법, 구술.구술자료-구술사』, 국사편찬위원회, 2004.
    김경애 외 3인, 『우리무용 100년』, 현암사, 2001
    김태원, 『예술춤시대의 탐색』, 현대미학사, 1995
    김태원, 『예술춤의 위기와 전망』, 현대미학사, 2004
    김옥진, 『무용개론]』, 서울: 한양대학교, 1984
    문애령, 『한국 현대무용사의 인물들』, 눈빛, 2001
    문애령, 『전환기의 무용예술 - 무용사회구조의 변동』, 1999
    문일지, 『한국명무전』
    백영자, 『한국복식』, 형설출판사, 1985.
    성기숙, 『전통의 변용과 춤창조, 재창조』
    송수남 『한국근대춤인물사』
    안제승, 『한국신무용사』, 승리문화사, 1986
    양정수, 『한국현대무용사』, 대한미디어, 1999
    유인화, 『춤과 그들』, 동아시아, 2008
    윤택림, 『인류학자의 과거 여행』, 역사비평사, 2003.
    이능화, 『조선무속고』, 동문선, 1995.
    이세기, 『여유와 금도의 춤』, 푸른사상, 2003.
    정범태, 『명인명창』
    정병호, 『춤사위』, 서울: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81.
    정병호, 『한국의 전통춤』, 서울: 집문당, 1999.
    정병호, 『韓國춤』, 서울: 열화당, 1985.
    한국구술사연구회,『구술사』, 선인, 2005.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한국현대예술사대계 4』. 시공사, 2004.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한국현대예술사대계 5』. 시공사, 2005.
    한국예술학연구소, 『한국현대예술사대계2』, 시공사, 2000
    현대학술총서, 『한국의 공연예술』, 현대미학사.

    - 논문
    김용철, 「20c 한국춤의 원형적 변화와 가치인식에 관한 연구」” 세종대 박사학위 논문. 2007.
    유철인,「생애 이야기 주제와 서술전략」, 한국문화인류학, 1996.
    윤택림, 「기억에서 역사로」, 한국문화인류학, 25, 1993.
    윤택림, 「역사인류학자의 시각에서 본 역사학: 구술사 연구를 중심으로」, 역사문제연구, 2001.
    이용기, 「구술사의 올바른 자리매김을 제언」, 역사비평, 2002.
    이주연, 「전통에 관한 담론」 연세대학교대학원, 1995.
    정승희, 「근대 한국무용사 연구」, 단국대박사학위논문, 1997.
    정혜경, 「한국의 구술자료의 관리현황」, 한국역사역구회와 대전대 인문과학연구소 공동주최 세미나, 2000.
    최해리, 「한국 무용학의 성과와 당면과제」, 대한무용학회논문집 제27집. 2007.
    함한희, 「구술사와 문화연구」, 한국문화인류학, 2000.

    - 웹사이트
    무용 월간지『춤』홈페이지: “http://www.choom.co.kr/”
    ‘예술로’ 홈페이지: “http://www.art.go.kr/”
    중앙일보홈페이지: "http://article.joins.com/article/article.asp?total_id=3009569"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kalliope63/110017459421”
    무용비평 카페: "http://cafe.naver.com/21critic/151"

학력사항

모바일환경에서는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표)을 보실 수 있습니다.

학력사항 - 학습기간, 학교, 전공, 학위, 비고을(를) 상세히 나타낸 표입니다.
학습기간 학교 전공 학위 비고
1945 ~ 1958 조선정악원 고전무용연구소 수료
~ 1945 서울 배재고등학교
~ 1945 서울 장추화 무용연구소 수료
~ 1949 일본 도꾜 가와가미고로 무용연구소 스페니쉬 댄스

주요활동사항

모바일환경에서는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표)을 보실 수 있습니다.

주요활동사항 - 년도, 활동내역, 비고을(를) 상세히 나타낸 표입니다.
년도 활동내역 비고
2007 제6회 정무연무용단 대공연 (부산시민회관소강당)  4.19
2006 제5회 정무연무용단 대공연 (부산시민회관 소강당)  4.20
2005 제4회 정무연무용단 대공연 (부산시민회관 소강당)
 4.17
2004 부산진 구민을 위한 어버이날 열린 공연 (부산진구청 지하 대강당) 정무연 출연. <대감놀이>, <멕시코노래와 춤>, <추억의 노래>, <스페인의 축제>
제3회 정무연무용단 대공연 (부산시민회관 소강당)
 5.06
2003 부산진 구민을 위한 어버이날 열린공연(부산진구청 지하 대강당) 정무연 출연. <화관무>, <스페인노래와 춤>, <오아시스의 풍경>, <대감놀이>, <가을밤>, <스페인 춤>, <부채춤>, <추억의 노래>, <만리청풍>
제2회 정무연무용단 대공연 (부산시민회관 소강당)
 5.07/03.26
2002 부산진 구민을 위한 어버이날 열린 공연 (부산진구청 지하 대강당) 정무연 출연. <대감놀이>, <스페인의 축제>, <남원의 애수>, <오리엔탈인도춤>, <나그네설움>, <멕시코 민속춤>, <노래와 춤>  
2001 2001. 3. 18. 명무전 정무연출연. <대감놀이>
2001. 3. 24. 제1회 정무연과 함께 (부산시민회관 소강당) 정무연 출연 <서울대감놀이굿>, <스페인춤>, <연꽃>, <라틴송>, <춘원>, <민요창메들리>, <장구마당놀이>
 
1993 대한민국 남성무용가 초청특별공연 (한국무역센터) 정무연 출연. <황해도 신장 굿거리>, <스페인 축제>  11. 28.
1992 92‘ 춤의 해 부산무용인의 합동공연전.(부산문화회관 대강당) 정무연 출연. <황해도 신장 굿거리>  6. 8-9.
1991 제14회 부산무대예술제(부산시민회관 대강당). 정무연 안무 및 출연 , 정무연 출연 <창작극 무용 심청전>  10. 08-09
1986 1986.6.29 제11회 선무회무용합동공연(시민회관대강당). 정무연출연. <황해도신장굿거리>  
1985 라틴<음악 무용>콘서트(부산시민회관 소강당). 정무연 출연. <끼엔세/Quien Sera>, <베사메뮤초/Quiereme Mucho>, <이스토리아 데문 아모르/ Historia de un amor>, <키사스/Quizas>, <라쿠카라차/La Cuucaracha>, <라팔로마/La Palomn>, <노 아쎄 엘 도밍고/No hace 디 domingo>, <그라나다/Granada>, <솔라멘떼 우나 베스/Solamente una vez>  9. 15.
1970 광복25주년 경축공연(국립극장). 정무연 출연. <깐띠나 도로레스><에스파냐갸니/Espana Cani>
 8. 14-15.
1968 일본 동경 제2회 호자명 독창회.(광주관광호텔). 출연.  
1967 일본 동경 제1회 호자명 독창회 정무연 출연  
1961 미8군 화양연예주식회사 전속안무담당 출연  
1957 귀국 제1회 무용발표회(서울 명동시립극장)  
1954 2월 일본 동경 아사쿠사 국제극장 안무 및 출연
 
1953 7월 일본 동경 요미우리 신문회관에서 무용발표  

해당장르

  • 장르 문화예술인 > 공연예술인 > 무용 > 한국무용
  • 역할 한국무용
  • 대상 어린이,청소년,일반인
  • 키워드 정무연#정항섭#한국무용

교육활동

    등록된 교육활동이 없습니다.
자료등록:(재)부산문화재단 - 본 내용은 등록자에 의해 작성된 내용임을 밝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