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아카이브

HOME 예술아카이브 기본DB

해당메뉴 명

메뉴 열기닫기 버튼

기본DB

황창호

문화예술인 공연예술인 무용 발레

NO.AGD561최종업데이트:2012.08.10

자료등록 : (재)부산문화재단 본 내용은 등록자에 의해 작성된 내용임을 밝힙니다

프로필

황창호

  • 분류문화예술인
  • 이름황창호 / 黃昌鎬
  • 생년월일 1936년 08월 20일
  • 사사 (師事) 송범

인물소개

  • 한국 발레의 대표적 2세대 발레리노의 한 사람으로 70~80년대 부산 발레의 활성화에 가장 큰 역할을 한 무용가.

    청주에서 태어난 황창호는 청주농고를 졸업하고 55년 공군하사관학교를 지원해 김포에서 의무병으로 근무했다. 어느 날 시의 공관에서 송범(한국무용가, 전 국립무용단 단장)의 <백조> 발레 공연을 보고 발레리노가 되기로 결심하고 다음날 바로 송범무용연구소를 찾아가 그의 문하생이 되었다.
    58년 제대 후, 송범과 함께 활동하던 그는 60년 한국발레단(전 국립발레단) 창단 단원으로 입단해 솔리스트로 활동했다. 68년 한국 뮤지컬극단의 효시인 <예그린악단>에서 잠시 활동하기도 했다. 69년 그 동안 자주 오가던 부산에 정착하기로 결심하고 양정동에 무용학원을 열었다. 72년 국립발레단의 지도위원으로 위촉받고 <지귀의 꿈>에 출연하게 되었지만 그는 부산에 남기로 결정했다. 76년에 부산 최초의 민간 발레단인 <부산창작발레단>을 창단했다. 그리고 그 해 5월 부산시민회관에서 창단공연을 했다. 이후 86년 자신이 직접 대본을 쓴 <바보온달>(작곡 안일웅)을 마지막으로 공연하기까지 7회의 정기공연을 했다. 85년 부산무용협회 지부장을 맡기도 했다. 남정호(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김정순(신라대학교 교수), 민병수(부산대 교수)와 이원국, 김용걸 등의 뛰어난 발레리노들이 그의 가르침을 밭았다.

    창단 공연으로 올린 <바리아숑>, <인큐베이터>을 비롯하여 해마다 정기공연을 하며 <영의 시련>, <시지프스>, <한국환상곡> 등의 작품을 계속해 발표하였고, <을숙도>, <동래부순절도>와 같은 향토색 짙은 작품을 창작하기도 했다. <인큐베이트>는 “영육의 갈등이라는 원초적 기형성과 고독을 노래한 것으로 현대를 의식한 독창성”을 가진 호감이 가는 작품으로 평가받았다. <바보온달>은 널리 알려진 구전동화를 황창호가 직접 각색하여 대본을 구성했는데 발레의 한국적 토착화에 한 몫 한 것으로 평가받은 작품이었다.
    또, 그는 훌륭한 발레리노이기도 했다. 임성남은 그의 첫 발표회 춤을 보고, “클래식 다루는 주역, 품위와 표정에 여유”가 있다고 평했다.
    창단 10주년인 1985년에는 부산 발레의 인적 소재를 총동원하여 <지젤>을 공연했다. 국립발레단 출신 정금화와 장성애, 조지훈, 이장동 등이 주역 춤꾼으로 출연했다.


    1962년 문공부 주최 제2회 신인예술상 무용부문 특상

    [참고 문헌]
    강미문, 「부산 창작발레단 창단공연을 보고」,『춤』지, 1976년 11월호.
    강이문, 「발레의 한국적 토착화에 한몫」, 부산일보, 1986년 10월 18일.
    정학종, 「민간단체로 공연 10년째」, 부산일보, 1986년 10월 9일.
    강이문, 「부산 창작발레단 공연」, 월간『춤』, 1985년 7월호.
    신태범, 「신태범의 부산문화 야사」, 국제신문, 2001년 8월 8일.
    황창호, 「장난같은 다수의 횡포」, 부산일보, 1977년 2월 24일.
    임성남, 「클래식 다루는 주역, 품위와 표정에 여유」, 경향신문, 1965년 6월 14일.

학력사항

모바일환경에서는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표)을 보실 수 있습니다.

학력사항 - 학습기간, 학교, 전공, 학위, 비고을(를) 상세히 나타낸 표입니다.
학습기간 학교 전공 학위 비고
청주농업고등학교
공군하사관학교

주요활동사항

모바일환경에서는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표)을 보실 수 있습니다.

주요활동사항 - 년도, 활동내역, 비고을(를) 상세히 나타낸 표입니다.
년도 활동내역 비고
1991 12.08 부산여자전문대학 무용과 졸업 작품 발표회 지도
 
1990 행정무용단 지방순회공연  
1988 10. 부산여자전문대학 무용발표회 〈Moon Light〉〈지젤 중에서〉  
1987 09.18 부산여자전문대학 제2회 창작춤 안무  
1986 10.15-16 제 7회 부산창작발레단 공연〈바보온달〉대본 및 안무  
1985 0.14-15 제 6회 부산창작발레단 공연〈지젤〉전막 (부산시민회관 대강당)  
1983 06.26 제 5회 부산창작발레단 공연〈동래부순절도〉안무  
1982 05.29 제 4회 부산창작발레단 공연 〈한국환상곡〉안무 (부산시민회관 대강당)  
1978 05.21 제 3회 부산창작발레단 공연〈을숙도〉안무 (부산시민회관 대강당)  
1977 05.21 제 2회 부산창작발레단 공연 〈영의 시련〉안무 (부산시민회관 대강당)  
1976 05.15 제 1회 부산창작발레단 창단 공연 〈인큐베이터〉안무 (부산시민회관 대강당)
12.28-29 손세란 창작무용공연- 무용극 〈꿈〉출연
 
1975 06.26 선무회 무용공연 〈백의 조곡〉안무, 부산시민회관 대강당
09.27 제 5회 조숙자창작무용발표회 출연, 부산시민회관 대강당
 
1974 04.03-07 국립발레단 제 14회 공연 〈지귀의 꿈〉출연.
12.13-14 제 2회 시립무용단 정기발표 객원 출연
 
1966 12.27 제 4회 조예경발레공연(조숙자) 출연 (명동 국립극장)  
1964 06.20-24 국립무용단 제4회 공연〈푸른도포〉〈허도령〉출연.
제 1회 개인 무용발표회 〈삶〉〈망각의 강〉등 안무발표 (명동 국립극장)
 
1963 03.13-17 국립무용단 제 2회 공연 〈검은 태양〉출연.  
1962 11.09-11 김인주 제 1회 무용발표회 〈구노의 조곡〉〈짚시〉〈사랑의 대화〉출연(국립극장)  
1961 동아일보사 주최 제 2회 신인무용발표회 작품발표(국립극장)  
1960 6.25-26 한국무용협회 무용예술제〈젊은 세대의 반항〉안무
7.01-04 한국발레단 창립공연 출연.〈공기의 정〉
 
1955 〈비련〉 출연  

해당장르

  • 장르 문화예술인 > 공연예술인 > 무용 > 발레
  • 역할 발레
  • 키워드 #황창호#

교육활동

    등록된 교육활동이 없습니다.
자료등록:(재)부산문화재단 - 본 내용은 등록자에 의해 작성된 내용임을 밝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