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아카이브

HOME 예술아카이브 기본DB

해당메뉴 명

메뉴 열기닫기 버튼

기본DB

이매방

문화예술인 공연예술인 무용 한국무용

NO.AGD591최종업데이트:2012.10.17

자료등록 : (재)부산문화재단 본 내용은 등록자에 의해 작성된 내용임을 밝힙니다

프로필

이매방

  • 분류문화예술인
  • 이름이매방 / 李梅芳 / Lee,Mae Bang
  • 생년월일 1927년 03월 07일
  • 출생지 전남 목포

인물소개

  • 1927년 출생. 전라남도 목포 출신의 한국무용가이다. 중요무형문화재 제27호 <승무(僧舞)> 및 중요무형문화재 제97호 <살풀이춤> 예능보유자이며, 용인대학교 무용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세계 각국에서 공연을 펼쳐 한국무용의 우수성을 알렸고, 1998년 프랑스 예술문화훈장을 받았다. 무용협회 고문 옥관문화훈장 서훈, 프랑스 예술문화훈장 수상, 임방울 국악상을 수상했다.

    6, 25 후, 1953년 환도와 더불어 많은 무용가들이 고향으로 돌아간 후, 부산에서는 김동민이 전통 민속무악을 가르치고 있었고, 이때 부산에 잔류한 무용인 장홍심, 한순옥, 임수영, 박성옥, 김미화 등이 각기 연구소를 개설하고 부산 무용의 재건에 나섰다.
    50년대 중반에 들어서면서 김향촌, 이춘양, 김춘방, 황무봉 등이 부산 무용계에 유입되었고, 이때 이매방도 부산에 정착하면서 초량에 고전무용학원을 열었다. 그 후 이 학원은 황무봉무용학원과 더불어 부산 무용계의 양대 축을 이루며 많은 후배를 키워냈다. 황무봉 학원이 신무용류의 춤을 중심으로 교육한 반면, 이매방 학원은 전통춤을 주로 교육하며 걸출한 전통춤꾼을 배출했다.

    1976년 부산에서는 처음으로 문예진흥원 창작지원을 얻어 무용극 <신검>에서 남도무속의 무대화를 시도하기도 했다. 이 작품은 이듬해 한국문예진흥원 지방무용단 초청공연 지원으로 서울공연을 가졌다.

    이매방의 부인인 김명자가 지금도 이 학원을 운영하며 중요무형문화재 승무와 살풀이춤을 전수하고 있다.

    부산과 경남 지역에서 춤 좀 춘다는 전통춤꾼, 한국춤꾼 치고 이 학원과 조금이라도 인연을 맺지 않은 이가 없을 정도로 역사와 명성을 자랑하는 부산의 대표적인 춤 학원이다. 이매방 무용학원은 “우리의 운치 있는 고전무의 위상을 견지하는 외로운 샛별”처럼 한국의 전통춤을 굳건하게 바치는 버팀목 역할을 하고있다.

    [참고 문헌]
    강이문,「돌아본 70년대 부산문화」, 국제신문, 1979년 12월 27일.

    [수상경력]
    1976 부산시 눌원문화상
    1984. 10. 20 옥관문화훈장 (대통령)
    1992 미국 LA시장상
    1992. 10 예술문화대상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1995. 11 성옥(聲玉)문화상
    1998. 7 프랑스 예술문화훈장
    2004. 10 임방울국악상

학력사항

모바일환경에서는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표)을 보실 수 있습니다.

학력사항 - 학습기간, 학교, 전공, 학위, 비고을(를) 상세히 나타낸 표입니다.
학습기간 학교 전공 학위 비고
목포 북교소학교
만주 대련 정포학교
목포공업학교 졸업

주요활동사항

모바일환경에서는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표)을 보실 수 있습니다.

주요활동사항 - 년도, 활동내역, 비고을(를) 상세히 나타낸 표입니다.
년도 활동내역 비고
2006 5. 16 ≪성남 시민과 함께 하는 봄을 여는 춤 축제≫ (성남아트센타 오페라 하우스)
5. 2 ≪아태생명예술 : 명상치유공연예술 축제와 심포지움≫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전통문화예술공연장)
 
2005 10 제5회 ≪한국 전통춤 공연≫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극장) , 제25회 ≪대한민국 국악제≫ (국립국악원 예악당) , ≪2005년 한일우정년 제23회 무용공연≫ (오사카국립문악극장)
2005. 10. 8 ≪전무후무≫ <살풀이>, <승무> 공연 (토월극장)
2005. 10. 29 ≪우봉 이매방춤 전수관 개관 및 개관공연≫ (목포시민문화체육센터 내)
 
2004 1. 22 ≪점 하나로 여는 새해≫ <승무> 출연(국립국악원 예악당)
3. 14 CTMD(전통음악과 춤 보존센터) 초청 ≪Music And Dance Traditions Of Korea≫ <승무>, <살풀이춤> 공연 (맨하튼 피터 노튼 심포니 스페이스)
6. 마닐라(걸스타운)위문공연 The Sisters of Mary School Sta. Mesa, Manila , 필리핀 세부(C.C.P)공연 (Performing Art Theater (SM Theater No.1), SM Cebu City)
9. 제2회 ≪일한고전무용전≫ 출연 (조일생명홀)
12. ≪외길인생 우봉 이매방 춤인생 70년 기념공연≫ (국립극장 해오름극장)
 
2003 5 ≪동양춤 속의 여형≫ 출연 (국립국악원 우면당)
2003. 6. 23 ≪국회가족을 위한 우리춤 한마당≫ 우봉전통춤보존회 공연 (국회의원회관 대강당)
8. ≪명인명창전≫ 출연 (운현궁)
9. ≪예인의 향기≫ <살풀이춤> 출연 (국립국악원 예악당)
9. 23 ≪향사 박귀희 선생 10주기 추모기념공연≫ 출연 (국립극장 해오름극장)
10. ≪대를 잇는 예술혼 명인의 후예들≫ <살풀이춤> 출연 (서울무형문화재전수회관)
11. 25 제9회 ≪토박이모음전≫ <승무> 출연 (목포문화예술회관)
12. 14 ≪유성준 국창추모공연≫ <승무> 출연 (국립극장 달오름극장)
 
2002 3 ≪춘삼월, 삼청각에 부는 바람≫ 출연 (삼청각 일화당)
5. 20 ≪2002 서울공연예술제≫ <살풀이춤> 출연 (문예회관 대극장)
5. 26 ≪용연야범재현축제≫ <풀이춤> 출연 (제주 용두암 영연포구)
8 ≪한국천년의 소리≫ 일본 교토공연
11 ≪이매방 지성자의 세계≫ 출연 (일본 동경스파이라루홀) ≪존망(存亡)의 추(秋)≫ 출연 (일본 동경 스파이라루홀)
 
2001 5. 13 ≪한국고전예능≫ <살풀이춤>, <승무> 출연 (시즈오까음악관 AOI)
8 ≪명인명창대제전≫ <살풀이춤> 출연 (운현궁)
9 ≪중요무형문화재 우봉 이매방 전통무용대공연≫ 2001(목포문화예술회관)
10 ≪인간문화재 대축제≫ (남산골 한옥마을 천우각 광장) , ≪김묘선 한국전통무용공연≫ (일본 도꾸시마현 향토문화회관) , ≪한국천년의 소리≫ 출연, 일본 고지현입현민문화홀, 덕도현향토문화회관 대홀, 고송시립시민회관, 송산시민회관 중홀
12 2001년 서울특별시 무대공연지원사업 선정작품 , ≪외길인생 이매방 춤 대공연≫ (국립중앙극장 해오름극장)
 
2000 2 ≪우봉 이매방 춤인생 65년 기념대공연≫ (부산 문화회관 대극장)
3 ≪새천년맞이 무용대공연≫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5 ≪천년회상 천년상생(Reminiscences & Harmony in the New Millennium)≫ <승무> 출연 (국립국악원 예악당)
5. 8 광주시립국극단 19회 정기공연 ≪인간문화재 초청 판소리와 춤의 향연≫ <승무>, <살풀이춤> 출연 (광주문화예술회관 대극장)
9 운현궁 문화행사 ≪명인명창 大제전≫ <살풀이춤> 출연 (운현궁)
10 ≪인천세계춤축제 춤명인전≫ <살풀이춤> 출연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노스릿지 퍼포밍 아트센터에서 공연
11. 12 ≪日韓고전예능제 2000≫ <승무>, <살풀이춤> 출연 (횡빈능악당)
12 한일파트너쉽 ≪무형문화재대향연≫ (전라북도예술회관)
 
1999 10 ≪인간문화재 대축제≫ (남산골 한옥마을)
11 ≪우봉 이매방 춤인생 65년 기념 대공연≫ (국립극장 대극장)
12. 10 ≪국립창극단 송년대향연≫ 출연(국립극장 소극장)
 
1998 5. 16 ≪일본 경도시 예술제(류구무용,승무,상방무 합동공연)≫ <승무> 출연 (섭성원 내 랑풍정)
7 ≪프랑스 아비뇽 페스티발≫ 한국주간 참가공연
10 ≪국제무용제 전야제(6인의 명무전)≫ (문예회관 대극장)
11. 1 29회 ≪중요무형문화재 발표공연≫ <승무> 출연 (국립국악원 예악당)
 
1997 6 ≪인간문화재 페스티발≫ (호암아트홀)
9 일본 매방시제 50주년기념 ≪ASIA 태평양음악제≫ <승무> 공연
 
1996 5. 14 ≪김진홍의 춤 그 먼길…≫ <산조춤> 출연 (부산문화회관 대강당)
12. 15 ≪우봉 이매방 고희기념 무용대공연≫ (국립극장 대극장)
 
1995 3. 17 ≪마지막 황후 노을로 타다≫ <한을 푸는 춤> 출연 (문예회관 대극장)
6. 8 대구시립국악단 55회 ≪정기연주회≫ <승무> 출연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극장)
7 ≪우리민속 한마당≫ (국립민속박물관)
7. 20 ≪명인명창전≫ <승무>, <살풀이춤> (정동극장 기획, 정동극장)
9. 21 광복 50주년 기념 ≪민속종합예술제≫ <살풀이춤> 출연 (국립민속박물관)
10 ≪광주비엔날레 초청공연≫ (광주문화예술회관)
12 광주 MBC 초청 ≪이매방 무용인생 60년 무용대공연≫ (광주문화 예술회관) ≪이매방 춤인생 60년 L.A공연≫ (윌셔이벨극장)
 
1994 6 ≪이매방 춤인생 60년 북소리 IV≫
9 미국 퀸즈랜드주정부와 그리피스대학(Griffith University) 주최 공연에 참가 (Conservatorium Theatre South Bank극장)
9. 5 전국체전기념 ≪전국 유명 국악인 초청공연≫ 출연 (대전 우송예술회관)
9. 22 ≪서울정도 600년 기념 민속예술대공연≫ <살풀이춤> 출연(세종문화회관 대강당)
 
1993 전통무용 대공연 (서울, 광주)
9. 13 제13회 ≪대한민국국악제≫ <승무> 공연
9. 24 ≪가을맞이 국악 한마당≫ <승무>, <살풀이춤>, <보렴승무>, <삼고무> 공연 (마포구청 주최, 대흥극장)
11. 10 ≪노인 복지를 위한 전통예술큰잔치≫에 초청공연 (광주 문화예술대극장)
 
1992 제14회 ≪대한민국무용제≫ 전야제 출연
7 ≪UN가입기념공연≫ 폴란드, 체코슬라바키아, 오스트리아, 스페인, 포르투갈 등 순회
10. 6 ≪국악중고등학교 준공기념 국악제≫에 <승무> 출연 (국악중고등학교 강당)
 
1991 유럽, 미국, 중국 순회공연
9 대한민국국제연합가입기념 미국 L.A 슈라인 오디토리움, 뉴욕 카네기홀 등 공연
 
1990 5 ≪국악대공연≫ 참가 (조선일보사 주최)
7 ≪한일 무형문화재 합동공연≫ (일본)
9 ≪북경아시안게임 문화예술축제≫ 공연 참가 (북경)
9. 2 ≪이매방 북의 춤 북소리 III≫공연 (호암아트홀)
 
1989 2 ≪일본무용예술제≫ 참가 (일본)
5 ≪국악대공연≫ 참가 (조선일보사 주최)
 
1988 ≪88서울올림픽 문화예술축전≫ 참가  
1986 미국과 일본 순회공연
1986. 9 ≪86서울아시안게임 축전 공연≫ 참가
1986. 12. 9 ≪지방순회 무용예술제≫ <승무> 출연 (한국무용협회 주최, 포항시민회관)
 3회
1985 4 ≪미국 한국문화센타개관 기념공연≫ (미국 로스앤젤레스)
1985. 6 문화헌장서훈기념공연≪이매방 전통무용 북소리 2≫
1985. 10 제12회 ≪명인명창대공연≫ (동아일보사 주최, 세종문화회관 대강당)
 
1984 무용인생50년 특별 기념공연 <북소리1>
문화훈장(옥관) 서훈
 
1983 무형문화제 제42회 정기출연
한.일 무용연구 비교 심포지움 한국대표
유엔본부초청 한국대표 참가
 
1982 한국명무전 살풀이 출연
5 제1회 ≪국악대공연≫ (조선일보사 주최, 세종문화회관)
6. 3 ≪한국명무전≫ <살풀이춤> 출연 (서울시립무용단 주최, 세종문화회관 대강당)
10. 14 LA불교문화회관 건립 기금마련 예술제 ≪동방의 빛≫에 <승무> 출연 (세종문화회관 대강당)
 
1981 4월 유네스코회관 전통무용의밤 공연
8월 미국 워싱턴 케네디센터 전통무용공연 '승무'
12월 제2회 전통문화의 창조적 계승 대축제
 
1978 세계민속예술제 한국 대표로 참가  프랑스 세렌느시
1967 10 ≪이매방 무용 발표회≫ <꽃신 짚신> 발표 (명동 국립극장)  
1962 광복절 경축 예술제 '승무' 출연  국립극장

해당장르

  • 장르 문화예술인 > 공연예술인 > 무용 > 한국무용
  • 역할 안무가 , 무용가
  • 대상 어린이,청소년,일반인
  • 키워드 한국무용#전통춤#이매방#우봉#승무#살풀이#이매방무용학원

주요작품

교육활동

  • 교육프로그램명 이매방무용학원(무용교육)
  • 교육기간 1950 ~ 2012
  • 교육수혜지역
  • 교육대상 일반시민,아동/청소년
  • 교육수혜지역
  • 교육대상 일반시민,아동/청소년
  • 교육분야 무용
  • 교육프로그램설명 1950년 부산에서 문을 연 전통춤 학원. 주로 승무, 살풀이춤을 가르친다.
    6.25 후, 1953년 환도와 더불어 많은 무용가들이 고향으로 돌아간 후, 부산에서는 김동민이 전통 민속무악을 가르치고 있었고, 이때 부산에 잔류한 무용인 장홍심, 한순옥, 임수영, 박성옥, 김미화 등이 각기 연구소를 개설하고 부산 무용의 재건에 나섰다.

    50년대 중반에 들어서면서 김향촌, 이춘양, 김춘방, 황무봉 등이 부산 무용계에 유입되었고, 이때 이매방도 부산에 정착하면서 초량에 고전무용학원을 열었다. 그 후 이 학원은 황무봉무용학원과 더불어 부산 무용계의 양대 축을 이루며 많은 후배를 키워냈다. 황무봉 학원이 신무용류의 춤을 중심으로 교육한 반면, 이매방 학원은 전통춤을 주로 교육하며 걸출한 전통춤꾼을 배출했다.

    1976년 부산에서는 처음으로 문예진흥원 창작지원을 얻어 무용극 <신검>에서 남도무속의 무대화를 시도하기도 했다. 이 작품은 이듬해 한국문예진흥원 지방무용단 초청공연 지원으로 서울공연을 가졌다.

    이매방의 부인인 김명자가 지금도 이 학원을 운영하며 중요무형문화재 승무와 살풀이춤을 전수하고 있다.
    부산과 경남 지역에서 춤 좀 춘다는 전통춤꾼, 한국춤꾼 치고 이 학원과 조금이라도 인연을 맺지 않은 이가 없을 정도로 역사와 명성을 자랑하는 부산의 대표적인 춤 학원이다. 이매방 무용학원은 “우리의 운치 있는 고전무의 위상을 견지하는 외로운 샛별”처럼 한국의 전통춤을 굳건하게 바치는 버팀목 역할을 하고있다.

    [참고 문헌]
    강이문,「돌아본 70년대 부산문화」, 국제신문, 1979년 12월 27일.
자료등록:(재)부산문화재단 - 본 내용은 등록자에 의해 작성된 내용임을 밝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