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아카이브

HOME 예술아카이브 기본DB

해당메뉴 명

메뉴 열기닫기 버튼

기본DB

성승민

문화예술인 공연예술인 무용 한국무용

NO.AGD593최종업데이트:2012.10.20

자료등록 : (재)부산문화재단 본 내용은 등록자에 의해 작성된 내용임을 밝힙니다

프로필

  • 분류문화예술인
  • 이름성승민 / 成昇珉
  • 생년월일 1932년
  • 출생지 경상남도 창원

인물소개

  • 1970년대 부산무용계를 꽃피운 빼어난 남성 춤꾼.

    6. 25 전쟁 후 김진홍과 알게 된 성승민은 김진홍의 소개로 이매방 선생에게 춤을 배웠다. 전통춤과 창작춤을 넘나들면서 활동하였으며 부산무용협회 부회장과 부산예총간사 그리고 한성여자대학교 무용실기 강사를 역임하였다. 1970년대에 왕성한 춤 활동을 하던 중 47세 나이로 아쉽게 생을 마감한 남성무용수이다.
    1977년 10월 9일 부산무용단의 서울 초연 공연에 참가했다. 이때 그는 이매방, 김진홍, 하정숙 등과 함께 개성적이고 독창적인 안무를 하는 춤꾼으로 선정되었다. 이날 공연된 작품은 이매방의 <신검>, 김진홍의 <연>, 하정숙의 <회자정리>와 함께 성승민의 <정감의 파노라마>가 무대에 올라 호평을 받았다. 성승민은 이 작품에서 신무용의 핵심만 빼내어 정감적인 것을 보여주는 춤을 만들었다고 말했다. 그는 많은 원로 무용가들에게 신무용 50년이라는 한국 무용계의 수준을 뛰어넘기 위해 엄청난 노력을 한 지역춤꾼으로 기억되고 있다.
    1983년 부산 무용인들은 그를 위한 추모공연을 가졌다.

    1959년 충무동에 성민(성승민) 무용연구소 개설했다. 1960년 8월에 항도극장에서 성민(성승민) 초도무용발표회를 가졌다. 1961년 4월 미화당음악실에서 성민(성승민) 제2회무용발표회를 열었고, 1964년 황무봉 안무 봄처녀의 설화에서 주연으로 일본공연 참가했다. 1962년에 5월 무협경남지부 주최로 공설운동장에서 열린 도민 위안 재부연구소 합동대공연에 국무현대 <고궁의 뜰>로 참가했다. 이 해에 결성된 사단법인 한국무용협회부산지부의 한국무용분위장을 맡기도 했다. 1963년 제2회 경남, 제1회 부산예술제에서 황무봉 안무의 <봄의 향연>에 출연하였다. 1964년에는 부산명보소녀가무단 일본 순회공연(기다규슈, 도쿄, 오사카, 교토 등)에 참여했다. 1967년 12월 동주여상 강당에서 열렸던 송년자선무용공연에 출연했다. 1968년에는 한국무협 부산지부 임원선출이 있었고 성승민은 부지부장 직을 맡았다. 1969년 3월 1일에는 예총부산지부 주최로 천보극장에서 열린 부산시 종합예술제에 출연했다. 그후 1974년 제1회 부산 창작무용 합동공연에 출연했고, 1975년 부산 창작무용 합동공연 옥샘터 별곡 안무 및 출연 (우수 무용연구발표회)했고, 1977년 충렬사준공 부산예술제 무용극공연 무용극 ‘해돋는 마을’(신태범 극본, 김진홍, 성승민 안무)을 발표했다. 또한
    1977년 부산무용단 서울공연 안무 및 출연을 했고, 1978년 부산예술축제 창작무용합동공연(부산시민회관)에 출연했다.

    대표작: 별의전설(1961), 가을(1974), 옥샘터별곡(1975), 청산별곡(1975), 향교, 해변정경(1978), 나목, 등이 있다. 특히 1977년 제3회 부산 창작무용 합동공연에 선보인 <종소리>는 “민족의 애환과 소망을 종소리의 운율에 실어 상징화한 작품으로 그 나름대로의 아름다움을 지니고 있고 주제성을 지닌 작품”이라는 평가를 들었다.


    1972년 부산예총 공로상 수상

    [참고 문헌]
    강이문, 「제3회 부산 창작무용 합동공연을 보고」,『무용한국』, 1977년 4월 1일.
    국립부산국악원, 『김진홍의 삶과 예술』, 국립부산국악원 총서 제1집. 2009년.
    「서울 초연, 부산무용단, 경향신문」, 1977년 10월 10일.
    「1백 8명 규모의 부산무용단이 또 서울 진출 공연」, 동아일보, 1977년 10월 8일.
    김순, 「‘83 부산문화결산」, 부산일보, 1983년 12월 26일.

주요활동사항

모바일환경에서는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표)을 보실 수 있습니다.

주요활동사항 - 년도, 활동내역, 비고을(를) 상세히 나타낸 표입니다.
년도 활동내역 비고
1978 부산예술축제 창작무용합동공연(부산시민회관)에 출연했다.
 
1977 충렬사준공 부산예술제 무용극공연 무용극 ‘해돋는 마을’(신태범 극본, 김진홍, 성승민 안무)을 발표했다. 또한 부산무용단 서울공연 안무 및 출연을 했다.
 
1975 부산 창작무용 합동공연 옥샘터 별곡 안무 및 출연 (우수 무용연구발표회)했다.
 
1974 제1회 부산 창작무용 합동공연에 출연했다.
 
1969 3월 1일에는 예총부산지부 주최로 천보극장에서 열린 부산시 종합예술제에 출연했다.
 
1968 한국무협 부산지부 임원선출이 있었고 성승민은 부지부장 직을 맡았다.
 
1967 12월 동주여상 강당에서 열렸던 송년자선무용공연에 출연했다.
 
1964 황무봉 안무 봄처녀의 설화에서 주연으로 일본공연 참가했다.. 1964년에는 부산명보소녀가무단 일본 순회공연(기다규슈, 도쿄, 오사카, 교토 등)에 참여했다.
 
1963 제2회 경남, 제1회 부산예술제에서 황무봉 안무의 <봄의 향연>에 출연하였다.
 
1963 제2회 경남, 제1회 부산예술제에서 황무봉 안무의 <봄의 향연>에 출연하였다  
1962 5월 무협경남지부 주최로 공설운동장에서 열린 도민 위안 재부연구소 합동대공연에 국무현대 <고궁의 뜰>로 참가했다. 이 해에 결성된 사단법인 한국무용협회부산지부의 한국무용분위장을 맡기도 했다  
1961 4월 미화당음악실에서 성민(성승민) 제2회무용발표회를 열었다.
 
1960 8월에 항도극장에서 성민(성승민) 초도무용발표회를 가졌다
 
1959 충무동에 성민(성승민) 무용연구소 개설
 

해당장르

  • 장르 문화예술인 > 공연예술인 > 무용 > 한국무용
  • 역할 한국무용
  • 키워드 성승민#한국무용#

주요작품

교육활동

    등록된 교육활동이 없습니다.
자료등록:(재)부산문화재단 - 본 내용은 등록자에 의해 작성된 내용임을 밝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