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아카이브

HOME 예술아카이브 기본DB

해당메뉴 명

메뉴 열기닫기 버튼

기본DB

엄옥자

문화예술인 공연예술인 무용 한국무용

NO.AGD604최종업데이트:2012.10.20

자료등록 : (재)부산문화재단 본 내용은 등록자에 의해 작성된 내용임을 밝힙니다

프로필

엄옥자

  • 분류문화예술인
  • 이름엄옥자 / 嚴玉子
  • 사사 (師事) 정순남

인물소개

  • 중요무형문화재 제21호 승전무 예능보유자
    부산대학교 체육교육과 정년퇴임
    현 부산국립국악원 예술감독

    원향 엄옥자 교수는 통영이 낳은 세계적인 무용가로서 통영의 문화재 종목인 승전무를 발굴, 계승, 보금시키는데 노력해온 엄옥자는 1985년에 연무회를 창단하여 부산의 춤문화 발전을 위하여 주력해 왔으며, 이후 1990년도부터 엄옥자 한국민속무용단을 창단하여 세계에 우리의 춤문화를 보급하는 문화사절단으로서 춤을 통한 문화외교에 앞장 서 왔으며, 올해도 스위스 축제를 통해 한국춤의 우수성을 유럽인들에게 소개하고 있다.
    현재 그의 호를 딴 '원향춤 연구회'의 회장을 맡고 있으며, 후학들에게 원향춤을 보급하기 위하여 1998년부터 현재까지 총 20회가 넘는 원향춤 수련회를 개최하고 있다. 또한 1997년부터 경상남도 문화재 전문위원을 거쳐 현재는 부산광역시 문화재 위원과 경상남도 문화재 위원으로 활동하며 우수한 문화재를 발굴하고 지정하는데 일익을 담당하고 있다. 2003년에는 PSB문화대상을 수상하고 그 해 제8회 아.태 장애인경기대회 개-폐회식 총괄안무를 맡아 대통령 표창을 받기도 하였다. 그 외에도 중국 호핫우트 국제민속무용 페스티벌 우수연출상과 특별상 개인연기상과 폴란드 축제위원히 감사장을 비롯하여 국내,외적으로 40여회의 표창과 공로패를 수상한 바 있다.
    평생을 우리춤과 함께 해온 엄옥자는 현재까지 50여회의 한국의 명인명무전 공연과 200여회의 국내공연 그리고 40여회의 국외공연을 통하여 한국이 낳은 세계적인 춤꾼으로 활동하고 있다.
    또한 우리춤을 학문적으로 발전시키고 후학들에게 보급하기 위해 '아시아지역 무속 의례에서 연희된 춤 조사연구'의 공동연구원으로 활동 하기도 했다.

    1964.4∼1967 충무 라파엘무용학원장
    1965.7.2 중등학교 교원자격 취득(체육과 증서 23009호)
    1965∼1974 중요무형문화재 제21호 <승전무> 인간문화재 정순남 선생께(입춤, 진춤, 북춤, 칼춤, 창, 장고) 사사
    1966.3.4∼1969.5.6 경남 통영여자중고등학교 교사
    1968.12.21∼71.12.24 중요무형문화재 제21호 <승전무> 지정 및 인간문화재 인정
    1969.10.13∼73.9.17 부산 계성여자중학교 교사
    1970.6.1∼72.12.31 한성여자초급대학 강사
    1974.3.1∼78.2.28 부산여자대학교 강사
    1975.8.28∼77.12.24 부산대학교 강사
    1976∼1979 중요무형문화재 제21호 <승전무> 조교
    1977.3.1∼81.2.28 부산대학교 전임강사
    1980∼1983 부산산업대학교 예능교실 한국무용 전담강사
    1980.4.1∼83.3.31 부산대학교 조교수
    1983.12.20∼84.8.31 부산대학교 출판부 교양과목 교재편찬위원회 위원
    1984.6.15∼85.10.2 부산대학교 여학생처 부처장
    1984.6.15∼ 부산대학교 부설 체육과학연구소 운영위원
    1985.4.1∼91.3.31 부산대학교 부교수
    1983.4.30∼2002 (사)한국무용연구회 이사
    1985∼ 연무회(부산대학교 사범대학 체육학과 중고등학교무용교사 연구회)창단 (현)연무회 지도교수
    1986∼ (사)부산민속예술보존협회 이사
    1987.11.1∼12.30 중요무형문화재 제21호 <승전무> 후보인정
    1990.3.1∼92.2.28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무용과 강사
    1990∼1997 엄옥자한국민속무용단 예술감독
    1991.4.1∼ 부산대학교 정교수
    1991.5.15∼ 부산광역시 체육회 여성체육분과위원회 위원
    1992.3∼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여성지도자 과정 강사
    1992∼2000 부산시립무용단 운영위원
    1993∼2000 김백봉춤보전회 부회장
    1993∼1996 (사)한국무용협회 부산지회 간사
    1993. 경남 통영시사 집필위원(무용 부문)
    1993.7.9∼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중등교원 일반연수 강사
    1994∼1996 부산무용제 운영위원
    1995∼ (사)벽사 춤 아카데미 고문
    1996.3.11 중요무형문화재 제21호 <승전무> 예능보유자 재인정
    1996.3.1∼1997.6.27 상명대학교 대학원 무용학과 강사
    1997∼2002 경상남도 문화재 전문위원
    1997∼ 엄옥자 원향춤연구회 회장
    1998∼ 엄옥자한국민속무용단 단장
    (사)민족미학연구소 이사
    1999∼ (사)부산 국제문화예술원 이사
    부산대학교 명예교수 추천위원
    중요무형문화재 제92호(사)강선영 태평무 운영위원
    1999∼2000 광주국악대전 전국무용경연대회 운영위원
    2000∼ 한국무용예술학회 이사
    2000.3∼ 국립경상대학교 민속무용학과 강사
    2000∼ 부산광역시 문화재위원
    2000∼2001 (사)부산광역시 문화관광 축제 조직위원
    2000.3∼ 부산대학교 사회교육원 한국무용교실 주임교수
    2000∼ 재부통영여자중․고등학교 동창회 부회장
    2001.2∼2003.2 김백봉춤보전회 회장
    2002∼ 학술진흥재단 2002년도 현재 기초학문육성 인문사회분야 기원산업 -‘아시아지역 무속의례에서 연희된 춤 조사
    연구’ 공동연구
    2003∼ 한국전통예술진흥회 부산광역시지부-부이사장
    경상남도 문화재 위원
    2004∼ 문화재연구소 <승전무> 영상기록, 책 발간 자문위원
    (사) 부산 국제댄스축제 진흥회 이사
    2005∼ 부산국제해변무용제 추진위원
    부산대학교 평생교육원 학점은행제 무형문화재 강좌 주임교수
    2005∼2008 (사) 민족미학연구소 한국탈춤의 몸짓말 갈래사전 - 공동연구원

학력사항

모바일환경에서는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표)을 보실 수 있습니다.

학력사항 - 학습기간, 학교, 전공, 학위, 비고을(를) 상세히 나타낸 표입니다.
학습기간 학교 전공 학위 비고
~ 1961 통영여자고등학교 졸업
~ 1965 경희대학교 한국무용 전공 졸업
~ 1974 경희대학교 대학원 체육학석사(한국무용) 졸업

주요활동사항

모바일환경에서는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표)을 보실 수 있습니다.

주요활동사항 - 년도, 활동내역, 비고을(를) 상세히 나타낸 표입니다.
년도 활동내역 비고
2005 11.9. 제48회 부산시문화상(공연예술부문) 수상
8.27~9.1. 서른여덟번째 한국의 명인명무전 '원향지무', '원향칼춤', '원향살풀이춤'
 포드극장
2002 9.24~25. 일본-네덜란드 400주년 기념, 2000년 한일주민 친선 이벤트  
2001 5.23. 제4회 PSB문화대상(공연예술부문) 수상
8.13. 제1회 중국 호핫우트 국제민속무용제 -우수연출상, 특별상, 개인연기상 수상
 
2000 12.25. 대통령 표창장  
1998 5.9청소년을 위한 우리춤마당 엄옥자의 춤세계(대전광역시 평송 청소년수련원 소강당)
7. 체코 축제 최우수상 수상
7. 폴란드 축제 관중이 뽑은 최고상 수상
6.25~7.26. 폴란드, 체코, 우크라이나 페스티벌 - 엄옥자 한국민속무용단 초청

 
1994 8.2. 제32회 프랑스 피레네 축제위원장 감사장
8.17. 스페인 알만드랄레오, 삐아블랑카 축제위원장 감사패
 
1993 캐나다 쥬르몬빌 몬디엘 민속축제 참가기념
엄옥자 한국민속무용단(부산시민회관 대강당)
 
1992 7.15~8.9. 제30회 피레네 국제민속무용페스티벌, 엄옥자 한국민속무용단 초청 13개지역 30회 공연
11.22/ 일본 대마도 전통예능대회 '태평무' 초청공연
 
1991 제22회 중요무형문화재 발표공연 - 인간문화재 대향연 (한국의 집 민속극장)
송년통영예술제<승전무>(부산문화회관 소강당)
제1회 전통춤 5인전 <살풀이춤>(부산문화회관 대강당)
 
1990 4.21~22 연무회 춤판(동래금강원 민속관놀이마당․해운대 솔밭 놀이마당)  
1989 1.17. 미국L.A시장 감사장 '승전무'
1.18. 엄옥자 춤 공연 -캘리포니아대학극장
연무회 춤판 안무 및 지도(동래금강원 민속관놀이마당)
 톰 부레드리 L.A 시장
1988 한국전통무용을 중심으로 엄옥자춤판(부산산업대학교 콘서트홀)
김미숙의 춤 <통영검무> 특별출연(도레미소극장)
 
1987 제3회 한국무용제전 <달하> 안무
<학살이>, <달하> 연무회의 춤(부산산업대학교 콘서트홀)
 
1986 엄옥자<학살이> 김온경<곡두질> 공연(부산시민회관)  
1984 4. 제16회 전국민속경연대회 경남 예선 '검무' 우수상
9.21. 제25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검무' -문공부장관상
 
1983 제3회 전통예술제 초청 엄옥자 춤판 <승전무>(부산카톨릭센타)
전통 무용웤워크샵 및 공연 <통영검무>(국립극장 실험무대)
 
1982 제15회 전통예술의 밤 엄옥자 전통춤 초청공연(서울 공간사랑)  
1981 7.22. 미국 시카고 렌싱대학총장 감사장  필립제이케논 총장
1973 10.8. 부산시교육감 무용공로상  
1972 8.16. 제3회 아세아국제예술대회 무용작품 지도상  
1971 제12회 전국민속경연대회 '승전무' -문공부장관상  
1970 제11회 전국민속무용경연대회 '승전무' -공로상  
1967 10.4. 제8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승전무' -문공부장관상
박정희대통령 취임식 축하 공연 <승전무>
 
1966 <승전무> 정기발표공연, 지방공연, 이충무공 탄신기념제 헌무, 한산대첩 기념제전 등 정기적 공연  

해당장르

  • 장르 문화예술인 > 공연예술인 > 무용 > 한국무용
  • 역할 한국무용
  • 대상 어린이,청소년,일반인
  • 키워드 한국무용#연무회#엄옥자#원향#원향춤#원향춤연구회

주요작품

교육활동

    등록된 교육활동이 없습니다.
자료등록:(재)부산문화재단 - 본 내용은 등록자에 의해 작성된 내용임을 밝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