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아카이브

HOME 예술아카이브 기본DB

해당메뉴 명

메뉴 열기닫기 버튼

기본DB

서상환

문화예술인 시각예술인 회화 서양화

NO.AGD75최종업데이트:2016.12.17

자료등록 : (재)부산문화재단 본 내용은 등록자에 의해 작성된 내용임을 밝힙니다

프로필

서상환

  • 분류문화예술인
  • 이름서상환 / 徐商煥 / Suh, Sang - Hwan
  • 생년월일 1940년 11월 12일
  • 출생지 일본 경도
  • 사사 (師事) 조목하, 김봉기, 김종식
  • 데뷔년도 1964년
  • 데뷔작품 화골(化骨)

인물소개

  • 수 상
    ◇ 경남 및 부산 재건 예술제 2회 입선 (1961, 1962)
    ◇ 제6회 한국미술대상전 추천작가상 (1983)
    ◇ 제4회 봉생문화상 전시부문 수상 (봉생문화재단, 1992)
    ◇ 운파 문화 장학회 창작지원금 1000만원 수혜 (운파 문화장학회, 1997)
    ◇ 제2회 송혜수 미술상 수상 (한국 미협 부산지부, 2006)

학력사항

모바일환경에서는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표)을 보실 수 있습니다.

학력사항 - 학습기간, 학교, 전공, 학위, 비고을(를) 상세히 나타낸 표입니다.
학습기간 학교 전공 학위 비고
1976 ~ 1978 美. 네쇼날 크리스찬 대학교 신학석사(Th.M) 신학석사(Th.M) 논문:중세미술에 나타난 그리스도상 연구
1970 ~ 1971 중등교원 자격 국가검정고시 미술:실기교사, 준교사 합격
1966 ~ 1974 경성대학교 신학대학 신학과 학사 및 석사 논문:루오미술에 나타난 그리스도상 연구
1960 ~ 1964 경남 미술원 서양화부 5년수업 조목하, 김봉기, 김종식에게 사사
~ 1995 美. 루이지애나 침례대학교 대학원 성서과 철학박사(Ph.D) 성서과 철학박사(Ph.D) 논문:단색 목판화 작업을 통한 예수 그리스도상 연구
~ 1999 美. 훼이스 크리스찬 대학 대학원 신학과 신학박사(교회예술(Church Art))(Th.D) 신학과 신학박사(교회예술(Church Art))(Th.D) 논문:야훼는 나의 목자

주요활동사항

모바일환경에서는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표)을 보실 수 있습니다.

주요활동사항 - 년도, 활동내역, 비고을(를) 상세히 나타낸 표입니다.
년도 활동내역 비고
경력사항
◇ 청록미술연구소 소장 (1964~1969)
◇ 녹산중학교 미술교사 (1966~1970)
◇ 부산 송도 중․고등학교 미술교사 (1968~1969)
◇ 김해중학교 미술교사 (1970~1976)
◇ 김해 읍 교회 교육전도사 (現.김해교회) (1973~1975)
◇ 경성대학교 신학대학 신학과 강사(전신) (1976~1978)
◇ 부산 Y.M.C.A 미술실 실장 (1978)
◇ 관인 국제미술학원 원장 (1978)
◇ 한국 기독교미술연구소 영설화원 원장 (1978~ )
◇ 서양화 모임 붓샘회 지도교수 (1978~1982)
◇ 봉생문화회 전시분과 이사 및 운영위원 (1993~2005)
◇ 부산 문화대학 미술과 전임교수 (1995~1999)
◇ 봉생 문화상 수상작가회 회원 (2001~ )
◇ 부산 Y.M.C.A 닥터 서상환 미술교실 운영 (1999~2000)
◇ 부산목회 신학교 총신 대학원 이론신학교수 (1998~2001)
◇ 훼이스 크리스찬 대학 신학과(교회예술) 교수 (1998~2001)
◇ 부산민족미술인 협회 대표 (1995~2001)
◇ 경성대학교 신학대학 동문회 부회장 (1992~1997)
◇ 루이지애나 침례대학교 한국 동문회 사무총장 (1998~2008)
◇ 사단법인 민족미술협회 고문 (서울.2000~2006)
◇ 한국 미술협회 서양화 분과 회원 (1963~ )
◇ 부산 판화회 회원 (1978~2000)
◇ 한국 성문화회 부회장 (2000~ )
◇ 서양화모임 목미회 지도교수 (1995~2002)
◇ 한국 전업 작가회 회원 (1998~ )
◇ 남구 미술인회 회장 (2003~2005)
◇ 동보 문화 홀 미술 강좌 전임교수 (2003~ )
◇ 부산 미술대전 심사 판화부문 2회, 서양화 부문 1회
◇ 대한민국 미술대전 판화부문(본심) 심사 1회
◇ 가락 문화제 심사 서양화 부문 2회, 노동미술제 심사, 기독교 미전 심사,
◇ 청년미술상 심사, 한국 미술문화 대상 전 서양화 부문 심사 6회
◇ 봉생 문화상 전시부문 심사 4회, 봉생 청년문화상 심사 및 심사위원장 등
◇ 부산 국제 환경예술제 자문위원 (2008)


개 인 전
◇ 국내․ 외 38회 (1964~2008) 부산. 서울, 캐나다 등지


시 화 전
◇ 11회 (1979~2008) 부산기독교문인협회, 김 원식, 김 인환, 이 창희목사등


단 체 전
◇ 국내․ 외 280여회 (1960~2008) 부산, 서울, 독일, 영국 미국등지


캘 린 더(Calender )
◇ 캘린더 수채화집 “탑 만다라” 출판 (죽로다원 다도교실, 1986)
◇ 캘린더 목판화화집 “빎” 출판 (효산개발, 1986)
◇ 캘린더 목판화 묶음집 “빎” 출판 (화개제다, 1987)
◇ 캘린더 수채화집 “정영자 詩와 서상환그림의 만남” 출판 (신라대학교 사회교육원, 2002)
◇ 캘린더 수채화집 “기원” 출판 (갓피플 2006)


화 집
◇ Icon 화집 (문화방송 출판부, 1980)
◇ Via Dolorosa(슬픔의 길) Original 목판화집 출판 (令雪畵院, 1984)
◇ Prayer Original 목판화집 출판 (令雪畵院, 1985)
◇ 시편과 목판화 “당신은 내 어둠을 밝혀 주십니다.” 출판 (문학세계사, 1986)
◇ 서상환 목판화 집 “야훼는 나의 목자” 출판 (도서출판 지평, 1988)
◇ 茶曼茶羅 Original 목판화집 출판 (三花嶺, 20부 한정부수, 1991)
◇ 서상환 Original 목판화집 “엘리 엘리 레마 사박다니” 출판 (令雪畵院, 1993, 서울 학고재화랑 후원)
◇ 서상환 Drawing 화집 “ 엘리 엘리 레사 사박다니” 출판 (도서출판 해성, 1994)
◇ 철학박사 학위논문 “ 단색 목판화 작업을 통한 예수 그리스도 상 연구”
(美. 루이지애나 침례대학교 대학원, 1995 (영문))
◇ 서상환 畵語集 “ 영원에 꽂인 막대기” 출판 (도서출판 예량, 1995)
◇ 제1회 서울 판화 미술제 기념 목판화집 “침묵(沈黙)” 출판 (대구 맥향, 서울 나무갤러리, 1995)
◇ 이창희 詩와 서상화 그림집 (빛남출판사, 1995)
◇ 서상환 畵語集2 “영설과 촛불” (열린시, 1996)
◇ 서상환 Original 목판화집 “황토” 출판 (令雪畵院, 10부 한정부수, 1998)
◇ 교회 예술신학 박사논문 “야훼는 나의 목자” <단색 목판화 작업을 통한 시편 이미지 연구>
(美. 훼이스 크리스찬대학 대학원, 1999 (영문))
◇ 서상환 잠언과 Drawing 화집 “하나의 님을 그리며” 출판 (한국 기독교미술연구소, 2000)
◇ 서상환 韓英 詩畵集 “ 내 冥想의 時間” (令雪畵院, 2003)
◇ 서상환 詩畵集 “ 가늠할 수 없는 가늠” (令雪畵院, 2003)
◇ 송영옥 한․영 시집 “자궁의 그림자” (서상환 드로잉과) (문학관 2003)
◇ 꿈꾸는 도시 (배달순 시와 서상환 그림)열린출판사 (1989)
◇ 김미순 제5시집 “꽃의 본적”(서상환 드로잉) (미지탈, 2004)
◇ 제2회 송혜수 미술상 수상기념 서상환 드로잉 화집 “간구” 출판 (令雪畵院, 2006)
◇ 송영옥 문학에세이 “ 가장 아름다운 사랑의 언어” (서상환 드로잉과) (북코리아, 2007)
◇ 박청륭 시집 “백향목 십자가”, “하늘역 광장” (서상환 드로잉과) (도서출판 지평, 2007)


신문 및 잡지 연재(판화와 드로잉 및 유화)
◇ 서울 교회연합신문 “시화로 읽는 성경인물” 목판화 27회 연재 (1997)
◇ 부산 교회복음신문 “로고스와 이콘” 목판화 34회 연재 (1997)
◇ 부산 매일신문 “아! 지리산” 목판화 55회 연재 (1989)
◇ 부산 보건신문 “사상의학(이재마)” 목판화 31회 연재 (1993)
◇ 서울 문학세계사 시집 표지화 30여회 목판화 연재 (1986~1990)
◇ 월간 열린시 표지화 채색목판화 연재 (1996~1998)
◇ 월간 풀빛목회 표지화 20여회 유화, 목판화 연재 (1985~1990)
◇ 월간 열린시 “삼국유사”(김석규시와함께) 목판화 18회 연재 (1996~1998)
부산타임즈 “시와 그림이 있는풍경” (김석규 詩와 함께) 20회연재 (2003)
◇ 월간 현대시학 다큐포엠 “박청륭 詩와 드로잉” 12회 연재 (2006~2007)


조 형 물
◇ 부산 연지동 한신타워 아파트 조형물 브론즈 “빎” 3점과 김태홍 선생 詩碑 (주관 한신주택, 1993)
◇ 울산 남창중학교 교정 “鄕” 브론즈 1점 (주관 한신건설, 1994)
◇ 부산 좌천동 봉생병원 “祈願” 브론즈 1점 (봉생병원, 1995)
◇ 부산 수정동교회 교육관 벽화 “懇求者” 제작 (크기 1000호) (수정동성결교회, 1997)
◇ 부산 남산동 침례병원 “알파와 오메가 포인트" 제작 (크기 1000호) (침례병원, 1999)
◇ 부산 동명정보대학교 창조관 2층 “삶의 구조” 제작 (크기 500호) (동명정보대학교, 2001)



작품 및 작품집 소장처
◇ 부산시립미술관 “교회”(유화 20호), “시궁창 드로잉” 소장 (기증자, 공간화랑, 2002)
◇ 부경대학교 교정 “만트라”(유화 30호)외 3점(유화 100호, 20호, 20호) 소장 (부경대학교, 2000)
◇ 동명정보대학교 교정 “삶의 리듬”(유화 50호 변형)외 1점(유화 50호) 소장 (동명정보대학교, 2001)
◇ 부산 Y.M.C.A “죽음에 대한 명상”(유화 80호) 소장 (부산 Y.M.C.A 1997)
◇ 봉생문화재단 역사관 “祈願”(유화 50호)와 테라코타 1점 소장 (봉생문화재단, 2000)
◇ 부산시립박물관 “엘리 엘리 레마 사박다니” Original 목판화집 소장 (부산시립박물관, 1995)
◇ 美. 루이지애나 침례대학교 도서관 “엘리 엘리 레마 사박다니” Original 목판화집 소장
(美. 루이지애나 침례대학교 도서관, 1995)
◇ 美. 루이지애나 침례대학교 “祈願” 목판화 多數 소장 (美. 루이지애나 침례대학교, 1996)
◇ 경성대학교 신학대학 도서관 “엘리 엘리 레마 사박다니” Original 목판화집 소장 (경성대학교, 1997)
◇ 경성대학교 신학대학 “십자 고상” 소장 (경성대학교 신학대학 학장실, 2000)
◇ 용두산 미술관 “엘리 엘리 레마 사박다니” Original 목판화집 소장 (용두산 미술관, 1997)
◇ 숭실대학교 기독교 박물관 “엘리 엘리 레마 사박다니” Original 목판화집 소장 (숭실대학교, 1995)
◇ 부산 가톨릭대학교 도서관 “엘리 엘리 레마 사박다니” Original 목판화집 소장 (가톨릭대학교, 1996)
◇ 부산 문현동 혜인병원 “祈願”(유화 1점, 50호) 소장 (혜인병원, 1990)
◇ 우양상호신용금고 “祈願”(유화 1점, 100호) 소장 (우양상호신용금고, 1987)
◇ 동래 대동병원 “祈願”(유화 1점, 20호) 소장 (대동병원, 1987)
◇ 부산 남산동 침례병원 “알파와 오메가 포인트”(유화 1000호),
“생성에너지”(유화120호변형) 및 각 병실 “祈願” 수채화 150점 소장 (침례병원, 1999)
◇ 부산시립미술관 “간구의 축”(유화 500호 변형)외 5점 소장 (기증자 신옥진, 2008)
◇ 경남도립미술관 “간구자들의 무리” 외 3점 소장 (기증자 신옥진, 2008)
◇ 부산민주공원 “만남”(유화 50호 변형)외 “광주 민주항쟁”(유화 100호),
“스크린 캇”(유화 10호). “기원”(판화 2점) (부산민주공원, 2001)
◇ 한국미술협회 부산지부 “엘리 엘리 레마 사박다니” Original 목판화집 소장 (부산미협, 1996)
◇ 美. 워싱턴주립대학교 도서관 “엘리 엘리 레마 사박다니” Original 목판화집 소장 (시애틀, 1997)
◇ 그 외 부산 공간화랑, 서울 학고재 화랑 등에 “엘리 엘리 레마 사박다니” Original 목판화집 소장
 

해당장르

  • 장르 문화예술인 > 시각예술인 > 회화 > 서양화
  • 역할 서양화가 , 판화가
  • 대상 일반인
  • 키워드 작가#서양화#평면#구상#서상환#회화

교육활동

    등록된 교육활동이 없습니다.
자료등록:(재)부산문화재단 - 본 내용은 등록자에 의해 작성된 내용임을 밝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