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의도
이번 공연의 주제는 ‘현대 정악’이다.
국악에서는 전통음악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누는데 하나는 민속음악, 나머지 하나가 정악이다. 서민적이고 접근하기가 쉬운 민속음악에 비해 격식과 형식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어렵다는 인식을 가진 정악을 새로운 형식의 편곡을 통해 접근성을 높이는데 이번 공연의 의의를 주고자 한다. 현대적인 정악 공연을 통해 정악은 어렵다는 인식의 전환을 꾀하고 나아가 국악인구의 양적 증대와 함께 정악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아쟁정악의 새로운 면모를 보여주고자 한다. 이를 위해 아쟁이 연주되지 않았던 정악 중 정가에도 새로이 아쟁을 배치하여 아쟁정악의 새 길을 열고자 한다.
지난 2014년 본인은 제 2회 아쟁독주회 ‘궤적’을 개최하였다. 온고지신의 마음으로, 전통을 알고 그 것에서 발돋움하여 현대의 음악을 발전시켜나가야 한다는 의지 아래 전통음악 중 민속악의 백미라 할 수 있는 ‘산조‘의 시초인 굿, 산조의 전신인 봉장취, 1세대 아쟁산조와 현재의 즉, 2세대 아쟁산조까지의 궤적을 무대에 올림으로써 산조아쟁의 역사뿐만 아니라 민속악 전반의 발자취를 재조명하고 앞으로의 비전을 제시하여 큰 호평을 받은 바 있다.
이번 독주회에서는 전통음악의 두 갈래 중 나머지 하나인 정악을 연주한다. 정악이 민속악에 비해 얕은 관객층을 가지는 가장 큰 이유는 그저 지루할 것이라는 고정관념과 상대적으로 민속음악에 비해 정악을 들을 기회가 없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특히 부산에서는 정악 공연을 제대로 관람할 수 있는 기회가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이번 공연에서는 정악의 진지한 무게를 가지고 가되 현대적인 편곡 작업을 통해 조금은 쉽게 들을 수 있도록 연주함으로써 새로운 정악을 제시할 예정이다.
특히, 악기 편성을 새로이 하거나 편곡을 하거나, 아쟁이 아예 편성되어 있지 않는 곡*(아래 참조)에 아쟁을 자연스럽게 편성하는 등의 다양한 시도를 통해 정악의 관객층을 확대하고 정악아쟁의 매력을 알리려 한다.
정악에 있어 아쟁의 역할은 몹시 지대한데에 비해 저음부를 담당하고 있고 상대적으로 선율이 적은 이유로 저평가 되어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번 독주회를 통해 정악아쟁의 새로운 면모를 보여주며 앞으로의 가능성에 대해 평가 받아 정악아쟁의 독자적인 자리매김을 시도하려한다.
정악 중 정가에는 아쟁이 편성되어 있지 않다. 그 것은 과거에는 아쟁이 개나리 나무 활대를 사용하여 소리가 매우 크고 거칠어 노래가 들리지 않았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하지만 현대에 와서는 마이크와 스피커의 사용, 아쟁 활대의 변화 등으로 정가에도 어울리는 악기가 되었으나 여전히 정가의 반주에는 아쟁을 쓰이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번 공연에서는 그러한 고정관념을 탈피하고자 한다.
○ 공 연 명 : 진민진 아쟁 독주회
○ 공연 내용 : 전통적으로 아쟁이 편성되어 있지 않은 정가와 정재반주를
아쟁으로 연주한다
○ 공연 일시 : 2016년 7월 24일(확정)
○ 공연 장소 : 국립부산국악원 소극장(확정)
○ 공연설명
▷ 정가
춘면곡
매화가
태평가
본래 정가의 반주에 편성되어 있지 않은 아쟁을 편성하여 아쟁의 다양한 주법을 보여준다. 혼자 또는 장구 등과 함께 연주하며 기존의 아쟁 선율이 가지는 담담함을 넘어 화려하게 편곡되어 연주하며 본래 반주의 역할이 더욱 컸던 아쟁이 주인공이 되고 그 외의 악기들이 반주를 하는 형식이 될 것이다.
*프로그램
▷ 춘면곡 + 매화가
- 본래 가곡의 반주에는 아쟁이 없다. 그러나 그 것은 고려시대부터 내려온 정악 아쟁의 거친 개나리 활대 소리 때문이다. 이번 공연에서는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음색을 가진 창작 활대로 연주한다.
▷ 태평가
-태평가는 남녀창이다. 본 공연에서 아쟁이 남창의 선율과 거문고의 선율을 조화롭게 번갈아가며 연주한다
▷정재 - 처용무
- 관악영산회상을 바탕으로 하는 처용무의 반주를 아쟁을 포함하여 연주한다.
관악영산회상 외 수제천과 수연장지곡도 첨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