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아카이브

HOME 예술아카이브 권역별문화지도

해당메뉴 명

메뉴 열기닫기 버튼

권역별문화지도

초정리 편지

문화예술작품 문학예술작품 아동문학

NO.APD9187최종업데이트:2019.02.06

자료등록 : (재)부산문화재단 본 내용은 등록자에 의해 작성된 내용임을 밝힙니다.

프로필

  • 제·작자 배유안 [아동문학]
  • 작품제목 초정리 편지
  • 작품장르 문화예술작품 > 문학예술작품 > 아동문학
  • 발표일 2006.09.28
  • 발표매체 창비
  • 발표주체 82

작품설명

  • 한글 창제의 의의를 되살린 역사동화!

    『초정리 편지』는 조선시대 한 아이를 중심으로 당시 일반 백성의 삶에서 한글 창제의 의의를 자연스레 길어 오린 작품입니다. 그 안에는 석수장이가 되려는 소년의 아픔과 성장, 그리고 한글을 창제한 세종대왕의 고뇌와 의지가 만나 크나큰 감동을 선사합니다.

    세종대왕은 한글 창제 이후 눈병 때문에 충북 청원군 초정 약수터로 요양을 갑니다. 초정에 사는 '장운'이는 산에 나무를 하러 갔다가, 낯선 할아버지를 만납니다. 한양에서 왔다는 할아버지는 장운에게 새로 만들어진 글자를 가르쳐 줍니다. 다음날까지 다 외워오면 쌀을 주겠다는 제안에, 장운은 누나와 함께 신나게 글자를 익힙니다.

    그런 장운을 보며 할아버지는 기뻐하고, 둘의 우정은 깊어만 갑니다. 하지만 누나는 늘어난 빚을 갚기 위해, 남의 집 종살이를 떠나게 됩니다.누나 일로 큰 슬픔에 빠진 장운은 때맞춰 할아버지도 떠나는 바람에 쓸쓸하게 지내게 됩니다. 그러던 어느 날, 장운은 누이에게서 편지를 받게 되는데….

    ☞ 이런 점이 좋습니다!

    『초정리 편지』는 일반 백성들에게 한글이 보급되는 과정을 그린 역사동화로, 한글 창제의 배경과 의미를 어린 소년의 아픔과 성장 과정 속에 잘 녹여냈습니다. 역사동화임에도 불구하고 술술 읽힐 정도로 쉽게 잘 풀어냈습니다. 더불어 한글의 우수성을 새롭게 바라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합니다.

    ☆ 이런 점이 돋보여요!

    교사 출신인 작가는 한글 반포 과정과 석공의 꿈을 이뤄가는 장운이의 성장통을 오밀조밀하게 그려냈습니다. 주요 줄거리 말고도 약재 영감과의 신경전과 장운이를 둘러싼 주변인들의 여러 이야기들이 흥미진진하게 펼쳐집니다. 당시의 새로운 글자인 한글로 누나와 서신을 나누는 장운이의 편지글도 놓칠 수 없는 읽을거리입니다(지금과는 다른 당시의 한글 문자를 만날 수 있습니다).

주요작품